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6년 경주지진 유발단층 시나리오 지진에 의한 국내 광역 도시 지진관측소에서의 강진동 모사
Strong Ground Motion Simulation at Seismic Stations of Metropolises in South Korea by Scenario Earthquake on the Causative Fault of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원문보기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24 no.2, 2020년, pp.59 - 65  

최호선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원자력안전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mpirical Green's func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foreshock and the mainshock of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to simulate strong ground motions of the mainshock and scenario earthquake at seismic stations of seven metropolises in South Korea, respectively.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우선 경험적 그린함수 방법에 의한 강진도 모사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경주지진 전진을 경험적 그린함수로 가정하고 본진의 지진파형을 모사하여 , 관측된 본진의 지진파형과 비교하였다. 그 다음 경주 지진 본진을 경험적 그린함수로 가정하고, 이 지진의 유발단층에서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큰 지진(시나리오 지진)을 선정하여 해당 지진에 의해 대상 부지에서 예상되는 강진동을 모사하고 응답스펙트럼을 도출하였다.

가설 설정

  • 7은 관측한 경주지진 본진의 지진파형과 경주지진 유발단층 시나리오 지진의 모사 지진파형의 응답스펙트럼을 비교한 것이며, 해당 응답스펙트럼은 동서 성분 응답스펙트럼과 남북 성북 응답스펙트럼의 제곱평균 제곱근으로 나타내었다. 각 지진관측소에서 검은색 응답스펙트럼은 관측한 경주지진 본진의 응답스펙트럼이고, 붉은색 지진파형은 본진을 경험적 그린함수로 가정하여 시나리오 지진을 모사한 응답스펙트럼이다. 주파수영역에서 모사 응답스펙트럼과 관측 응답스펙트럼의 전체적인 형태가 유사하나 스펙트럼가속도 진폭이 대폭 증가하였으며, 특히 저주파수 대역의 진폭이 고주파수 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4는 관측 지진파형과 모사 지진파형의 응답스펙트럼을 비교한 것인데, 해당 응답스펙트럼은 동서 성분 응답스펙트럼과 남북 성북 응답스펙트럼의 제곱평균제곱근으로 나타내었다. 각 지진관측소에서 검은색 응답스펙트럼은 관측한 경주지진 본진의 응답스펙트럼이고, 붉은색 지진파형은 전진을 경험적 그린함수로 가정하여 본진을 모사한 응답스펙트럼이다. 주파수영역에서 관측 응답스펙트럼과 모사 응답스펙트럼의 전체적인 형태와 스펙트럼가속도 진폭이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진앙거리가 매우 가까운(~9.
  • 5는 국내 7개 광역 도시 지진관측소에 기록된 본진을 경험적 그린함수로 가정하여 경주지진 유발단층 시나리오 지진을 모사한 결과를 각각 동서 성분과 남북 성북 지진파형으로 도시한 것이다. 각 지진관측소에서 상단 검은색 지진파형은 경주지진 본진을 관측한 것이고, 하단 붉은색 지진파형은 본진을 경험적 그린함수로 가정하여 시나리오 지진을 모사한 지진파형이다. 모사 지진파형의 최대지반가속도 진폭이 대폭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규모와 상관하여 강진동 지속시간이 길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2는 국내 7개 광역 도시 지진관측소에 기록된 전진을 경험적 그린함수로 가정하여 본진을 모사한 결과를 각각 동서 성분(EW)과 남북 성북(NS) 지진파형으로 도시한 것이다. 각 지진관측소에서 상단 검은색 지진파형은 경주지진 본진을 관측한 것이고, 하단 붉은색 지진파형은 전진을 경험적 그린함수로 가정하여 본진을 모사한 지진파형이다. 시간영역에서 관측 지진파형과 모사 지진파형의 전체적인 형태와 최대지반가속도 진폭이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강진동 지속시간도 유사하게 모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5인데, [13]의 사례를 고려할 때 경험적 그린함수 방법을 무리 없이 적용할 수 있다. 국내 7개 광역 도시 위치는 기상청이 운영하고 있는 지진관측소의 위치로 가정하였으며, 각 지진관측소의 위치와 지진계 장비 정보는 Table 2에 제시하였고, Fig. 1에 도시하였다.
  • 16) 실제 모사에는 이 값과 가까운 정수(3)를 적용하였다. 단층면상에서 파열시작점의 위치는 단층의 중앙에서 파열된다고 가정하였다. 이는 시나리오 지진과 모사된 지진의 규모에 약 0.
  • 1 정도의 차이를 생기게 하는데, 지진규모 측정 시 오차와 모사 결과를 고려할 때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의 규모 차이로 판단하였다. 단층면상에서 파열은 단층의 북쪽 상단에서 시작된다고 가정하였다[12].
  • 경주지진의 본진을 경험적 그린함수로 이용하여 경주지진 유발단층 시나리오 지진을 모사하기 위해 이용된 입력 파라미터를 Table 4에 제시하였다. 본진과 시나리오 지진에 동일한 응력강하규모에 독립적인 응력강하를 가정하였고, 식 (1)과 시나리오 지진의 모멘트규모를 고려하면 N값을 도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수로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3.
  • VS과 Vr은 각각 S파 속도와 단층파열 속도를 나타낸다. 이 연구에서는 전진과 본진의 모멘트규모가 5.0 이상이기 때문에 동일한 독립적인 응력강하(즉 C=1)를 가정하였다. N값은 식 (1)과 Table 1의 모멘트규모를 고려하여 도출할 수 있으나 정수로 계산되지 않기 때문에(~1.
  •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2016년 경주지진 본진을 경험적 그린함수로 가정하고, 시나리오 지진을 경주지진 유발단층에서 발생하는 모멘트규모 6.5의 지진이라고 가정하여 국내 7개 광역 도시 지진관측소에서의지진동을 모사하였다. 모사 지진파형의 최대지반가속도 진폭이 대폭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규모와 상관하여 강진동 지속시간이 길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 대상 부지로는 인구와 시설이 집중된 국내 광역 도시를 선정하였는데, 서울,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울산, 인천의 7개 도시이다. 해당 부지의 위치는 기상청이 운영하고 있는 지진관측소의 위치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on M, Cho CS, Shin JS, Rhee HM, Sheen DH.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events during the first three months of the 2016 Gyeongju, Korea, earthquake sequence.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18 Feb;108(1):210-217. 

  2. Kim YH, Rhie J, Kang TS, Kim KH, Kim M, Lee SJ. The 12 September 2016 Gyeongju earthquakes: 1. Observation and remaining questions. Geosciences Journal. 2016 Dec;20(6):747-752. 

  3. Park DH, Lee JM, Baag CE, Kim JK. Stochastic prediction of strong ground motion and attenuation equations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001 Mar;37(1):21-30. 

  4. Jo ND, Baag CE. Stochastic prediction of strong ground motions in southern Korea.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01 Aug;5(4):17-26. 

  5. Junn JG, Jo ND, Baag CE. Stochastic prediction of strong ground motions in southern Korea. Geosciences Journal. 2002 Sep;6(3):203-214. 

  6. Jo ND, Baag CE. Estimation of spectrum decay parameter ${\kappa}$ and stochastic prediction of strong ground motions in southeastern Korea.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03 Dec;7(6):59-70. 

  7. Hartzell SH. Earthquake aftershocks as Green's function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1978 Jan;5(1):1-4. 

  8. Joyner WB, Boore DM. Earthquake Source Mechanics 37: Maurice Ewing 6. 1986 Jan;269-274. 

  9. Irikura K, Kamae K. Estimation of strong ground motion in broad-frequency band based on a seismic source scaling model and an empirical Green’s function technique. Annals of Geophysics. 1994 Dec;37(6):1721-1743. 

  10. Miyake H, Iwata T, Irikura K. Source characterization for broadband ground-motion simulation: Kinematic heterogeneous source model and strong motion generation area.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03 Dec;93(6):2531-2545. 

  11. Yoo SH, Rhie J, Choi H, Mayeda K. Evidence for non-self-similarity and transitional increment of scaled energy in the 2005 west off Fukuoka seismic sequenc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2010 Aug;115:B08308. 

  12. Houng SE, Park DH, Kim HS, Han A. Ground motion simulation using empirical Green's function: Application to scenario earthquake on the Korean Peninsula. Proceedings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Conference. 2018 Mar;22:11-12. 

  13. Carrillo J, Rubiano A, Delgado A. Evaluation of Green’s function when simulating earthquake records for dynamic tests. Ingeniera E Investigacion. 2013 Dec;33(3):28-33. 

  14. Han SM, Park EH, Hahm IK, Park SC, Jeon YS, Jo EY, Lee CW. Analysis report of site environment at permanent seismic stations operat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Meterological Research. 2014 Aug;NIMR-TN-2014-007. 

  15. Uchide T. Song SG. Fault rupture model of the 2016 Gyeongju, South Korea, earthquake and its implication for the underground fault system.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018 Feb;45(5):2257-2264. 

  16. Emolo A, Sharma N, Festa G, Zollo A, Convertito V, Park JH, Chi HC, Lim IS. Ground-motion prediction equations for South Korea Peninsula.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15 Sep;105(5):2625-2640. 

  17. Sheen DH, Kang TS, Rhie J. A local magnitude scale for South Korea.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18 Oct;108(5A):2748-27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