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원장의 초임보육교사 채용에 대한 인식과 선발과정에 관한 연구
Daycare Center Director's Perception and Selection Process on the Recruitment of Beginning Teacher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2, 2020년, pp.25 - 45  

오새니 (유한대학교 아동보육학과) ,  이상희 (노원구육아종합지원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aycare-center director's perceptons of recruitment and to understand how hire beginning teachers. Methods: One hundred twenty-five directors of daycare-cent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Province answered a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26)

  1. 한국교육개발원(2019. 12). 2018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취업통계연보. https://kess.kedi.re.kr/publ/view?survSeq2019&publSeq58&menuSeq0&itemCode02&languageen#에서 2019년 12월 30일 인출 

  2. 권혜진 (2015). 유아교사 취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담론.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3), 510-528. 

  3. 김시연, 오재연 (2014).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의 내적변인과 외적변인들간의 구조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23-50. 

  4. 김혜경 (2013). 영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서울: 창지사 

  5. 김효정, 임자영, 이대균 (2011). 팀티칭 경험이 어린이집 영아반 경력교사에게 주는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6(4), 521-551. 

  6. 마은경, 이수경 (2014). AHP기법을 활용한 보육교사 채용기준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8(6). 529-549. 

  7. 박기남 (2015).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교사 채용 및 자질에 대한 인식.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기남, 홍순옥, 김현미 (2014). 보육교사 채용문제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 한국영유아보육학, 5, 1-25. 

  9. 박은혜, 김희진, 김명순, 임승렬 (2003). 사립유치원 신규 교사 선발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0(1), 159-180. 

  10. 박정빈, 권경숙, 황은희 (2016). 초임교사 채용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담론. 유아교육연구, 36(6), 5-26. doi:10.18023/kjece.2016.36.6.001 

  11. 박화윤, 이연희, 이은정 (2006). 보육교사의 인사관리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5, 171-206 

  12.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2018).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조사 보고-. 세종특별자치시: 보건복지부. 

  13. 보건복지부, 한국보육진흥원 (2019). 제 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통합지표.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14. 신은수, 박은혜 (2012). 2011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에 의한 유아교육단계의 교원제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265-282. 

  15. 심순희, 김수영 (2015). 영아보육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전문성 인식 차이 및 관계 분석. 열린부모교육연구, 7(1), 1-17. 

  16. 오지선, 박은영 (2016). 어린이집 교사들의 경력차이에 따른 팀티칭 경험. 아동교육, 25(3), 247-273. doi:10.17643/KJCE.2016.25.3.14 

  17. 유연화, 임경애 (2012). K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취업준비 및 취업에 대한 인식조사. 유아교육학논집, 16(3), 275-289. 

  18. 육아정책연구소 (2018). 2017 유아교육 보육 주요통계.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9. 윤영배, 유준호 (2014). 유아교사 취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사담당자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8(1), 73-97. 

  20. 이봉선 (2017).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에 대한 보육교직원과 부모의 중요도와 만족도 비교 연구: IPA 분석을 통해서.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순영 (2009).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근무유형, 학력, 경력, 연령간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1), 299-317. 

  22. 이승연 (2019). 초임 어린이집 원장의 어려움과 극복.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전홍주, 권현조, 변길진 (2018).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교직인성이 교직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110(110), 33-57. 

  24. 전지형 (2015). 유아교사 인사관리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이야기. 유아교육연구, 35(6), 397-419. doi:10.18023/kjece.2015.35.6.019 

  25. Bogdan, R. C., & Biklen, S. K. (1992).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Boston, MA: Allyn and Bacon. 

  26. Brock, B. L., & Grady, M. L. (2001). From first-year to first-rate: Principals guiding beginning teachers (3rd ed.). Thousand Oaks, CA: Crown Press, Inc.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