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이모티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Factors of KakaoTalk Emoticon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51, 2018년, pp.361 - 390  

이종윤 (상명대학교 사진영상콘텐츠학과) ,  윤주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카카오톡 이모티콘 이용자들은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감정표현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카카오톡(Kakao Talk) 이모티콘을 이용하고 있다. 이모티콘에 담겨진 디자인적인 요소(보조, 색채, 형태, 모션)들과 스토리텔링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자신의 감정상태를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카카오톡 이모티콘이 지니고 있는 스토리텔링 및 디자인적인 요소들을 중심으로 어떠한 요인들로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감정 표현 수단으로 선호하는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모티콘의 스토리텔링적인 측면에서는 악어, 복숭아, 개, 오리, 사자, 두더지, 토끼들로 평범한 과일과 동물들로 구성하였다. 대부분의 이모티콘들은 각자 개성있는 성격의 소유자로 스토리가 구성되었으며 하나씩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는 스토리를 지니고 있어 이용자들이 친근하게 다가가고 사용할 수 있는 요인이 되었다.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다양한 보조요소(불꽃, 땀, 눈물, 콧물, 성난 눈 등)를 사용하여 화남, 간절함, 초조함, 애원, 기쁨, 슬픔 등을 표현하였다. 색채요소는 희, 노, 애, 락의 감정에 관계없이 이모티콘 캐릭터가 지니고 있는 고유의 색채(초록, 빨강, 노랑, 분홍, 하양, 검정, 밤색 등)로 대부분의 난색 계열로 구성되었다. 형태 요소는 기쁨, 슬픔 등의 요소를 표현하는 경우 둥근형의 형태로 구성되었다. 반면에 FRODO, NEO가 슬픔과 분노를 표현하는 경우에는 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모션요소로는 APPEACH, NEO, TUBE, JAY-G의 슬픔, 분노, 애원의 감정 표현에는 수평/수직/사선으로 표현하고 APEACH, TUBE, MUZI & CON등의 기쁨, 슬픔의 감정 표현은 수평/수직/사선과 방사/앞뒤/회전의 역동적인 느낌을 나타내고 있다. TUBE, FRODO의 분노는 수평/수직/사선과 방사 모션을 나타낸다. 본 연구결과 스토리텔링 측면에서는 감정을 차별화할 수 있는 스토리를 각 이모티콘 캐릭터에 맞게 구성하였다.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보조요소 불꽃, 땀, 눈물과 같은 감정의 대표적인 요소를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색채 요소는 감정의 차이와는 관계없이 난색 계열의 캐릭터 고유색을 사용하였다. 형태 요소는 각 감정 표현을 위해 다양한 움직임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커뮤니케이션 측면, 감성디자인 측면, 산업적인 측면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논문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스토리텔링의 분석틀과 보조요소에 대한 기호학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을 연구의 한계점으로 두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ers of KakaoTalk emoticons use Kakao Talk emoticons as means of communicating their emotions in virtual space. Emotional state is represented by design element (auxiliary, color, form, motion) and storytelling element contained in emotic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카카오톡 이모티콘 선호요인에 관하여 스토리텔링과 디자인측면(보조요소, 색채 요소, 형태 요소, 모션 요소)에서 요인들을 찾는데서 부터 출발하였다. 기초조형학회 이종윤 논문인 「카카오톡 이모티콘 이용동기와 충족에 관한 연구」에서 인용한 결과 중 카카오톡 이모티콘 이용동기 문항 중 디자인 측면에서의 이용요인과 카카오톡 이모티콘 캐릭터가 지니고 있는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이용 동기에 어떠한 선호 요인이 있는지 알아본 것이다.
  • 디자인측면에서 보조 요소, 색채 요소, 형태 요소, 모션 요소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보조요소는 이모티콘의 캐릭터와 그 배경에 있는 이미지, 색채요소(色彩)는 색이 무늬로 형상화되거나 칠해진 것이며 색을 무늬화해서 배색해 놓은 것으로 난색과 한색으로 분류한다.
  • 본 논문은 카카오톡 이모티콘 캐릭터의 스토리텔링과 디자인적인 측면에서의 선호 요인 분석의 시작에 불과하다. 앞으로 좀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분석틀을 가지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스토리측면과 디자인 영역측면에 대해서 논의를 하고자 한다.
  • 색채의 심리적 의미는 색채가 지닌 정서적·내포적 의미를 나타내며 색채 기호나 연상을 통해 표현된다. 본 연구는 일본색채 연구소의 색의 상징표를 통해 색의 상징(color symbolism)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카카오톡 이모티콘 선호요인에 관하여 스토리텔링과 디자인측면(보조요소, 색채 요소, 형태 요소, 모션 요소)에서 요인들을 찾는데서 부터 출발하였다. 기초조형학회 이종윤 논문인 「카카오톡 이모티콘 이용동기와 충족에 관한 연구」에서 인용한 결과 중 카카오톡 이모티콘 이용동기 문항 중 디자인 측면에서의 이용요인과 카카오톡 이모티콘 캐릭터가 지니고 있는 스토리텔링을 바탕으로 이용 동기에 어떠한 선호 요인이 있는지 알아본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카카오톡 이모티콘의 각 캐릭터가 지니고 있는 스토리텔링적(스토리밸류, 사건, 배경 이야기) 요소와 디자인적인 요소(보조요소, 색상요소, 형태 요소, 모션 요소)등을 중심으로 카카오톡 이모티콘 이용자들이 어떠한 요소로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이용하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산업적인 측면과 학문적(스토리텔링, 디자인)인 측면에서 중요한 연구가 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카카오톡 이모티콘 초기의 기본 이모티콘 중 감성을 나타내는 기본 이미지들로 연구의 대상을 한정하였다. 본 연구의 초기 단계에 유용한 의미를 얻기 위해서는 초기 이모티콘 중에서 감성을 표현하고 있는 초기 이미지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 분노 메시지를 표현하는 무거운 분위기는 유지를 하였다. 분노에 적합한 색상과 함께 SNS 상에서 이모티콘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태의 변화를 통하여 약간 익살스러운 느낌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FRODO는 좌절과 화난 분위기를 밤색, 분홍, 빨강, 하양으로 표현하였다.
  •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선호요인을 추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카카오톡 이모티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세부적인 내용을 논의하고자 한다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자인 측면에서 모션 요소는 무엇인가? 즉 색채는 인간과 관계된 현상학, 예술, 심리 영역이 포함된다4) 형태 요소는 이모티콘 캐릭터의 전체 형태를 통해 부드러움, 딱딱함을 전달하는 요소를 말한다. 모션 요소는 캐릭터의 감정을 전달하기 위한 움직임을 표현하는 요소로 정지와 역동적인 느낌을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디자인적인 면에서 카카오톡 이모티콘 캐릭터의 보조요인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결론적으로, 카카오톡 이모티콘 캐릭터는 독특하고, 콤플렉스가 있으며 호기심을 자극하는 스토리로 구성되었다. 디자인적인측면에서 보조요인은 짧은 시간에 이모티콘의 감정 표현의 의미를 표현할 수 있도록 기호를 단순화, 감정의 극대화에 의미를 표현하였다. 색채요인은 NEO, FRODO, JAY-G는 분노, 좌절, 슬픔을 어두운 한색으로 표현하고 다른 이모티콘 캐릭터는 감정과 관계없이 본래의 색상인 난색을 유지하였다.
카카오톡 이모티콘은 어떤 용도로 이용되는가? 카카오톡 이모티콘 이용자들은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감정표현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카카오톡(Kakao Talk) 이모티콘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카카오톡 이모티콘 산업은 SNS 이용의 확대로 인하여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서 텍스트 보다 활용도가 높고 더 많은 감정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가상공간에서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선진, 모바일 메신저의 이모티콘 특성에 관한 연구 - 국내, 해외 대표 앱(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왓츠앱)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권 1호 (2014), pp,87-96. 

  2. 김아라, 한정희,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이모티콘" 찾기에 관한 연구, HCI2013, (2013), pp, 435-439. 

  3. 양혜인, 이수진, 김수정, 이모티콘 컨텍스트에 의한 감정 커뮤니케이션 연구 -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8권 3호 (2017), pp,237-248. 

  4. 윤민희, 카카오톡 이모티콘의 기호체계 및 상징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권 2호 (2017), pp,443-455. 

  5. 이성준, 성격 특성과 이용 동기가 모바일 메신저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에 미치는 영향 - 카카오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논문지, 15권 12호 (2015), pp,129-140. 

  6. 이영미, SNS 모바일 메신저 융합형 이모티콘의 디자인 분석-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38권 0호 (2013), pp,93-102. 

  7. 이종윤, 카카오톡 이모티콘 이용동기와 충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9권 1호 (2018), pp, 435-445. 

  8. 정보희, 배정호,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 대한 신뢰, 이모티콘 사용태도와 이모티콘 구매의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 - 카카오톡 사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권 10호 (2016), pp, 311-325. 

  9. 조규명, 김경숙,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감성기호로서 이모티콘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제55호 17권 1호 (2004), pp, 319-328. 

  10. 홍장선, 이종윤,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통한 자아표상과 이에 따른 기호특성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5권 4호 (2014), pp, 495-505. 

  11. http://www.k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67335, KINEWS, 2018.04.17 

  12. http://www.etnews.com/20171129000416, 전자신문, 2018.04.17. 

  13. https://namu.wiki/w/어피치 나무위키, 2018. 05. 10 

  14. https://namu.wiki/w/카카오프렌즈 나무위키, 2018. 05. 10 

  15. https://namu.wiki/w 나무위키, 2018. 05. 10 

  16. https://namu.wiki/w 나무위키, 2018. 05. 10 

  17. https://namu.wiki/w 나무위키, 2018. 05. 10 

  18. https://namu.wiki/w 나무위키, 2018. 05. 10 

  19. https://namu.wiki/w 나무위키, 2018. 05. 10 

  20. https://namu.wiki/w/Jay-G 나무위키, 2018. 05. 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