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 life-sustaining treatment by measuring their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resulting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to assess the level of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After the nursing students signed a consent form they were assessed.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September 1 to October 25, 2016, and analyzed using SPSS 23.0 WIM Program. Result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an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ttitude toward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medical ethics, mortality ethics. Conclusion: The findings in the study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nursing students with easy access to continuous education to help them establish an acceptable view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한국간호사 윤리선언 | 한국간호사 윤리선언이 강조하고 있는 것은? |
생명과학기술을 포함한 첨단과학 기술의 적용에 대한 윤리적 판단을 견지하고 부당한 비윤리적 의료행위에 참여하지 않을 것
간호사는 이러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윤리적 딜레마를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혼란을 경험하게 된다[1]. 윤리적 의사결정은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직 역할로서 대한간호협회에서 공포한 「한국간호사 윤리선언」에서는 ‘생명과학기술을 포함한 첨단과학 기술의 적용에 대한 윤리적 판단을 견지하고 부당한 비윤리적 의료행위에 참여하지 않을 것’을 강조하고 있다[2]. 간호사들이 직면하게 되는 생명의료윤리의 문제 상황은 치료거부, 안락사, 임신중절, 치료중단 시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 인력부족, 조직분위기, 환자 및 보호자의 의견 차이 등을 이유로 윤리적 판단과 의사결정이 상황마다 달라지면서 스스로 윤리적 딜레마에 빠지게 되는 경우들이 많다[3,4]. |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찬반의 논란 |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찬반의 논란의 내용은? |
일부 소생이 불가능한 말기 환자의 경우 연명의료를 중단하거나 보류하는 것이 보다 더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는 바람직한 행위라는 견해와 이미 회생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단지 생명유지를 목적으로 의료를 제공하는 것은 환자의 의미 있는 삶이 아니라 고통을 받는 기간을 연장하는 무의미한 노력일 수 있다는 관점들이 존재
법률제정 및 시행까지 구체적인 행동지침이 완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찬반의 논란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즉, 일부 소생이 불가능한 말기 환자의 경우 연명의료를 중단하거나 보류하는 것이 보다 더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는 바람직한 행위라는 견해와 이미 회생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단지 생명유지를 목적으로 의료를 제공하는 것은 환자의 의미 있는 삶이 아니라 고통을 받는 기간을 연장하는 무의미한 노력일 수 있다는 관점들이 존재한다[6,7].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사는 환자의 생명을 연장하기 위해 연명의료행위를 지속해야 하는 것과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고 존엄성을 지켜주며 죽을 권리를 지켜주기 위해 연명의료를 중단하는 것 사이에서 윤리적 딜레마에 놓이게 된다. |
탄생부터 죽음의 연장까지 인위적이고 조작적인 삶을 영위 | 탄생부터 죽음의 연장까지 인위적이고 조작적인 삶을 영위하게 된 이유는? |
21세기에 들어오면서 인류는 괄목할만한 과학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장기이식,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기술도입, 불임기술 등이 성공하면서
21세기에 들어오면서 인류는 괄목할만한 과학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장기이식,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기술도입, 불임기술 등이 성공하면서 탄생부터 죽음의 연장까지 인위적이고 조작적인 삶을 영위하게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는 짧은 기간 동안 이러한 발전을 이루어내면서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윤리에 대한 담론이 국가적 이슈가 되고 있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