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환경 혼돈이 유아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교사 제한설정방식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Household Chaos on Preschoolers' Self-control: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s' Limit-setting Styl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1, 2020년, pp.75 - 98  

강동연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  박주희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household chaos on self-control of young children and to investigate whether teachers' limit-setting styles had moderating effec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4 children (83 boys and 101 girls), at age 3 -5, their mothers and teachers wo...

주제어

표/그림 (8)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통제력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자기통제력이란 목표 달성을 위해 일시적인 충동이나 즉각적인 만족을 억제하고 상황에 맞게 자신에게 요구되는 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Humphrey, 1982). 이러한 능력은 자신에게 기대되는 행동 기준이 있을 때, 그 기준에 도달하고자 하는 동기가 작동하여 현재 자신의 행동과 목표를 비교하고 둘 사이의 불일치를 줄여가는 과정에서 발달해간다(Carver & Scheier, 2000).
유아의 자기통제력이 교사의 허용적 제한설정방식 수준이나 논리적 제한설정방식 수준에 영향을 받는 이유는? 이는 논리적 설명은 유아의 행동 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허용적 제한설정은 유아의 스스로 통제하는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한 선행연구와 맥락을 같이 하는 결과이다(배정민·김소향, 2016; 이수현, 2018). 즉 교사가 유아의 행동에 대해 피드백을 적시에 제공하고 행동과 결과에 대한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경우 유아는 즉각적인 만족을 지연하고 목표를 위해 행동을 통제하는 확률이 높게 나타났지만 교사가 유아에게 기대되는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는 경우 유아는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행동을 하게 될 가능성이 낮아졌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교사의 강압적 제한설정방식은 자기통제력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위협에 의한 제한설정이 양육자와의 관계를 악화시키고 유아 스스로 행동을 억제하고자 하는 동기를 저하시켜 자기통제력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설경옥, 2017; Houck & Lecuyer, 2002)와 차이를 보였다.
자기통제력의 결핍으로 인해 어떤 행동을 제어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보이고 있는가? 최근 우리 사회에는 자신의 요구를 즉각적으로 충족시키기 원하며 충동성을 억제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경찰청, 2019). 이들은 자신에게 닥친 불편함에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하고 스스로 행동을 제어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는데, 이는 자기통제력의 결핍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Gottfredson & Hirschi, 1990). 자기통제력은 유아기에 집중적으로 발달하여 이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며(Miller, Yu, Chen, & Brody, 2015), 1,000명의 유아들이 30대로 성장할 때까지 추적한 Moffitt 등(2011)의 종단연구 자료 역시 유아기의 자기통제력이 성인기의 신체건강, 재정문제, 범죄율의 차이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경찰청 (2019. 6). 위협행위 반복신고 일제점검 결과. https://www.gov.kr/portal/ntnadmNews/1901710에서 2019년 9월 6일 인출 

  2. 김건희, 허명진, 박병도 (2015). 자기조절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유아기에서 학령기까지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2), 425-447. doi:10.15870/jsers.2015.06.54.2.425 

  3. 김명순 (2019). 놀이에 대한 부정적 오해와 긍정적 편견: 미래사회 변화에서 '교육과정 놀이'에 대한 재개념화 방향과 과제.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9(1), 41-66. 

  4. 김명순, 권혜진, 김지연 (2014). 보육과정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연구: 컨설팅 기초 연구 및 운영매뉴얼. 세종시: 보건복지부. 

  5. 김명희 (2011). 보육교사의 성인애착, 효능감, 훈육방식과 유아의 적응간의 관계.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명희, 박혜경 (2013). 보육교사의 성인애착, 효능감, 훈육방식과 유아의 적응간의 구조모형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51(1), 59-74. doi:10.6115/khea.2013. 51.1.059 

  7. 김정미, 곽금주 (2007). 3-6세 유아를 위한 가정환경자극 척도(EC-HOME)의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8(1), 115-128. 

  8. 김종훈, 성지현 (2016). 유아교육기관 교실의 질,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수상호작용 영역이 유아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6(2), 325-343. doi:10.18023/kjece.2016.36.2.014 

  9. 민선옥, 배지희 (2014)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자녀 사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 아동교육, 23(4) 263-285. 

  10. 박수린 (2009). K-PATHS (Korean version - Promoting Alternative THinking Strategies) 프로그램이 학령 전기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수진 (2019). 유아의 자기조절 관련 요인의 메타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배정민, 김소향 (2016). 아버지의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5(3), 23-49. doi:10.21183/kjcm.2016.09.15.3.23 

  13. 보건복지부 (2018. 11).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2&CONT_SEQ349978&page1#에서 2019년 11월 29일 인출 

  14. 설경옥 (2017).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교사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설경옥, 문혁준 (2018).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교사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2), 187-210. doi:10.22155/jfece.25.2.187.210 

  16. 소혜진, 임성민, 조상연, 고민숙, 문진화 (2018). 유아 스마트 기기 사용 현황의 변화: 2015 - 2016년과 2017년의 연구 결과 비교. 대한소아신경학회, 26(4), 251-262. doi:10.26815/jkcns.2018.26.4.251 

  17. 송근영 (2017). 보육과정 컨설팅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경님 (1997). 인지적-행동적 자기통제훈련이 아동의 자기통제능력과 과제 수행 능력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0(1), 125-145. 

  19. 이수현 (2018). 만 5세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가정환경 및 유아교육기관 변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장순상, 김영희 (2017).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훈육방식과 정서특성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총, 21(1), 49-62. 

  21. 장호진 (2018). 교사용 유아 주의력 평정척도의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정진나 (2015). 유아기 자기조절의 개념과 변화가능성에 대한 고찰. 인지발달중재학회지, 6(3), 1-21. 

  23. 차지연, 문혁준 (2013). 보육교사의 감정표현불능증, 소진, 성인애착이 유아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5), 33-45. doi:10.7466/JKHMA.2013.31.5.033 

  24. 홍계옥 (2003). 유아교사의 훈육행동과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유아의 성 연령, 학급의 크기 그리고 교사의 교육경력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연구, 6(1), 59-74. 

  25. 황옥경, 정연아, 송미령, 명준희 (2019. 9). 어린이집 이용 부모의 역할책임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실제 차이. 2019년 한국보육지원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 성남. 

  26. Arizona state university. (n.d.). The family check up. Retrieved November 29, 2019 from https://reachinstitute.asu.edu/programs/family-check-up 

  27. Bandura, A. (1991). Social cognitive theory of self-regul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248-287. doi:10.1016/0749-5978(91)90022-L 

  28. Barrett, P., Zhang, Y., Davies, F., & Barrett, L. (2015. 2). Summary report of the HEAD Project: Clever classrooms (holistic evidence and design). Retrieved November 29, 2019 from https://core.ac.uk/download/pdf/42587797.pdf 

  29. Baumeister, R. F., & Heatherton, T. F. (1996). Self-regulation failure: An overview. Psychological Inquiry, 7(1), 1-15. doi:10.1207/s15327965pli0701_1 

  30. Baumrind, D. (1991).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yle on adolescent competence and substance use.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1(1), 56-95. doi:10.1177/0272431691111004 

  31. Berry, D., Blair, C., Willoughby, M., Garrett-Peters, P., Vernon-Feagans, L., Mills-Koonce, W. R., & Family Life Project Key Investigators. (2016). Household chaos and children's cognitiv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Does childcare play a buffering ro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4, 115-127. doi:10.1016/j.ecresq.2015.09.003 

  32. Bronson, M. (2000).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Nature and nurture. New York, NJ: Guilford Press. 

  33. Cadima, J., Enrico, M., Ferreira, T., Verschueren, K., Leal, T., & Matos, P. M. (2016).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The interplay between family risk,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Europ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3(3), 341-360. doi:10.1080/17405629.2016.1161506 

  34. Calzada, E. J., & Eyberg, S. M. (2002). Self-reported parenting practices in Dominican and Puerto Rican mothers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1(3), 354-363. 

  35. Carden, S. W., Holtzman, N. S., & Strube, M. J. (2017). Cahost: An excel workbook for facilitating the johnson-neyman technique for two-way interactions in multiple regression. Frontiers in Psychology, 8, 1293. doi:10.3389/fpsyg.2017.01293 

  36. Carver, C. S., & Scheier, M. F. (2000). On the structure of behavioral self-regulation. In M. Boekaerts, P. R. Pintrich, & M. Zeidn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pp. 41-84). San Diego, CA: Academic Press. 

  37. Center on the Developing Child. (n.d.). Ready4Routines. Retrieved November 29, 2019 from https://developingchild.harvard.edu/innovation-application/innovation-in-action/ready4routines 

  38. Chang, H., Shaw, D. S., Dishion, T. J., Gardner, F., & Wilson, M. N. (2014).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family check-up on self-regulation from toddlerhood to early school-ag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42(7), 1117-1128. doi:10.1007/s10802-014-9859-8 

  39. Chorpita, B. F., & Barlow, D. H. (1998). The development of anxiety: The role of control in the early environment. Psychological Bulletin, 124(1), 3-21. doi:10.1037/0033-2909.124.1.3 

  40. Coldwell, J., Pike, A., & Dunn, J. (2006). Household chaos-links with parenting and child behaviour.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7(11), 1116-1122. doi:10.1111/j.1469-7610.2006.01655.x 

  41. Crespo, L. M., Trentacosta, C. J., Udo-Inyang, I., Northerner, L., Chaudhry, K., & Williams, A. (2019). Self-regulation mi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household chao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60, 56-64. doi:10.1016/j.appdev.2018.10.005. 

  42. Dumas, J. E., Nissley, J., Nordstrom, A., Smith, E. P., Prinz, R. J., & Levine, D. W. (2005). Home chaos: Sociodemographic, parenting, interactional, and child correlates.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4(1), 93-104. doi:10.1207/s15374424jccp3401_9 

  43. Evans, G. W., & Lepore, S. J. (1993). Nonauditory effects of noise on children. Children's Environment, 10(1), 31-51. doi:10.2307/41515250 

  44. Evans, G. W., Gonnella, C., Marcynyszyn, L. A., Gentile, L., & Salpekar, N. (2005). The Role of Chaos in Poverty and Children's Socioemotional Adjustment. Psychological Science, 16(7), 560-565. doi:10.1111/j.0956-7976.2005.01575.x 

  45. Evans, G. W., & Wachs, T. D. (2010). Chaos and its influence on children's development.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6. Garrett-Peters, P. T., Mokrova, I., Vernon-Feagans, L., Willoughby, M., Pan, Y., & Family Life Project Key Investigators. (2016). The role of household chaos in understanding relations between early poverty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7, 16-25. doi:10.1016/j.ecresq.2016.02.004 

  47. Gottfredson, M. R., & Hirschi, T.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48. Hamre, B. K., & Pianta, R. C. (2007). Learning opportunities in preschool and early elementary classrooms. In R. C. Pianta, M. J. Cox, & K. Snow (Eds.), School readiness, early learning and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pp. 49-84). Baltimore, MD: Brookes. 

  49. Houck, G. M., & Lecuyer-Maus, E. A. (2002). Maternal limit-setting patterns and toddler development of self-concept and social competence.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25(1), 21-41. doi:10.1080/014608602753504838 

  50. Humphrey, L. L. (1982). Children's and teachers' perspectives on children's self-control: the development of two rating scal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0(5), 624-633. doi: 10.1037/0022-006X.50.5.624 

  51. Karreman, A., Van Tuijl, C., van Aken, M. A., & Dekovic, M. (2006). Parenting and self-regulation in preschoolers: A meta-analysis.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and Practice, 15(6), 561-579. doi:10.1002/icd.478 

  52. Katz, L. G. (1994). What should young children be learning? Child Care Information Exchange, 94(11). 23-25. 

  53. Kendall, P. C., & Wilcox, L. E. (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6), 1020-1029. doi:10.1037/0022-006X.47.6.1020 

  54. Kostelnik, M. J., Soderman, A. K., Whiren, A. P., & Rupiper, M. L. (2016).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Theory and Skills. Boston, MA: Cengage Learning. 

  55. Kopp, C. B. (1982).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doi:10.1037/0012-1649.18.2.199 

  56. Lonigan, J. C., Spiegel, A. J., Goodrich, M. J., Morris, M. B., Osborne, M. C., Lerner, D. M., et al. (2017). Does preschool self-regulation predict later behavior problems in general or specific problem behaviors? Abnormal Child Psychology, 45(8), 1491-1502. doi:10.1007/s10802-016-0260-7 

  57. Matheny Jr, A. P., Wachs, T. D., Ludwig, J. L., & Phillips, K. (1995). Bringing order out of chaos: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confusion, hubbub, and order scale.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6(3), 429-444. doi:10.1016/0193-3973(95)90028-4 

  58. Martin, A., Razza, R. A., & Brooks-Gunn, J. (2012). Specifying the links between household chaos and preschool children's development.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2(10), 1247-1263. doi:10.1080/03004430.2011.605522 

  59. Maxwell, L. E. (2003). Home and school density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Environment and Behavior , 35(4), 566-578. doi:10.1177/0013916503035004007 

  60. Miller, G. E., Yu, T., Chen, E., & Brody, G. H. (2015). Self-control forecasts better psychosocial outcomes but faster epigenetic aging in low-SES youth.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2(33), 10325-10330. doi:10.1073/pnas.1505063112 

  61. Millgram, S. (1970). The experience of living in cities. Science, 167(3924), 1461-1468. doi:10.1126/science.167.3924.1461 

  62. Mills-Koonce, W. R., Willoughby, M. T., Garrett-Peters, P., Wagner, N., Vernon-Feagans, L., & Family Life Project Key Investigators. (2016). The interplay among socioeconomic status, household chaos, and parenting in the prediction of child conduct problems and callous-unemotional behavior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8(3), 757-771. doi:10.1017/S0954579416000298 

  63. Moffitt, T. E., Arseneault, L., Belsky, D., Dickson, N., Hancox, R. J., Harrington, H., et al. (2011). A gradient of childhood self-control predicts health, wealth, and public safety.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8(7), 2693-2698. doi:10.1073/pnas.1010076108 

  64. Mortensen, J. A., & Barnett, M. A. (2015).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infant/toddler child car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6(2), 209-229. doi:10.1080/10409289.2015.985878 

  65. Pianta, R. C., La Paro, K. M., & Hamre, B. K. (2008). 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 Manual K-3. Baltimore, MD: Paul H Brookes Publishing. 

  66. Robinson, C. C., Mandleco, B., Olsen, S. F., & Hart, C. H. (1995). Authoritative,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practices: Development of a new measure. Psychological Reports, 77(3), 819-830. doi:10.2466/pr0.1995.77.3.819 

  67. Valiente, C., Lemery-Chalfant, K., & Reiser, M. (2007). Pathways to problem behaviors: Chaotic homes, parent and child effortful control, and parenting. Social Development, 16(2), 249-267. doi:10.1111/j.1467-9507.2007.00383.x 

  68. Vernon-Feagans, L., Willoughby, M., & Garrett-Peters, P. (2016). Predictors of behavioral regulation in kindergarten: Household chaos, parenting, and early executive func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52(3), 430-441. doi:10.1037/dev0000087 

  69. Watamura, S. E., Phillips, D. A., Morrissey, T. W., McCartney, K., & Bub, K. (2011). Double jeopardy: Poorer social-emotional outcomes for children in the NICHD SECCYD experiencing home and child-care environments that confer risk. Child development, 82(1), 48-65. doi:10.1111/j.1467-8624.2010.01540.x 

  7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December). Children and noise: WHO training package for the health sector. Retrieved November 29, 2019 from https://www.who.int/ceh/capacity/noise.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