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금융범죄 취약성인식과 모바일금융 사용 간의 관계에서 모바일금융 범죄두려움의 매개효과
Mediated Effect of Mobile Financial Crime Fea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Financial Crime Vulnerability Perception and Mobile Financial Us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4, 2020년, pp.305 - 314  

권준성 (경기대학교 교육혁신처) ,  공정식 (경기대학교 인문사회계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모바일환경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비교적 자유로우며, 비대면 채널로서 신체적·사회적 취약성이 적용되지 않는 등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시공간적 특수성은 이용자들의 심리 작용 및 행위에 일반적인 대면 환경과는 다른 형태로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대면 환경에서의 심리 변인을 연구해온 기존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모바일환경에서의 실증 연구를 수행해 내용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모바일금융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소비자가 느끼는 취약성과 범죄에 관한 불안과 관련한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취약집단이 모바일금융환경에서 느끼는 인식을 살펴봄과 더불어 범죄두려움과 취약성인식, 모바일금융 사용의 관계를 파악하는 실증 연구를 수행하고, 이에 대한 단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전통적 취약집단 중 여성은 남성보다 모바일금융환경에서도 스스로 취약성이 있다고 인식하였고 범죄두려움을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모바일금융 범죄 취약성이 모바일금융 사용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모바일 범죄두려움을 완전매개하여 모바일금융 사용에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bile environment is relatively free from time and space constraints, and has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not applying physical and social vulnerability because of it's non-face-to-face channel. Since such spatial and temporal speciality is likely to appear in a different form from psychological...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표적인 모바일범죄의 유형은 모바일기기를 통한 악성코드 사용 범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한 개인정보 유출 혹은 계정 도용 범죄, 저작권 위반에 해당하는 범죄, 그리고 피싱·스미싱·파밍 등 금융범죄 등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적합하도록 이 중 모바일기기를 통한 금융범죄, 즉 모바일금융범죄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구체적인 유형을 살펴보았다.
  • 이에 관해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모바일금융 환경에서 사회적 취약집단이 느끼는 범죄두려움과 범죄 취약성인식이 모바일금융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자 하였고, 소비자들이 모바일금융을 이용하는 것에 불안감을 느끼는 원인을 범죄 취약성인식과 범죄두려움의 이론을 통해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선 문헌연구와 이론적 배경 검토, 그리고 실증 연구를 통해 모바일금융 환경에서 범죄두려움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소비자가 스스로 느끼는 취약성 인식과 범죄두려움, 그리고 모바일금융 이용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박종옥, 손상희, "소비자의 금융소비자문제경험과 영 향 요인 분석," 소비자문제연구, 제43호, pp.49-69, 2012. 

  2. 지광석, 하정철, "신기술의 불확실성과 소비자안전에 대한 고찰," 소비자문제연구, 제42호, pp.1-25, 2012. 

  3. 한지형, "소비자는 왜 모바일금융 환경에서 불안을 느끼는가?," 소비자정책교육연구, 제15권, 제3호, pp.51-73, 2019. 

  4. M. L. Meuter, A. L. Ostrom, M. J. Bitner, and R. Roundtree, "The influence of technology anxiety on consumer use and experiences with self-service technologi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6, No.11, pp.899-906, 2003. 

  5. E. Paul, I. Zhu, D. Landsman, and H. M. Randall, "Genome-Wide Association of Mediator and RNA Polymerase II in Wild-Type and Mediator Mutant Yeast, Mol Cell Biol," Vol.35, No.1, pp.331-42, 2015. 

  6. 김성언, "범죄 피해와 범죄의 두려움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학, 제12권, 제1호, pp.55-80, 2018. 

  7. 오봉옥, 취약집단의 범죄두려움에 관한 다수준적 접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8. 이규범, 북한이탈주민의 취약성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문화변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9. 문윤지, "모바일뱅킹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 경영과 정보연구, 제38권, 제1호, pp.103-120, 2019. 

  10. 신재헌, 김상운, "모바일 범죄의 특성과 예방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제9권, 제1호, pp.122-144, 2014. 

  11. F. Furstenburg, "Public Reaction to Crime in the Streets," American Scholar, Vol.40, pp.601-610, 1971. 

  12. J. Garofalo, "Victimization and the Fear of Crim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Vol.16, pp.80-97, 1979. 

  13. N. E. Rader, "The Threat of Victimization: A Theoretical Reconceptualization of Fear of Crime," Sociological Spectrum, Vol.24, pp.689-704, 2004. 

  14. V. Sacco, When Crime Waves, Thousand Oaks, CA: Sage, 2005. 

  15. J. Jackson, "Introducing Fear of Crime to Risk Research," Risk Analysis, Vol.26, No.1, pp.253-264, 2006. 

  16. 장안식, 정혜원, 김준호, "범죄에 대한 일반적 두려움과 구체적 두려움의 차이,"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논문집, pp.381-39, 2010. 

  17. C. Hale, "Fear of Crime: A review of Literature," International Review of Victimology, Vol.4, No.2, pp.79-150, 1996. 

  18. 차훈진, "성별에 따른 범죄에 대한 인식이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경찰연구, 제7권, 제3호, pp.177-210, 2008. 

  19. 한동호, "사이버 금융사기의 체험적 사례 연구: 구체적 과정과 대책을 중심으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제4권, 제1호, pp.193-200, 2018. 

  20. 최인섭, 김지선, "범죄의 두려움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pp.13-214, 1996. 

  21. T. Hedden and J. D. C. Gabrieli, "Insighys into the ageing maid: A view from cognitive neuroscience," Nature Reviews Neuroscience, Vol.5, pp.87-96, 2004. 

  22. 김연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원인과 반응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