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모 첨가 유무에 따른 막걸리의 발효 중 미생물 군집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microbial commun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Makgeolli during fermentation by yeast as a fermentation starter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5, 2020년, pp.529 - 537  

최지혜 (국립농업과학원 발효가공식품과) ,  임보라 (국립농업과학원 발효가공식품과) ,  강지은 (국립농업과학원 기획조정과) ,  김찬우 (국립농업과학원 발효가공식품과) ,  김영수 (전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석태 (국립농업과학원 발효가공식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재래누룩을 사용한 막걸리의 미생물 군집을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법(NGS)을 활용하여 조사하고, 미생물 군집이 막걸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효모 첨가에 따른 품질특성을 확인하였다. 발효 스타터로 효모의 첨가는 재래누룩 막걸리의 미생물 군집 분포에 영향을 주어 결과적으로 막걸리의 품질 차이를 나타냈다. 무첨가구의 경우 발효 초기의 진균류는 Saccharomycopsis fibuligera가 대부분이었고, 세균류는 Pediococcus pentosaceus, Weissella confusa, Pantoea vagans의 증식으로 인하여 총산 및 젖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첨가구는 발효 시작 전부터 Saccharomyces cerevisiae가 우점하여 알코올 생성 속도가 빠르고, 발효 초기의 높은 알코올 농도로 인해 재래누룩에서 기인한 젖산 생성 bacteria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래누룩으로 막걸리를 제조할 때, 알코올 생성능이 우수한 효모의 첨가가 막걸리 시어짐의 원인이 되는 젖산균의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산미를 낮추고 제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firm changes in the microbial commun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akgeolli during fermentation by yeast as a fermentation starter. We demonstrate that the microbial community during fermentation affects the quality of Makgeolli. At th...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pyrosequencing을 이용한 막걸리 발효 중 미생물 군집 분석(Jung 등, 2012), 시판 탁주의 NGS 기술을 활용한 미생물 군집 분석(Koo 등, 2018) 등의 연구들이 수행되었지만, 효모 첨가 유무에 따른 막걸리의 발효 중 미생물 군집 변화와 이화학적 특성 평가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막걸리 제조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알코올 발효력이 우수한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 첨가에 따른 재래누룩 막걸리의 발효 중 미생물 군집 구조를 분석하여, 알코올, 유기산 함량 등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재래누룩을 사용한 막걸리의 미생물 군집을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법(NGS)을 활용하여 조사하고, 미생물 군집이 막걸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효모 첨가에 따른 품질특성을 확인하였다. 발효 스타터로 효모의 첨가는 재래누룩 막걸리의 미생물 군집 분포에 영향을 주어 결과적으로 막걸리의 품질 차이를 나타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래누룩을 이용해 막걸리는 제조하는 방법은? 1단 담금은 쌀 7.5 kg을 2시간 침지하고, 1시간 탈수한 후 1시간 증자한 고두밥과 송학곡자 2.5 kg, 물 12 kg을 넣고 혼합하여 25℃에서 3일간 발효하였고, 첨가구는 스타터로 효모 38.5 g(전체 원료량의 0.05%)을 첨가하였다. 2단 담금은 쌀 17.5 kg을 증자하고 물 37.5 kg을 추가하여 발효를 진행하였다. 발효제 비율은 쌀 대비 10%, 급수 비율은 원료(쌀, 발효제) 대비 1단 담금에서 120%, 2단 담금에서 214%, 통합 180%로 제조하였다. 막걸리는 25℃에서 31일 동안 발효하였으며, 발효 과정에서 경시적인 시료의 채취는 발효액을 균일하게 혼합해주고 일정 분량을 취해 거름망으로 여과한 뒤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막걸리란? 막걸리는 전분질을 원료로 누룩곰팡이가 분비한 효소에 의해서 당화가 이루어지며 분해된 당은 효모에 의해 알코올로 전환되는 병행복발효주이다(Kim, 2000). 막걸리의 품질은 일반적으로 알코올 농도, 총산, 유기산, 향미성분, 잔존 당 성분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러한 요인들은 발효제나 발효 조건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Lee, 2006).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방법의 장점은? 미생물 군집 분석을 위한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PCR로 16S rRNA gene을 증폭한 다음에 전기영동을 하는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temperature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TGGE),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systems security certified practitioner(SSCP) 등의 방법이 개발되기는 하였으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거나 보다 정확한 미생물 종(species)의 정보를 밝히지 못하였다(Park, 2012). 최근에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법의 개발로 매우 긴 DNA 가닥의 염기서열을 한번에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효율적이며, 미생물 분포에 대한 보다 정확한 분석이 가능해졌다(Koo 등, 2018). 현재까지 pyrosequencing을 이용한 막걸리 발효 중 미생물 군집 분석(Jung 등, 2012), 시판 탁주의 NGS 기술을 활용한 미생물 군집 분석(Koo 등, 2018) 등의 연구들이 수행되었지만, 효모 첨가 유무에 따른 막걸리의 발효 중 미생물 군집 변화와 이화학적 특성 평가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ennick MH, Verheul A, Abee T, Naaktgeboren-Stoffels G, Gorris LG, Smid EJ. Interactions of nisin and pediocin PA-1 with closely related lactic acid bacteria that manifest over 100-fold differences in bacteriocin sensitivity. Appl. Environ. Microb. 63: 3628-3636 (1997) 

  2. Cheon JW.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based on input timing of yeast(Nuruk) and the preferences of Takju consumers in Korea. MS thesis, Chungwoon University, Hongsung, Chungnam, Korea (2017) 

  3. Choi SH, Kim OK, Lee MW. A study on the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Alcohols and Organic Acids during Takju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272-278 (1992) 

  4. Choi JH, Kim GW, Lee HY, Park CS, Shim JY. Brewing Characteristics of Wickerhamomyces anomalus SC-1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Nuruk. Food Eng. Prog. 23: 223-228 (2019) 

  5. Cowri S, Asit RG. Pediococcus spp. - A potential probiotic isolated from Khadi (an Indian fermented food) and identified by 16S rDNA sequence analysis. Afr. J. Food. Sci. 4: 592-602 (2010) 

  6. Jdckson RS. Wine science: Principles, practice, perception. 2nd ed. Academic press. San diego, CA, USA. pp. 324-327 (2000) 

  7. Jung MJ, Nam YD, Roh SW, Bae JW. Unexpected convergence of fungal and bacterial communities during fermentation of traditional Korean alcoholic beverages inoculated with various natural starters. Food Microbiol. 30: 112-123 (2012) 

  8. Kim KS. Studies on fungal isolated collected from Korean traditional nuruk.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Korea (2000) 

  9. Koo OK, Lim ES, Lee AR, Kim TW. Microbial divers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akju and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50: 400-406 (2018) 

  10. Kwon SJ. Analysis of Microbial Diversity in Makgeolli Fermentation.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Chungnam, Korea (2010) 

  11. Lee DP. Policy Issue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Liquer.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1: 1-9 (2006) 

  12. Lee HS.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Yeast Rice Makgeolli Brewed with Different Added Ratio of Red Yeast Rice and Different Kind of Nuruk. MS thesis, Myongji University (2011) 

  13. Lee YG, Seol JM, Jeong DY, Kim SR. Application of Functional Microbial Strains Isolated from Traditional Rice Wine in Korea. Microbiol. Biotechnol. Lett. 44: 229-235 (2016) 

  14. Lim YS. Lactobacillus plantarum B19 isolated from kimchi and Characteristics of Organic Acid Production in Fermented Soymilk. J. East Asian Soc. Diet. Life 29: 198-208 (2019) 

  15. Nakajo K, Komori R, Ishikawa S, Ueno T, Suzuki Y, Iwami Y, Takahashi N. Resistance to acidic and alkaline environments in the endodontic pathogen Enterococcus faecalis. Oral Microbiol. Immunol. 21: 283-288 (2006) 

  16. Ozlem O, Fadime K, Ingolf FN. A probiotic bacterium, Pediococcus pentosaceus OZF, isolated from human breast milk produces pediocin AcH/PA-1. Afr. J. Food. Sci. 10: 2070-2079 (2011) 

  17. Park JH, Yeo SH, Jeong ST, Choi HS, Jeon JA, Choi JH. Characteristics of Byeok-hyang-ju made by various processing methods originated from ancient documents. Korea J. Food Preserv. 17: 826-834 (2012) 

  18. Shin HJ, Choi HJ, Kim DW, Ahn CS, Jeong YK, Joo WH. Probiotic Potential of Pediococcus pentosaceus BCNU 9070. J. Life Sci. 22: 1194-1200 (2012) 

  19. Song JC, Park HJ, Shin WC. Changes of takju qualities by addition of cyclodextrin during the brewing and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95-900 (1997) 

  20. Tubb RS. Amylolytic yeasts for commercial applications. TIBITECH 4: 98-104 (1986) 

  21. Yun CY, Cheong YH.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 Pantoea Species as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J. Life Sci. 26: 1163-1168 (20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