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마름 증상 완화를 위한 기능성 캔디(lozenge) 개발 요구도 조사
Study on Needs for Functional Candy (lozenges) Development for Oral Drynes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6 no.1, 2020년, pp.30 - 41  

주경미 (더약솔루션) ,  정은경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주나미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morbidity of chronic diseases such as diabetes and high blood pressure has increased, the frequency of oral dryness upon taking drugs for a long time or several drugs at the same time has greatly increa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oral dryness and utilize the da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시 약국에 방문한 성인을 대상으로 2018년 10월 22일부터 12월 15일까지 설문지를 배포 하여 구강건조 증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불편함, 구강건조 증상을 줄이기 위해 시도해본 경험, 구강건조 증상 완화를 위한 제품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설문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약국에 방문한 성인을 대상으로 구강건 조증 실태 및 구강건조 증상 완화를 위한 제품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구강건조증은 타액 분비의 감소 및 타액의 물리적 성질이 변하여 입 안이 건조 함을 느끼는 상태를 말한다.
  • 서울시 약국에 방문한 성인 중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한 모집 공고를 보고 신청한 사람 중에서 설문조사에 관한 설명에 사전 동의를 한 대상자에게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2018년 10월 22일부터 12월 15일까지 설문지 160부를 배포하고 회수한 후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144부(90.
  • 또한 처방약 종류와 구강건조 증상과의 정확한 인과관계를 제시할 수 없었다. 이러한 제한점 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구강건조증 관련 식품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약물 복용과 연령에 따른 구강건조 증상 및 불편감 실태를 조사하고, 구강건조 증상 완화 제품에 대한 인식 등 요구도 조사를 통하여 구강건조 증상 개선을 위한 신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약국 방문 환자를 대상으로 약물 복용과 연령에 따른 구강건조 증상 및 불편감, 증상 개선 제품에 대한 인식 등 요구도 조사를 통하여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고 혈당을 상승시키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입마름 증상 완화를 위한 약용효과가 있는 캔디(로젠지)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로젠지(lozenge)란 무엇인가? 로젠지(lozenge)는 함당정제(含糖錠劑)와 유사한 의미로 입에서 녹는 둥근 혹은 긴 타원의 알약으로 사탕, 점활제, 과실기제로 만들어진 덩어리 속에 활성 성분을 혼합시켜 만드는 것으로(Lee 2003), 일반적으로 단순한 목캔디(cough drop)와 다르게 진통제, 진해 거담제, 항염증제 등이 첨가된 약용 목캔디를 말한다 (Cambridge Academic Content Dictionary 2020). 국외 에서는 입마름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캔디류 제품이 존재하나 국내에서는 구강건조증 치료 관련 제품 및캔디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다만 무설탕 캔디가 출시되어 있다.
타액은 어떠한 성분들을 포함하는가? 즉, 만성 퇴행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들이 약물을 장기간 복용하거나 여러 약물을 동시에 복용하는 경우 특히, 당뇨병 치료제, 항고혈압제, 항우울제, 항파킨슨제 등이 구강건조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Oh 등 2013), 그부작용으로 타액 분비 감소와 구강건조증을 유발하게 된다는 것이다(Navazesh & Kumar 2009). 타액은 아밀라 아제(amylase), 프롤린(proline), 라이소자임(lysozyme) 및 면역글로불린 A(immuno globulin A) 등의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소화 및 일차 면역기관의 역할뿐 아니라 산성 음식이나 구강 내 세균으로부터 구강 점막을 보호하며, 맛을 느끼기 위한 용제로써의 역할을 담당한다(Jung 2012). 구강건강에 문제가 발생하면 치아상실, 구강 통증뿐만 아니라 섭식, 대화 및 심미 적인 면 등 구강 기능 저하가 초래되어 자신감 저하, 저작 및 연하 기능에 영향을 미쳐 영양 결핍이 발생할 수 있다(Slade 등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ambridge Academic Content Dictionary (2020). Lozenge. Available from: https://dictionary.cambridge.org/ko/%EC%82%AC%EC%A0%84/%EC%98%81%EC%96%B4/lozenge. Accessed January 4, 2020 

  2. Cassolato SF, Turnbull RS (2003): Xerostomia: clinical aspects and treatment. Gerodontology 20(2):64-77 

  3. Cheon HW, Yu MS, Choi MH (2012): The association of oral diseases and chronic diseases in Korean adult population. J Korean Soc Dent Hyg 12(2):235-249 

  4. Cho EP (2009): Impact of oral function improving exercise on the or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Doctors degree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p.1-5 

  5. Hong SH (2016): Factors influencing the elderly's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J Korean Data Anal Soc 18(1):475-496 

  6. Jeon YJ, Choi JS, Han SJ (2012): The effect of dry mouth improvement by oral exercise program in elderly people. J Korean Soc Dent Hyg 12(2):293-303 

  7. Joung HY, Choi YN, Choe HJ, Jung IH (2019): A convergence study of water intake on relationship between xerostomia, halitosis, oral microorganisms in the elderly. J Korean Converg Soc 10(6):309-316 

  8. Jung GH (2012): Analysis of salivary gland func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xerostomia. Masters degree thesis. Iha University. pp.1-2 

  9. Kim JH, Kim HY (2018): Effects of an oral self-care program on the elderly's xerostomia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9(3):382-392 

  10. Kim JH, Park JH, Kwon JS, Ahn HJ (2011): Effect of pilocarpine mouthwash on xerostomia. J Oral Med Pain 36(1):21-24 

  11. Kim SJ, Choi JS (2013): The associated factors with xerostomia in patients with systemic diseases. J Dent Hyg Sci 13(4):386-392 

  12. Kim YJ, Park KM (2012): Effects on salivation, xerostomia and halitosis in elders after oral function improvement exercises. J Korean Acad Nurs 42(6):898-906 

  13. Lee SY (2015): Development of questionnaire for evaluation of dry mouth treatments. Masters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p.16-27 

  14. Lee WC (2003): Medical dictionary. Academy Press. Seoul. p.616 

  15. Lee YH (2017): Xerostomia and halitosis: a review and current concepts. J Korean Dent Assoc 55(9):640-656 

  16. Lee YK (2018): Health and care of older adults in Korea. Health Welf Policy Forum 264:19-30 

  17. Mercola (2017). 6 Side effects of chewing gum. Available from: https://korean.mercola.com/sites/articles/archive/2017/11/22/6%EA%B0%80%EC%A7%80-%EC%B8%84%EC%9E%89%EA%BB%8C-%EB%B6%80%EC%9E%91%EC%9A%A9.aspx. Accessed November 22, 2017 

  18. Mun SJ, Seo HY, Jeon HS, Baek JH, Noh HJ, Chung WG (2014): Subjective oral dryness and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in medicated patients in chronic severe psychiatric patients. J Korean Soc Dent Hyg 14(3):353-362 

  19. Navazesh M, Kumar SK (2009): Xerostomia: prevalence, diagnosis, and management. Compend Contin Educ Dent 30(6):326-328, 331-332, quiz 333-334 

  20. Nederfors T, Isaksson R, Mornstad H, Dahlof C (1997): Prevalence of perceived symptoms of dry mouth in an adult Swedish population--relation to age, sex and pharmacotherapy.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5(3):211-216 

  21. Oh DJ (2007): Effects of Carboxymethylcellulose (CMC)-based artificial saliva in patients with dry mouth. Masters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p.35-36 

  22. Oh HS, Kim HK, Park JE, Kim KS, Kim ME (2013): Clinical epidemiology for elderly patients of oral medicine clinic. J Oral Med Pain 38(1):19-28 

  23. Orellana MF, Lagravere MO, Boychuk DG, Major PW, Flores-Mir C (2006): Prevalence of xerostomia in population-based samples: a systematic review. J Public Health Dent 66(2):152-158 

  24. Park JH (2014): Comparison of saliva substitutes for management of dry mouth. Masters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p.3-4 

  25. Park MS, Lee SW, Chung SC, Kim YK, Yum KW (1999): The effect of pilocarpine-containing chewing gum on anti-microbial components in whole saliva of xerostomic patients. J Oral Med Pain 24(4):347-359 

  26. Porter SR, Scully C, Hegarty AM (2004): An update of the etiology and management of xerostomia.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97(1):28-46 

  27. Rhodus NL (1988): Xerostomia and the geriatric patient. Dentistry 8(2):12-17 

  28. Ship JA, Pillemer SR, Baum BJ (2002): Xerostomia and the geriatric patient. J Am Geriatr Soc 50(3):535-543 

  29. Silverman S Jr (2007): Mucosal lesions in older adults. J Am Dent Assoc 138 Suppl:41S-46S 

  30. Slade GD, Hoskin GW, Spencer AJ (1996): Trends and fluctuations in the impact of oral conditions among older adults during a one year period.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4(5):317-321 

  31. Smidt D, Torpet LA, Nauntofte B, Heegaard KM, Pedersen AM (2011): Associations between oral and ocular dryness, labial and whole salivary flow rates, systemic diseases and medications in a sample of older peopl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9(3):276-288 

  32. Smith G, Smith AJ, Shaw L, Shaw MJ (2001): Artificial saliva substitutes and mineral dissolution. J Oral Rehabil 28(8):728-731 

  33. Turner MD, Ship JA (2007): Dry mouth and its effects on the oral health of elderly people. J Am Dent Assoc 138 Suppl:15S-20S 

  34. von Bultzingslowen I, Sollecito TP, Fox PC, Daniels T, Jonsson R, Lockhart PB, Wray D, Brennan MT, Carrozzo M, Gandera B, Fujibayashi T, Navazesh M, Rhodus NL, Schiodt M (2007): Salivary dysfunction associated with systemic diseases: systematic review and clinical management recommendation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03 Suppl:S57.e1-e15 

  35. Zussman E, Yarin AL, Nagler RM (2007): Age- and flow-dependency of salivary viscoelasticity. J Dent Res 86(3):281-2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