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도덕적 이탈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Effect of Moral Disengagement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Moderating Role of Self-Control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8 no.1, 2020년, pp.61 - 74  

정도영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박주희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ral disengagement (cognitive restructuring and blaming the victim) and self-control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and investigated if self-contro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disengagement (cognitive restructuring and blaming the victim) and cyberb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때 자유학기제에서 시행하는 주제활동 시간에 개인의 도덕적 사고를 돌아보고 피해자 비난의 수준을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고안해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해자 비난의 수준을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피해자가 겪을 수 있는 결과를 예상해보고 학생들 간에 갈등 상황의 맥락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덕적 딜레마 상황을 가정하거나 친구 관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상황을 가정하여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해보게 하는 역할 바꾸기 경험을 해보고 문제해결 전략들을 토론해보는 것으로 적용해볼 수 있다.
  • 본 연구는 중학생의 도덕적 이탈(인지적 재구성, 피해자 비난)과 자기통제력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기초 분석으로서 연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도덕적 이탈(인지적 재구성, 피해자 비난)과 자기통제력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도덕적 이탈과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와 그에 따른 시사점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 이상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도덕적 이탈(인지적 재구성, 피해자 비난)과 자기통제력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도덕적 이탈의 두 하위 차원이 중학생의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통제력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 때 국내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수의 연구들이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폭력적인 게임에 더 노출되어 있고 인터넷 사용에 수용적인 경향이 있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을 더 많이 수행한다는 성차를 보고하고 있으며(Nam& Kweon, 2013), 하루 인터넷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사이버불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상황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을 많이 한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고 있어(Park, 2018; Yeum, Kim, & Lee, 2014) 본 연구에서는 성별과 인터넷 사용시간을 분석 시 통제변인으로 포함하였다.
  • 또한 사이버 공간에서 보이는 행동이 가져올 결과와 영향력에 대해 각 개인이 책임의식을 지녀야 한다는 관점만을 강조해오고 있는데(Lim, 2003), 이는 개인의 도덕적 사고를 돌아보지 않고 재정립할 수 있는 기회 없이 지식을 주입하는 수준에 그치기 때문에 실제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을 감소시키는 데까지는 제한적일 수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적용가능할 수 있도록 Ministry of Education (2019)에서 시행 중인 중학교 교육과정 제도인 자유학기제를 활용하는 것을 제안해볼 수 있다. 자유학기제는 학생참여형 토론 활동과 새로운 방식의 탐구활동 등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과정으로 주입식교육이 아닌 보다 장기적이고 학생주도적인 활동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이버불링이란 무엇인가? 그 중 하나는 ‘사이버불링(Cyberbullying)’이라는 온라인 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공격적 행동이다. 사이버불링이란 컴퓨터와 스마트기기를 사용하여 사이버 공간에서 의도적이고 반복적으로 해를 입히거나 위협하는 행위를 의미한다(Hinduja & Patchin, 2014). 2019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은 최근 몇 년간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며 사이버 공간에서의 괴롭힘 비율이 8.
사이어불링이 중학생 시기에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상과 같은 사이버불링의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사이버불링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중학생 시기에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Lee, Shin, & Ha, 2014; Wolak, Mitchell, & Finkelhor, 2007).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이 중학생 집단에서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는 이유는 부모의 제약 하에 있었던 아동기와 달리 초기 청소년기에 진입하게 되면서 사이버 공간에서 자율적으로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사이버불링 가해와 피해의 기회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이버불링 피해경험 여부를 조사한 결과, 사이버 공간에서 욕설이나 모욕, 협박 등의 모든 항목에서 중학생의 피해경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이버불링 가해경험 또한 중학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8).
사이버불링에 대한 개입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피해자의 입장에서 보면, 특정인에 대한 내용이 수많은 사람들에게 전파될 수 있다는 사이버 공간 상의 파급력으로 인해 사이버불링으로 인해 경험하는 피해가 무제한적으로 커질 수 있다(Hinduja & Patchin, 2008). 뿐만 아니라 불링에 대한 감시자 역할을 할 수 있는 부모나 교사 등 성인의 접근이 어려울 수 있으며 사이버불링 피해자조차도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이버 공간에 대한 접근 자체를 제한할 것을 염려하여 성인들에게 피해를 보고하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에 사이버불링에 대한 개입이 어려울 수 있다(Bauman, Cross, & Walker, 2013). 실제로 사이버불링의 경우 성인이 개입하기 어렵기 때문에 피해자들은 오프라인 상에서 발생하는 또래괴롭힘 피해자가 겪는 어려움과 유사하거나 혹은 더욱 심각한 수준의 어려움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우울과 분노, 수면장애와 두통 등의 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Kowalski, Limber, & Agatston, 2012; Nixon,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 Ainslie, G. (2006). Cruelty may be a self-control device against sympathy.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29(3), 224-225. https://doi.org/10.1017/S0140525X06229054 

  3. Bandura, A. (2002). Selective moral disengagement in the exercise of moral agency. Journal of Moral Education, 31(2), 101-119. https://doi.org/10.1080/0305724022014322 

  4. Bandura, A., Barbaranelli, C., Caprara, G. V., & Pastorelli, C. (1996). Mechanisms of moral disengagement in the exercise of moral ag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2), 364-374. https://doi.org/10.1037/0022-3514.71.2.364 

  5.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6. Barriga, A., Landau, J., Stinson, B., Liau, A., & Gibbs, J. (2000). Cognitive distortion and problem behaviors in adolescents.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27(1), 36-56. https://doi.org/10.1177/0093854800027001003 

  7. Bauman, S., Cross, D., & Walker, J. (2013). Principles of cyberbullying research: Definitions, measures, and methodology. New York, NY: Taylor & Francis. 

  8. Baumeister, R. F., Vohs, K. D., & Tice, D. M. (2007). The strength model of self-control.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6), 351-355. https://doi.org/10.1111/j.1467-8721.2007.00534.x 

  9. Bussey, K., Fitzpatrick, S., & Raman, A. (2015). The role of moral disengagement and self-efficacy in cyberbullying. Journal of School Violence, 14(1), 30-46. https://doi.org/10.1080/15388220.2014.954045 

  10. Calvete, E. (2008). Justification of violence and grandiosity schemas as predictors of antisocial behavior in adolescent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6(7), 1083. https://doi.org/10.1007/s10802-008-9229-5 

  11. Campfield, D. C. (2008). Cyber bullying and victimizati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ullies, victims, and bully-victi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ontana, Missoula, MT, USA. 

  12. Carden, S. W., Holtzman, N. S., & Strube, M. J. (2017). Cahost: An excel workbook for facilitating the Johnson-Neyman technique for twoway interactions in multiple regression. Frontiers in Psychology, 8, 1293. https://doi.org/10.3389/fpsyg.2017.01293 

  13. Chu, B. W. (2012). Online moral disengagement and the tasks of internet eth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thics Studies, 87, 119-141. https://doi.org/10.15801/je.1.87.201212.119 

  14. Gini, G., Pozzoli, T., & Hymel, S. (2014). Moral disengagement among children and youth: A meta analytic review of links to aggressive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40(1), 56-68. https://doi.org/10.1002/ab.21502 

  15. Gottfredson, M. R., & Hirschi, T. (1990). A general theory of crime. Redwood City,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16.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17. Hinduja, S., & Patchin, J. W. (2008). Cyberbullying: An exploratory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offending and victimization. Deviant Behavior, 29(2), 129-156. https://doi.org/10.1080/01639620701457816 

  18. Hinduja, S., & Patchin, J. W. (2014). Bullying beyond the schoolyard: Preventing and responding to cyberbullying(2nd ed.). Thousand Oaks, CA: Corwin. 

  19. Hymel, S., & Bonanno, R. A. (2014). Moral disengagement processes in bullying. Theory into Practice, 53(4), 278-285. https://doi.org/10.1080/00405841.2014.947219 

  20. Hymel, S., Rocke-Henderson, N., & Bonanno, R. A. (2005). Moral disengagement: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bullying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Social Sciences, 8(1), 1-11. 

  21. Kanfer, F. H. (1984). Self-management methods. In F. H. Kanfer & A. P. Goldstein(2nd Eds.), Helping People change(pp. 30-43). New York, NY: Pergamon. 

  22. Kendall, P. C., & Braswell, L. (1993).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impulsive children. New York, NY: Guilford Press. 

  23.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9). 2018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Retrieved September 20, 2019, from http://www.kisa.or.kr 

  24. Kowalski, R. M., Giumetti, G. W., Schroeder, A. N., & Lattanner, M. R. (2014). Bullying in the digital age: A critical review and meta-analysis of cyberbullying research among youth. Psychological Bulletin, 140(4), 1073-1137. https://doi.org/10.1037/a0035618 

  25. Kowalski, R. M., Limber, S. P., & Agatston, P. W. (2012). Cyberbullying: Bullying in the digital age. Chichester, WS: John Wiley & Sons. 

  26. Lee, C., Shin, N., & Ha, E. (2014). A study on the situation of youth cyberbullying and measures to prevent it(Report No. 14-R07). Retrieved July 18, 2019, from https://www.nypi. re.kr 

  27. Lee, S. S. (2011). Testing both risk and control factors of juvenile delinquency in offline, internet, and cell phone media.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22(1), 111-135. 

  28. Lee, S., Jung, H., & Han, H. (2017).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to prevent cyberbullying in Korean youth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25(2), 107-134. 

  29. Lee, S., Kim, E., & Kim, J. (201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cognitive distortion and peer bully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2(3), 99-114. https://doi.org/10.7466/JKHMA.2014.32.3.99 

  30. Lim, S. S. (2003). An inquiry into the methodology of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thics Studies, 54(3), 261-291. 

  31. Marcum, C. D., Higgins, G. E., Freiburger, T. L., & Ricketts, M. L. (2014). Exploration of the cyberbullying victim/offender overlap by sex. American Journal of Criminal Justice, 39(3), 538-548. https://doi.org/10.1007/s12103-013-9217-3 

  32. Ministry of Education. (2019). The first student survey on school violence in 2019. Retrieved September 4, 2019, from https://www.moe.go.kr 

  33. Nam, H. M. (1999).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selfcontrol and friends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problems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4. Nam, S. I., & Kweon, N. H. (2013). A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adolescent offenders'of cyberbullying.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10(3), 23-43. 

  35. Nam, S. J. (2011). The effect of tension and low self-control on cyber deviation: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et addic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anonymit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2), 63-74. https://doi.org/10.6115/khea.2011.49.2.063 

  36.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8). 2018 Survey on Cyberbullying. Retrieved July 11, 2019, from https://www.nia.or.kr 

  37.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8). The survey on rights of the children and youths. Retrieved December 3, 2019, from https://www.kosis.kr 

  38. Nixon, C. L. (2014). Current perspectives: The impact of cyberbullying on adolescent health. Adolescent Health, Medicine and Therapeutics, 5, 143-158. https://doi.org/10.2147/AHMT.S36456 

  39. Paciello, M., Fida, R., Tramontano, C., Lupinetti, C., & Caprara, G. V. (2008). Stability and change of moral disengagement and its impact on aggression and violence in late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79(5), 1288-1309.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8.01189.x 

  40. Park, J. H. (2018). Effect of the amount of time online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moderating role of justice sensitivit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6(6), 619-626. https://doi.org/10.6115/fer.2018.044 

  41. Park, Y. S., & Park, J. H. (2016).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moderating role of self-control.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7(3), 39-51. https://doi.org/10.5723/kjcs.2016.37.3.39 

  42. Perren, S., & Gutzwiller-Helfenfinger, E. (2012). Cyberbullying and traditional bullying in adolescence: Differential roles of moral disengagement, moral emotions, and moral values. Europ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9(2), 195-209. https://doi.org/10.1080/17405629.2011.643168 

  43. Pornari, C. D., & Wood, J. (2010). Peer and cyber aggression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role of moral disengagement,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outcome expectancies. Aggressive Behavior: Offic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Research on Aggression, 36(2), 81-94. https://doi.org/10.1002/ab.20336 

  44. Preacher, K. J., Curran, P. J., & Bauer, D. J. (2006). Computational tools for probing interaction effects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multilevel modeling, and latent curve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and Behavioral Statistics, 31(4), 437-448. 

  45. Robson, C., & Witenberg, R. T. (2013). The influence of moral disengagement, morally based self-esteem, age, and gender on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bullying. Journal of School Violence, 12(2), 211-231. https://doi.org/10.1080/15388220.2012.762921 

  46. Runions, K. C., & Bak, M. (2015). Online moral disengagement, cyberbullying, and cyber-aggression.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18(7), 400-405. https://doi.org/10.1089/cyber.2014.0670 

  47. Ryu, S. J. (2013). A study on adolescents'experiences of cyberviolence and offline violenc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57(5), 297-324. 

  48. Seo, M. J. (2013). The influences of moral disengagement and moral emotions on bullying assistant behavior.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4(6), 123-138. https://doi.org/10.5723/KJCS.2013.34.6.123 

  49. Seo, M. J., & Kim, K. Y. (2006). Analysis of variables for classifying types of outsiders in bullying situation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7(6), 35-51. 

  50. Spiller, S. A., Fitzsimons, G. J., Lynch, J. G., & MccClelland, G. H. (2013). Spotlights, floodlights, and the magic number zero: Simple effects tests in moderated regres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50(2), 277-288. https://doi.org/10.1509/jmr.12.0420 

  51. Suler, J. (2004). The online disinhibition effect. Cyberpsychology & Behavior, 7(3), 321-326. https://doi.org/10.1089/1094931041291295 

  52. Sung, S. H., Hong, C. H., & Kim, G. A. (2014). The effect of the selfregulation program on self-control, impulsiveness, aggression of juvenile delinquent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8(2), 157-175. https://doi.org/10.21193/kjspp.2014.28.2.009 

  53. Tangney, J. P., Baumeister, R. F., & Boone, A. L. (2004).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72(2), 271-324. https://doi.org/10.1111/j.0022-3506.2004.00263.x 

  54. Vazsonyi, A. T., Machackova, H., Sevcikova, A., Smahel, D., & Cerna, A. (2012). Cyberbullying in contex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y low self-control across 25 European countries. Europ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9(2), 210-227. https://doi.org/10.1080/17405629.2011.644919 

  55. Williams, K. R., & Guerra, N. G. (2007).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internet bullying.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1(6), 14-21.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07.08.018 

  56. Wolak, J., Mitchell, K. J., & Finkelhor, D. (2007). Does online harassment constitute bullying? An exploration of online harassment by known peers and online-only contac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1(6), 51-58.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07.08.019 

  57. Wolfer, R., Schultze-Krumbholz, A., Zagorscak, P., Jakel, A., Gobel, K., & Scheithauer, H. (2014). Prevention 2.0: Targeting cyberbullying@ school. Prevention Science, 15(6), 879-887. https://doi.org/10.1007/s11121-013-0438-y 

  58. Wright, M. F., & Li, Y. (2013). Normative beliefs about aggression and cyber aggression among young adults: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Aggressive Behavior, 39(3), 161-170. https://doi.org/10.1002/ab.21470 

  59. Yeum, D., Kim, S., & Lee, S. (2014). A study of the effect of adolescents'overuse of internet on their cyber delinquenc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Studies on Korean Youth, 25(4), 159-183. https://doi.org/10.14816/sky.2014.11.75.159 

  60. Yoo, G. R., & Park, J. H. (2019). Influence of hostile attribution bias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 of justice sensitivity.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40(4), 79-93. https://doi.org/10.5723/kjcs.2019.40.4.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