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생활스트레스에 따른 죽음인식태도와 생명윤리의식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Correlation between death attitude and life ethic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life stress among paramedic department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4 no.1, 2020년, pp.103 - 115  

김승희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김정선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이효철 (호남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고대식 (호남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이미림 (호남대학교 치위생학과) ,  강광순 (대전보건대학교 응급구조과) ,  김철태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wareness and life ethics awareness, according to life stress, among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paramedics. Method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using means and frequency,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

Keyword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생활스트레스에 따른 죽음인식태도와 생명윤리의식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서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스트레스 관리 및 죽음인식태도의 향상과 생명윤리의식에 대한 개인적 견해 등을 알아보고 향후 관련 연구 및 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생활스트레스에 따른 죽음인식태도와 생명윤리의식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로 설문지를 통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생활스트레스에 따른 죽음인식태도와 생명윤리의식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72)에 비해 죽음인식태도가 높았다. 성별과 가정형편에 따른 죽음인식태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53)에 비해 생명윤리의식이 높았다. 성별, 가정형편, 종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생활스트레스에 따른 죽음인식태도와 생명윤리의식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성별은 남학생 47%, 여학생 53%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0.1%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2학년이 25.6%, 4학년 23.3%, 3학년이 21%를 차지하였다. 가정형편은 보통이 78.5%로 가장 많았고 어려움 13.2%, 넉넉 8.2%이었다. 종교는 무교와 기독교가 대부분이었다. 응급구조학과 재학생의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대상자들의 생활스트레스 평균은 99.76점이었으며, 하위영역은 대인관계 36.69점, 당면과제 63.07점으로 이를 통해 대인관계보다는 당면과제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당면과제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문제에 대한 생활스트레스가 19.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로는 학업문제, 경제문제, 가치관문제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대인관계에 대한 생활스트레스로는 이성관계에 대한 스트레스가 10.26점으로 가장 높았고, 교수관계, 가족관계, 동성관계 순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대상자의 죽음인식태도의 경우 부정이 34.6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긍정이 32.60점이고 그 외에는 생명존중 16.86점, 관심 14.12점, 불안 13.45점 순이었다. 응급구조학과 재학생의 대부분이 죽음에 대해 부정과 긍정이라는 양가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명윤리의식의 경우 인간생명공학이 20.9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인공수정 20.24점, 신생아의 생명권 16.95점, 인공심신중절 16.94점, 태아진단 15.28점, 태아의 생명권 14.85점, 뇌사 14.54점, 안락사 13.30점, 장기이식 10.90점 순이었다. 이를 통해 응급구조학과 재학생의 대부분이 인간생명공학 및 인공수정에 대해 도덕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높은 생명윤리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에 장기이식에 대해서는 낮은 도덕적 의사결정력을 보이며, 상대적으로 낮은 생명윤리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활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경우 낮은군의 성별은 남학생 54.3%, 여학생 45.7%였으며, 학년은 1학년이 33.6%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2학년이 25.0%, 4학년이 21.6%, 3학년이 19.8%였다. 가정형편은 보통이 77.6%로 가장 많았고, 넉넉, 어려움 순이었다. 종교는 무교가 72.4%로 대부분이었다. 높은군의 경우 성별은 남학생 38.8%, 여학생 61.2%이었으며, 학년은 1학년이 35.9%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4학년이 25.2%, 3학년이 22.3%, 2학년이 6.5%였다. 가정형편은 보통이 78.6%로 가장 많았고 어려움, 넉넉 순이었다. 종교는 무교가 62.1%로 대부분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인식태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 학년, 종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우선 학년에서는 1학년의 평균이 112.55점이고, 2학년은 110.95점, 3학년은 116.02점, 4학년은 107.55점으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보면 F값이 3.709이고 유의확률 0.012이므로 학년에 따라 죽음인식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학년을 사후분석 한 결과 1학년은 4학년에 비해 죽음인식태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3학년은 2학년과 4학년에 비해 죽음인식태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를 통해 학년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에 따라 죽음인식태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종교에서는 기독교의 평균이 112.86점, 천주교는 117.00점, 불교는 121.91점, 무교는 110.20점이었다. 검정통계량을 보면 F값이 3.736이고 유의확률이 0.012이므로 종교에 따라 죽음인식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종교를 사후분석 한 결과 불교는 기독교에 비해 죽음인식태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무교에 비해서도 유의하게 높았다. 이를 통해 윤회 사상 등 종교의 죽음관이 실제로 죽음인식태도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윤리의식의 경우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년에서는 1학년이 평균이 143.26점이고, 2학년은 146.88점, 3학년은 144.09점, 4학년은 141.39점으로 나타났다. 검정통계량을 보면 F값이 3.485이고, 유의확률이 0.017이므로 학년에 따라 생명윤리의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학년을 사후분석한 결과 2학년이 1학년과 4학년에 비해 생명 윤리의식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를 통해 앞서 죽음인식태도와 마찬가지로 학년별 교육과정이 생명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생활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죽음인식태도와 생명윤리의식을 비교하면, 생활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죽음인식태도의 차이의 t값이 -2.609이고 유의수준 .010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생명윤리의식은 t값이 2.953, 유의수준 .003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생활스트레스가 높은군이 114.11점으로 109.57점인 낮은군에 비해 죽음인식태도가 높았다. 이와 반대로 생명윤리의식의 경우 낮은군 145.61점으로 높은군의 142.02점에 비해 높았다. 따라서 생활스트레스가 높으면 죽음에 대한 인식이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생활스트레스가 낮으면 생명윤리의식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생활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죽음인식태도와 생명윤리의식과의 경우 낮은군과 높은군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검정통계량을 보면 생활스트레스 정도가 낮은 군의 죽음인식태도와 생명윤리의식 간의 상관이 .188이며 유의수준 .043이었고, 생활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군의 죽음인식태도와 생명윤리의식 간의 상관이 .201이며 유의수준 .042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생명윤리의식과 죽음인식태도는 약한 상관이 있다.
응급구조사의 역할은? 생명이 위급한 환자부터 단순한 상처 환자까지 다양한 환자가 발생하고, 한명의 환자에서부터 사고나 재난으로 다수환자가 발생되고 있다. 이런 응급의료 현장에서 응급구조사는 병원 전 단계에서는 응급 환자와 처음 대면하여 응급처치를 제공하고 병원 단계에서는 의사의 보조적인 역할로 응급처치를 제공하는 인력자원이다[2]. 또한 병원 전 단계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응급구조사는 각종 사고의 현장에서 가장 단시간 내에 환자의 생명을 구해내고 그에 알맞은 응급처치를 수행하고, 병원까지 이송해야 하는 복합적인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직업이다[3]. 응급의료종사자는 다양한 환자들을 응급처치 및 간호하는 과정 중 동맥 절단, 목맴, 익사, 음독, 투신, 분신 등과 같이 타살 또는 자살 등으로 인한 사망환자를 처치한다.
응급구조사의 자격을 갖출 예정인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은 어떤 상태여야 하는가? 응급구조사의 자격을 갖출 예정인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은 환자들에게 돌봄을 제공해야하는 사람으로서 스스로 영적으로 안녕한 상태이어야 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2018 Emergency medical statistical yearbook report. Central Emergency Medical Center. 

  2. Kim JH. A study on the scope of practice for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in the law regarding the emergency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2019, Yongin, Korea. http://www.riss.kr/link?idT15061623 

  3. Lee IS, Choi ES. A study on the burnout of firefighters. Korean J Emerg Med Serv 2000;4(1):47-55. http://www.riss.kr/link?idA40010996 

  4. Cohen SS, Mulvaney K. Field observations: disaster medical assistance team response for hurricane Charley, Punta Gorda, Florida. Disaster Management and Response 2005;3(1):22-7. https://doi.org/10.1016/j.dmr.2004.10.003 

  5. Kubler-Ross, E. Questions and answers on death and dying. I. B. Lee, translation. Wojin Press, Seoul. 1995. 

  6. Kim SH, Lee MH.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s' attitude toward death spiritual well-being and meaning of life. Asia-pacific J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Science, and Technology 2016;6(2):189-96. https://doi.org/10.14257/AJMAHS.2016.34 

  7. Choi BR. A study on th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for euthanasia of the paramedic students. Korean J Emerg Med Ser 2010;14(2):41-55. http://www.riss.kr/link?idA82508281 

  8. Kim IS. Effects of bioethics education on the consciousness of bioethics of freshman nursing and health students. J of the Korea Bioethics Association 2013;14(1):1-13. http://www.riss.kr/link?idA99684378 

  9. Choi BR, Kim DO. Paramedic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a do-notresuscitate(DNR) order and death. Korean J Emerg Med Ser 2015;19(2):71-82. http://www.riss.kr/link?idA100913024 

  10. Lee YJ, Kim YS. Difference of the death perception, death attitude and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bioethics education. The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2017;18(2):95-109. KMID:1172020170180020095 

  11. Yu EY, Yang UJ, Jung EY. Attitudes toward death awareness among department of health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7;15(5):241-51. https://doi.org/10.14400/JDC.2017.15.5.241 

  12. Kim EH, Lee EJ. Effects of a death education program on life satisfac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Nurs 2009;39(1):1-9. https://doi.org/10.4040/jkan.2009.39.1.1 

  13. Kim YH, Yoo YS, Cho OH.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s toward death of terminal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1):1-9. https://doi.org/10.14475/kjhpc.2013.16.1.001 

  14. Yoon JH, Ha JY. Nurses' awareness of death and meaning of life.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3;20(4):381-8. https://doi.org/10.7739/jkafn.2013.20.4.381 

  15. Ko GH, Cho IS. Attitudes towards death and euthanasia among nurses and general population. The J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5;15(3):229-40.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229 

  16. Kim SR, No MJ, Moon KE, Cho HJ, Park Y, Lee NJ et 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death perception, end of life stress and end of life nursing attitudes. J Korean Clin Nurs Res 2018;24(2):255-62. https://doi.org/10.22650/JKCNR.2018.24.2.255 

  17. Bae SJ, Sung MH. Effects of perception of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on quality of life among nurses in emergency room.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6;22(2):129-37. https://doi.org/10.14370/jewnr.2016.22.2.129 

  18. Kang JH. A study on intensive care unit nruses' recognition of dea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hmyook University 2011, Seoul, Korea. http://www.riss.kr/link?idT12284564 

  19. Jeong YR. The biomedical ehtics awarness, perception of death and knowledge about brain death, organ donation and organ transplantation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2016, Gangreung, Korea. http://www.riss.kr/link?idT14222323 

  20. Choi HY.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s regarding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1, Daegu, Korea. http://www.riss.kr/link?idT12698721 

  21. Choi EJ.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good death recognition, and self-esteem on the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8, Gongju, Korea. http://www.riss.kr/link?idT14691818 

  22. Inumiya Y. (A) study on development of a view of life and death scale and relationships among its elem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2002, Seoul, Korea. http://www.riss.kr/link?idT8347016 

  23. Cha YR. (A) study on the nurses' attitude to death in Korea : centering on university hospital in jeollabuckdo provi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2005, Iksan, Korea. http://www.riss.kr/link?idT10703254 

  24. Chon KK, Kim KH, Yi JS.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0;5(2):316-35. http://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6368472 

  25. Lee YS. A study of the ethical values of korean nurses. J Nurs Acad Soc 1990;20(2):249-70. https://doi.org/10.4040/jnas.1990.20.2.249 

  26. Kwon SJ.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the nursing students and medica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2003, Daegu,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