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운영상 어려움의 예측 요인 탐색: 원장보고를 중심으로
Exploring Predictors Affecting Difficulties in Operating Childcare Centers: Focusing on Directors' Report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8 no.4, 2022년, pp.17 - 36  

신나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김경화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윤현정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노필순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송지은 (올고운 어린이집)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and process difficulties experienced by childcare center directors in operating childcare centers and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centers that affect the path.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09 childc...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47)

  1. 강미숙, 이승은, 송승민, 김수지 (2019). 가정어린이집 원장이 경험하는 운영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연구. 인간발달연구, 26(3), 117-137. https://doi.org/10.15284/kjhd.2019.26.3.117 

  2. 강현철 (2013).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적합도지수의 해석과 모형적합 전략에 대한 논의. Jour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2), 653-668. 

  3. 권경숙 (2012). 국공립어린이집 초기 운영과정에서 나타나는 원장의 어려움과 극복과정 탐색. 유아교육연구, 32(6), 191-215. https://doi.org/10.18023/kjece.2012.32.6.008 

  4. 권경숙, 박지영 (2012). 가정어린이집 원장들의 어린이집 운영 과정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1-27. 

  5. 권순동 (2015). SEM에서 위계모형을 이용한 다중공선성 문제 극복방안연구: 소셜커머스의 재구매의도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지, 22(2), 149-169. https://doi.org/10.21219/jitam.2015.22.2.149 

  6. 권혜진, 이순형 (2001). 보육시설의 집단 크기에 따른 영아의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 아동학회지, 22(4), 201-212. 

  7. 김수연, 나종혜 (2008). 보육시설장의 스트레스와 어려움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1), 45-56. 

  8. 김우영, 홍성효 (2020). 고학력 부부의 대도시 집중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21(1), 75-91. 

  9. 김윤경, 권경숙 (2013). 국공립어린이집 운영 과정에서 느끼는 원장들의 고충과 보람.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45-71. 

  10. 김하형, 김수영 (2020). 비일관적 매개효과 모형의 해석방향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9(1), 91-115. 

  11. 김희숙, 이유미, 김선정 (2021).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쉽과 자아존중감이 원장 전문성에 미치는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4), 671-683.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4.671 

  12. 나종혜, 신나리, 권연희, 배선영, 손승희 (2020). 영유아.놀이 중심 보육학개론. 파워북. 

  13. 박윤자, 이대균 (2013). 위탁 어린이집 임용원장의 어려움과 대처하기.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151-177. 

  14. 박진옥, 양승희, 김의향, 서혜전 (2017. 3). 영유아 보육의 질 확보를 위한 교사지원정책의 고찰 및 제언. 한국보육지원학회 2017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 서울. 

  15. 변선영, 황해익 (2019). 어린이집 원장의 운영관리 지원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0), 1091-1112.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10.1091 

  16. 보건복지부 (2022. 4). 2021년 보육통계. https://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에서 2022년 6월 10일 인출 

  17. 서문희, 도남희, 송신영 (2011. 12). 어린이집 설치.인가실태와 개선방안.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4104에서 2022년 7월 19일 인출 

  18. 서문희, 양미선, 이영미, 박형진, 김희정 (2013). 보육의 질 제고를 위한 보육비 산출 연구(연구보고 2013-39). 육아정책연구소.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873에서 2022년 5월 30일 인출 

  19. 서영숙, 서혜전, 김영명, 채혜선, 김진숙 (2013). 보육학개론. 양서원 

  20. 양미선 (2014).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31-46.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3.031 

  21. 양미선, 임지희 (2012). 국공립어린이집 설치.운영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연구보고 2012-21). 육아정책연구소.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752에서 2022년 7월 12일 인출 

  22. 유재언 (2014). 지역사회 영유아 지원서비스가 어린이집 충족률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34(4), 123-152. https://doi.org/10.15709/hswr.2014.34.4.123 

  23. 유재언 (2015a). 2010년-2015년 어린이집 일반특성에 따른 정원충족률 변화. 육아정책연구, 9(1), 95-118. 

  24. 유재언 (2015b). 어린이집 정원충족률에 따른 폐쇄위험과 수급조절 방안. 보건사회연구, 35(4), 462-490. https://doi.org/10.15709/hswr.2015.35.4.462 

  25. 유재언 (2017). 2015학년도 어린이집 월별 정원충족률 변화 분석을 통한 월별 통계자료 제공 필요성 논의. 디지털융복합연구, 15(3), 27-37. https://doi.org/10.14400/JDC.2017.15.3.27 

  26. 유해미, 강은진, 권미경, 박진아, 김동훈, 김근진, 김태우, 이유진, 이민경 (2018). 2018 전국보육실태조사 보고서-어린이집조사 보고.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1590에서 2021년8월 21일 인출 

  27. 유희정 (2010. 3). 서울형어린이집의 재정지원과 운영실태. 한국보육학회 2010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 서울. 

  28. 유희정, 이연승, 강민정 (2012).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른 운영 및 교사처우 실태에 대한 분석: 부산광역시 보육실태 조사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2(4), 181-202. 

  29. 이성혜, 김연하 (2013). 어린이집 교육풍토,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과정 운영의 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75-93. 

  30. 이미화, 서문희, 이정원, 이정림, 도남희, 권미경, 양미선, 손창균, 김경미 (2012). 2012년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조사 보고.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1423에서 2021년 8월21일 인출 

  31. 이소은, 정혜진 (2012). 근무기관유형과 직무만족에 따른 어린이집 원장의 소진. 아동과 권리, 16(4), 701-730. 

  32. 이은주, 박수경 (2018). 초임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3(1), 451-477. https://doi.org/10.20437/KOAECE23-1-18 

  33. 이재성, 김재일 (2014).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의 운영효율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18(3), 355-383. 

  34. 이정아, 양연숙 (2019). 가정어린이집 원장이 느끼는 운영의 어려움. 대전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7(2). 69-100. 

  35. 이정원, 이정림, 도남희, 최효미, 이재희, 이윤진, 윤지연, 염혜경 (2018). 2018 전국보육실태조사보고서-가구조사 보고.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1591에서 2021년 8월 21일 인출 

  36. 장영인 (2015). 민간어린이집 보육재정지원에 대한 쟁점 연구: 어린이집 재무회계규칙 논의의 배경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95, 53-79 

  37. 정정옥, 김승경 (2010). 보육시설장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 보육시설장을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64, 285-306. 

  38. 차영숙, 권미량 (2011).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운영관리의 어려움과 해결을 위한 노력. 생태유아교육연구, 10(3), 23-47. 

  39. 차명숙 (2015). 어린이집 평가인증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기관 배경요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4), 199-213. 

  40. 최혜영, 박진재, 신나리 (2017. 3).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기관운영정책의 고찰 및 제언. 한국보육지원학회 2017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 서울. 

  41. 한현지, 서영숙 (2013). 어린이집 운영관리 과정에 나타난 원장의 의사결정.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147-169. 

  42.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43. Browne, M. W.,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Sage. 

  44. Goelman, H., Forer, B., Kershaw, P., Doherty, G., Lero, D., & LaGrange, A. (2006). Towards a predictive model of quality in Canadian child care cent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3), 280-295. https://doi.org/10.1016/j.ecresq.2006.07.005 

  45. Howes, C., Phillips, D. A., & Whitebook, M. (1992). Threshold of quality: Implications for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center-based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63(2), 449-460. https://doi.org/449-460.10.1111/j.1467-8624.1992.tb01639.x 

  46. Kuhnel, J., Sonnentag, S., & Westman, M. (2009). Does work engagement increase after a short respite? The role of job involvement as a double-edged sword.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2(3), 575-594. https://doi.org/10.1348/096317908X349362 

  47. MacCallum, R. C., Browne, M. W., & Sugawara, H. M. (1996). Power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ample size for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Psychological Methods, 1(2), 130-149. https://doi.org/10.1037/1082-989X.1.2.1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