$\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운전자 인지특성 분석을 통한 횡단보도 디자인 연구
Pedestrian Crosswalk Design based on the Assessment of Driver Recognition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9 no.4, 2020년, pp.361 - 369  

이주영 (국립한경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increasing role of environmental design in promoting urban safety, new design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pedestrian safety in crosswalks. This study proposes an evidence-based design solution for improving crosswalk function by conducting simulations and field experiments. Driver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제로 횡단보도 디자인에 대한 실효성을 평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그 효과성에 대한 객관적 검증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횡단보도 디자인에 대해 기능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고 운전자와 보행자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안전성이 높 은 횡단보도 디자인을 도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 최근 도로에서의 사고 예방을 위해 다양한 도로표지가 설치되고 있지만, 그 실효성에 대한 객관적 검증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안전과 직결된 횡단보도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디자인 개선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네 종류의 횡단보도 디자인을 선별하여 시뮬레이션 실험과 현장 실험을 실시한 결과, 일반적인 선형에 컬러를 조합한 디자인이 보행자의 안전 확보와 도시경관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이번 연구에서는 도로의 구조 변경이나 추가 시설물의 설치 없이 적은 비용으로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횡단보도의 디자인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해 이용 자의 심리적 특성을 조사하여 횡단보도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자인안을 도출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 횡단보도는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이에 중점을 둔 디자인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도시부의 도로는 다양한 종류의 안전표지가 많이 설치되어 있고 건축물과 상업용 간판, 유동인구, 가로수 등으로 인해 안전표시의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다 (Park, 20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횡단보도는 무엇인가? 횡단보도란 보행자가 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안전 표지로 표시한 도로의 부분으로서, 국토교통부에서 설치 위치 및 교통안전표지의 설치 등에 관해 일정한 기준을 정하고 있다(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그러나 도시환경이 갈수록 더욱더 복잡해짐에 따라 도로에서의 보행자의 안전은 더욱 취약해 지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디자인을 통해 횡단보도의 안전성을 확보한 연구는? 디자인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안은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사회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횡단보도의 디자인에 대해 검토한 연구를 보면, 횡단보도에 사용되는 흰색선에 초점을 맞추어 선 종류와 모양에 관해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거나(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1; McGrane and Mitman, 2013) 횡단보도 표시선의 색채와 형태를 광범위하게 조사하여 유형화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Jeon, 2010). 또 착시효과를 이용한 입체 횡단보도의 효과성에 대해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검토하기도 하는 등(Rebelo et al., 2019) 디자인 개선을 통해 보행자 안전을 향상시키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도시환경 속에서 기존의 횡단보도 형태로는 충분한 기능을 발휘하기에 한계가 있음을 반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로는 무엇인가? 도로는 도시환경을 형성하는 주요한 요소로서 차량의 이동과 보행자의 통행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곳으로, 유동인구가 많은 도심 속 도로에서는 보행자의 안전 확보가 더욱 중요시된다(Jung et al,, 2017). 교통사고 관련 통계 중에서 OECD국가들의 자동차 1만대 당 사망자수 를 보면, 201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가 가장 높으며, 차대사람 교통사고 사망자의 20%가 횡단 중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Road traffic authority, 20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lhajyaseen, W. K. M., Nakamura, H., 2012, Design criteria for crosswalk width and position at signalized intersections, J. Civ. Eng. Archit., 6(6), 844-857. 

  2. Cho, J., 2011, A Study on road signs design for the vehicle driver safety, J. Digi. Design, 11(1), 813-822. 

  3. Evaluation of 3D crosswalks design, in: Rebelo, F., Soares, M. M. (eds.), Advances in ergonomics in design,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Cham, Switzerland. 

  4. Garder, P. E., 2004, The impact of speed and other variables on pedestrian safety in Maine. Accid. Anal. Prev., 36, 533-542. 

  5. Guo, Y., Liu, P., Liang, Q., Wang, W., 2016, Effects of parallelogram-shaped pavement markings on vehicle speed and safety of pedestrian crosswalks on urban roads in China. Accid. Anal. Preven., 95, 438-447. 

  6. Ha, T. J., Park, J. J., Lee, H. M., 2003, Development of design criteria for crosswalk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J. Kor. Soc. Transport., 21(4), 47-56. 

  7. Jeon, Y. D., 2010, A Study on expression methods of crosswalk indication line, Kor. Soc. Illust. Res., 22, 45-54. 

  8. Jung, D., Lee, D., Jun, J., Han, D., 2017, Analysis of effects of scrambled crosswalk installation depending on the types of intersections using VISSIM, Int. J. Highw. Eng., 19(3), 71-81. 

  9. Kim, E., Kim, N. S., 2013, Service design for road environment of school zone applied with behavioral psychology, J. Kor. Content. Assoc. 13(8), 128-140. 

  10. Kim, Y., Park, J., Kwon, S., Ha, T., 2016,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crosswalk in urban area-Focusing on width and stop line, J. Kor. Soc. Civ. Eng., 36(5), 847-856. 

  11. McGrane, A., Mitman, M., 2013, An Overview and recommendations of high-visibility crosswalk marking styles, Pedestrian and Bicycle Information Center, North Carolina, Washington, DC, USA. 

  12. Oh, S. J., 2019, Study on installation criteria of mid-block crosswalk, Ph. 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3. Park, J. H., 2013, A Study on driver's gaze area in variable road characteristics, Ph. D. Dissertation, Gachon University, Seongnam, Korea. 

  14. Park, W. K., Kim, H. J., Park, J. K., 2009, A Study on the visibility and legibility of traffic safety signs - to the complexity of road environments, shape and contents of traffic safety signs, J. Integ. Design Res., 8(1), 97-112. 

  15. Rebelo, F., Cerqueira, D., Freixinho, I., Noriega, P., 2019, 

  1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Guidelines on crosswalk installation and management. Sejong,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Korean) 

  17. Road Traffic Authority, 1998, A study on Installation criteria of crosswalk, Road Traffic Authority, Seoul, Korea(in Korean) 

  18. Road Traffic Authority, 2020, Traffic statistics information https://www.koroad.or.kr/kp_web/accGlossary.do. 

  19. Song, M. J., Lee, S. E., 2011, Development plan for the road sign design in Korea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 and overseas, J. Kor. Soc. Design Cult., 17(4), 222-232. 

  20.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1, Pedestrian cross-walk case studies,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McLean VA, USA. 

  21.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5, Investigation of crosswalk design and driver behaviors,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Washington, DC, USA. 

  22. Wang, T., Jiang, X., Wang, W., Cheng, Q., 2016, Analysis of vehicle speed change at non-signalized crosswalks based on driving behavior, Proc. Eng., 137, 547-55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