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서의 무기 홀 전도체 CuSCN 용매 효과
Impact of CuSCN Deposition Solvents on Highly Efficient Perovskite Solar Cells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3 no.2, 2020년, pp.118 - 122  

정민수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및화학공학부) ,  석상일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및화학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organic-organic hybrid perovskite solar cells have demonstrated a significant achievement by reaching a certified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25.2% in 2019 as compared to that of 3.8% in 2009. However, organic hole conductors such as PTAA and spiro-OMeTAD are known to be expensive and unstable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DPS와 DES 용매가 CuSCN이나 페로브스카이트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간과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uSCN을 도포하는 데 사용되는 DPS, DES 용매가 CuSCN,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와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기 홀 전도체를 대체하기 위한 무기 홀 전도체 CuSCN을 도포하는 데 사용되는 DPS와 DES 용매가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와 이를 이용한 태양 전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DPS 용매는 CuSCN의 용해도가 굉장히 낮았을 뿐만 아니라, 아래층에 도포되어 있는 페로브스카이트층의 표면 및 결정 구조를 변하게 하는 반면, DES 용매를 사용하면 그러한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아 DPS 용매를 사용하여 제작한 소자보다 월등히 높은 16.

가설 설정

  • 3. Top-view SEM images of perovskite films before and after (a) DPS and (b) DES exposure as a CuSCN deposition solv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iOx가 정구조의 태양전지에 적합하지 않는 이유는? 이처럼 태양전지 소자의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기 홀 전도체인 CuI [4,5], CuSCN [6-9], NiOx [10] 등을 이용하여 유기 홀 전도체를 대체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NiOx는 결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200도 이상에서 열처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열처리 도중 아래층에 도포되어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소재의 열분해가 일어나는 정구조의 태양전지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반해, 저온 용액 공정이 가능한 CuSCN은 유기 홀 전도체인 spiro-OMeTAD (4×10-5cm2V-1s-1)에 비해 높은 홀 이동도(0.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필수로 사용되는 첨가물은? 하지 만, 무-유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지난 10년간 급격한 효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열, 빛, 수분, 산소와 같은 주변 환경에 노출 시 태양전지 소자의 취약한 불안정성이 이슈가 되어 왔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연구하는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높은 광전변환효율 확보를 위해 PTAA 또는 spiro-OMeTAD와 같은 유기 홀 전도체를 사용하고 있지만, 필수로 사용되는 첨가물인 LiTFSI (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와 TBP (4-tert-butylpyridine)들이 소자의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원인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예를 들면, LiTFSI는 강한 흡습성으로 페로브스카이트층의 열화를 촉진하며, TBP는 천천히 증발하면서 페로브스카이트와 반응하여 열화를 촉진한다 [3].
LiTFSI와 TBP가 어떻게 소자의 불안정성을 야기하는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연구하는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높은 광전변환효율 확보를 위해 PTAA 또는 spiro-OMeTAD와 같은 유기 홀 전도체를 사용하고 있지만, 필수로 사용되는 첨가물인 LiTFSI (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와 TBP (4-tert-butylpyridine)들이 소자의 불안정성을 야기하는 원인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예를 들면, LiTFSI는 강한 흡습성으로 페로브스카이트층의 열화를 촉진하며, TBP는 천천히 증발하면서 페로브스카이트와 반응하여 열화를 촉진한다 [3]. 이처럼 태양전지 소자의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기 홀 전도체인 CuI [4,5], CuSCN [6-9], NiOx [10] 등을 이용하여 유기 홀 전도체를 대체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 Kojima, K. Teshima, Y. Shirai, and T. Miyasaka, J. Am. Chem. Soc., 131, 6050 (2009). [DOI: https://doi.org/10.1021/ja809598r] 

  2. NERL, Best Research-cell Efficiency Chart, https://www.nrel.gov/pv/cell-efficiency.htmlonference (2019). 

  3. Y. Yue, N. T. Salim, Y. Wu, X. Yang, A. Islam, W. Chen, J. Liu, E. Bi, F. Xie, M. Cai, and L. Han, Adv. Mater., 28, 10738 (2016). [DOI: https://doi.org/10.1002/adma.201602822] 

  4. J. A. Christians, R.C.M. Fung, and P. V. Kamat, J. Am. Chem. Soc., 136, 758 (2014). [DOI: https://doi.org/10.1021/ja411014k] 

  5. G. A. Sepalage, S. Meyer, A. Pascoe, A. D. Scully, F. Huang, U. Bach, Y. B. Cheng, and L. Spiccia, Adv. Funct. Mater., 25, 5650 (2015). [DOI: https://doi.org/10.1002/adfm.201502541] 

  6. P. Qin, S. Tanaka, S. Ito, N. Tetreault, K. Manabe, H. Nishino, M. K. Nazeeruddin, and M. Gratzel, Nat. Commun., 5, 3834 (2014). [DOI: https://doi.org/10.1038/ncomms4834] 

  7. J. W. Jung, C. C. Chueh, and A.K.Y. Jen, Adv. Energy Mater., 5, 1500486 (2015). [DOI: https://doi.org/10.1002/aenm.201500486] 

  8. M. Jung, Y. C. Kim, N. J. Jeon, W. S. Yang, J. Seo, J. H. Noh, and S. I. Seok, Chem. Sus. Chem., 9, 2592 (2016). [DOI: https://doi.org/10.1002/cssc.201600957] 

  9. I. S. Yang, M. R. Sohn, S. D. Sung, Y. J. Kim, Y. J. Yoo, J. Kim, and W. I. Lee, Nano Energy, 32, 414 (2017). [DOI: https://doi.org/10.1016/j.nanoen.2016.12.059] 

  10. J. H. Kim, P. W. Liang, S. T. Williams, N. Cho, C. C. Chueh, M. S. Glaz, D. S. Ginger, and A.K.Y. Jen, Adv. Mater., 27, 695 (2015). [DOI: https://doi.org/10.1002/adma.201404189] 

  11. N. Arora, M. I. Dar, A. Hinderhofer, N. Pellet, F. Schreiber, S. M. Zakeeruddin, and M. Gratzel, Science, 358, 768 (2017). [DOI: https://doi.org/10.1126/science.aam5655] 

  12. G. A. Sepalage, S. Meyer, A. R. Pascoe, A. D. Scully, U. Bach, Y. B. Cheng, and L. Spiccia, Nano Energy, 32, 310 (2017). [DOI: https://doi.org/10.1016/j.nanoen.2016.12.04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