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메신저에서 이모티콘 캐릭터를 통한 플랫폼 비즈니스 확장에 관한 연구 - 카카오 프렌즈와 라인 프렌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 of Communication Functions in Mobile Messenger Emoticons - Focus on Line Messenger -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4, 2020년, pp.151 - 158  

김호 (강원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모바일을 활용한 SNS는 소통을 위한 필수 요소이고 수단이자 현대인의 삶의 일부분이 되었다. 비대면 소통에 익숙해진 현대인들은 문자로 표현하지 못하는 감정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이모티콘을 선택하였고, 꾸준히 그 사용량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는 다양한 스타일의 그림체와 움직임을 가지고 있는 이모티콘이 사용자들에게 감정적,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켜 그들의 취향까지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국내를 대표하는 SNS 플랫폼인 (주) 카카오에서 출시한 카카오톡(Kakao talk)과 (주) 네이버가 내놓은 라인(Line)의 초기 이모티콘 캐릭터를 이용과 다양한 플랫폼 사업으로의 확장에 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양사의 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이모티콘이 문화콘텐츠로서의 발전 방향과 지향점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NS on the mobile platform is an essential element and tool for communication and has become a part of life for many people. Having been accustomed to non-face-to-face communication, people today have chosen to use emoticons instead of text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the use of emoticons is const...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제 4장에서는 캐릭터 이모티콘을 통해 플랫폼 확장의 사례를 유형별로 정리하여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이모티콘 시장의 현주소와 이모티콘의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SNS 모바일 메신저의 새로운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카카오톡과 라인 메신저 이모티콘 캐릭터의 다양한 플랫폼에서의 적용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카카오 프렌즈와 라인프렌즈 이모티콘의 특징과 성격을 논의하였고, 이모티콘 캐릭터를 양사에서 어떻게 활용을 하고 있는지에 살펴보았다.
  • 기존 이모티콘에 관한 연구는 주로 이모티콘의 기호체계나 플랫폼 전략에 대한 분석은 있지만, 이모티콘을 활용한 비즈니스 사례에 대한 분석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들과 차별화하여 모바일 메신저의 이모티콘에 관해 국내를 대표하는 SNS 플랫폼인 ㈜ 카카오에서 출시한 카카오톡(Kakao talk)과 ㈜ 네이버에서 내놓은 라인(Line) 의 초기 이모티콘 캐릭터들을 통한 다양한 플랫폼 사업 확장에 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세계적으로 이모티콘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 본 연구를 통해 이모티콘 캐릭터를 활용한 플랫폼 비즈니스가 국내 소비자 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카카오와 네이버는 모든 사물과의 연결과 소통을 목표로 하는 생태계 경제로서 미래 지향적 비즈니스의 모습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미래의 이모티콘 캐릭터 시장은 단순히 이모티콘으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플랫폼 형태에 녹아 사용자들에게 더욱더 친숙한 향신료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
  • 세계적으로 이모티콘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를 통해 이모티콘이 하나의 캐릭터산업으로서 어떻게 다양한 플랫폼 비즈니스에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총 5장 으로 구성되어있는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 3장에서는 이모티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비즈니스 사례를 통해 제품별로 상품을 분류하였다. 제 4장에서는 캐릭터 이모티콘을 통해 플랫폼 확장의 사례를 유형별로 정리하여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이모티콘 시장의 현주소와 이모티콘의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황하성, 박성복, "문자메시지의 이모티콘 활용에 관한 연구: 이용 동기와 사회적 현존감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미디어 젠더 & 문화, 제9호, pp.133-162, 2008. 

  2. 윤민희, "세계화 시대의 카톡 이모티콘의 상징 특성 연구," 한국프랑스학회, 2016년도 한국프랑스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p.116, 2016. 

  3. http://www.ciokorea.com/news/27434 

  4. 비피기술거래, 누구나 이모티콘을 제작할 수 있다, (주)비피기술거래, p.1, 2017. 

  5. 조규명, 김경숙,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감성기호로서 이모티콘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55호, p.325, 2004. 

  6. 임윤아, 권지은, "감성 커뮤니케이션에 기반한 이모티콘 디자인 분석," 제17권, 제5호, p.475, 2016. 

  7. 김호,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185, 2017. 

  8. http://www.newsi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708 

  9. https://store.kakaofriends.com/kr/info/charInfo#/ko 

  10. https://store.linefriends.com/ 

  11. 대니얼 골먼 지음, 한창호 옮김, EQ 감성지능, 웅진지식하우스, 2008. 

  12. 비피기술거래, 누구나 이모티콘을 제작할 수 있다, (주)비피기술거래, p.45, 2017. 

  13. https://news.v.daum.net/v/20181217033013492 

  14. 박지유, "소비자 유형에 따른 콜라보레이션 차별화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제15권, 제2호, p.73, 2015. 

  15. 한국마케팅연구원 편집부, "브랜드의 매력적인 변신, 콜라보레이션," 한국마케팅연구원, 제47권, 제2호, p.62, 2013. 

  16. 김영호, "브랜드 마케팅에 있어서 캐릭터의 영향에 관하여,"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제14권, 제2호, p.537, 2014. 

  17. 한국마케팅연구원 편집부, "브랜드의 매력적인 변신, 콜라보레이션," 한국마케팅연구원, 제47권, 제2호, p.65, 2013. 

  18. 이도형,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분석을 통한 창업기업들의 전략수립을 위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1호, p.208, 2019. 

  19.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02286485g 

  20. 한국콘텐츠진흥원, 키덜트 캐릭터산업 현황 조사 및 발전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8년 8월호, p.31, 201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