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촉매 소재 개발을 위한 원자층증착법 연구 동향
Recent Research Progress on the Atomic Layer Deposition of Noble Metal Catalysts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27 no.1, 2020년, pp.63 - 71  

한정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necessary to fabricate uniformly dispersed nanoscale catalyst materials with high activity and long-term stability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with excellent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and hydrogen oxidation reaction. Platinum is known a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리뷰에서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촉매 개발을 위한 원자층증착공정(ALD)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ALD를 이용하여 넓은 표면적과 복잡한 구조의 다공성 지지체 위 에 고르게 분포한 나노 사이즈의 Pt, Pd, Pt-Ru, Pt-Pd 등 귀금속 촉매를 증착 할 수 있었다.
  • 본 리뷰에서는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한 귀금속 증착 공정 개발 및 이를 통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촉매 소재 연구 동향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2장에서는 원 자층증착법을 이용한 다양한 귀금속(Pt, Pd, Ru, Pt-Ru, Pt-Pd 등) 촉매 소재 증착 공정에 대해 서술하며, 3장에서는 원자층증착법을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성능 향상 기술 동향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가설 설정

  • Reproduced with permission [19], Copyright 2013, American Chemical Society. (b) Area selective atomic layer deposition of Pt on defect sites of graphite. Reproduced with permission [20], Copyright 2012, American Chemical Societ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수소 고분자 연료전지와 알코올을 연료로 사용하는 직접 알코올 연료전지(Direct Alcohol Fuel Cell, DAFC)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연료 전지는 낮은 동작 온도(50-200 oC)에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 전자기기, 수송용 전원 등 이동식 동력원으로 활용이 가능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낮은 동작 온도에서 산소 환원 반응(Oxygen Reduction Reaction, ORR) 및 수소 산화 반응(Hydrogen Oxidation Reaction, HOR)이 빠르 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촉매 활성도가 높은 고가의 귀금속 촉매 사용이 필수적이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백금 (Pt), 팔라듐(Pd), 루테늄(Ru) 등 귀금속 촉매가 담지된 전 극 소재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5, 6]. 특히 수소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경우 연료극에서의 수소 산화 반응은 빠르게 이루어지지만 공기극에서의 산소 환원 반응은 매우 느려 다량의 귀금속 촉매 사용을 통해 연료 전지 성능 특성을 확보하고 있다.
연료전지란 무엇인가? 연료전지는 수소, 알코올 등을 연료로 사용하여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친환경 전기화학 발전 장치로써 화학에너지의 연소를 통해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화력 발전과 비교하여 더 높은 에너지 효율(약 50-85%)을 보여 차세대 신재생에너지원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1-3]. 그림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료전지는 연료극(anode), 공기극(cathode), 전해질(electrolyte)로 구성되며 연료극에서는 수소, 알코올 등 과 같은 연료의 산화 반응에 의하여 수소 이온(H+ )과 전 자(e− )를 생성하고, 수소 이온은 전해질을 통해 공기극으로 전달되며 전자는 외부 회로를 통해 공기극으로 이동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된다[4].
본 연구에서 원자층증착공정(ALD)을 이용하여 지지체에 촉매를 증착시킨 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ALD를 이용하여 넓은 표면적과 복잡한 구조의 다공성 지지체 위 에 고르게 분포한 나노 사이즈의 Pt, Pd, Pt-Ru, Pt-Pd 등 귀금속 촉매를 증착 할 수 있었다. ALD를 이용하여 제조한 수소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및 직접 알코올 연료전지용 촉매는 기존 습식 및 건식 증착법으로 제조한 촉매와 비교하여 더 우수한 활성도 특성을 보여 연료전지 제조에 있어 ALD 기술의 높은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nO2 및 TaOx와 같은 산화물의 영역 선택적 원자층증착기술을 이용하여 귀금속 나노 입자 촉매의 연료전지 구동에 따른 활성도 저하 방지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Fuel cell,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aedia. Available online at: http://en.wikipedia.org/wiki/Fuelcell. 

  2. S. Mekhilef, R. Saidur and A. Safari: Renew. Sustain. Energy Rev., 16 (2012) 981-989. 

  3. A. Kirubakaran, S. Jain and R. K. Nema: Renew. Sustain. Energy Rev., 13 (2009) 2430. 

  4. A. J. Stephen, N. V. Rees, I. Mikheenko and L. E. Macaskie: Front. Energy Res., 7 (2019) 1. 

  5. T. R. Ralph and M. P. Hogarth: Platinum Metals Rev., 46 (2002) 3. 

  6. N. Tian, B.-A. Lu, X.-D. Yang, R. Huang, Y.-X. Jiang, Z.-Y. Zhou and S.-G. Sun: Electrochem. Energy. Rev., 1 (2018) 54. 

  7. A. Esmaeilifar, S. Rowshanzamir, M. H. Eikani and E. Ghazanfari: Energy, 35 (2010) 3941. 

  8. S. Litster and G. McLean: J. Power Sources, 130 (2004) 61. 

  9. Y. Yuan, J. A. Smith, G. Goenaga, D.-J. Liu, Z. Luo and J. Liu: J. Power Sources, 196 (2011) 6160. 

  10. Z. Song, M. N. Banis, H. Liu, L. Zhang, Y. Zhao, J. Li, K. Doyle-Davis, R. Li, S. Knights, S. Ye, G. A. Botton, P. He and X. Sun: ACS Catal0., 9 (2019) 5365. 

  11. D. M. King, J. A. Spencer II, X. Liang, L. F. Hakim and A. W. Weimer: Surf. Coat. Technol., 201 (2007) 9163. 

  12. J. A. McCormick, B. L. Cloutier and A. W. Weimer: J. Vac. Sci. Technol. A, 25 (2007) 67. 

  13. S. W. Park, J. W. Kim, H. J. Choi and J. H. Shim: J. Vac. Sci. Technol. A, 32 (2014) 01A115. 

  14. T. Aaltonen, M. Ritala, T. Sajavaara, J. Keinonen and M. Leskela: Chem. Mater., 15 (2003) 1924. 

  15. J. Hamalainen, F. Munnik, M. Ritala and M. Leskela: Chem. Mater., 20 (2008) 6840. 

  16. W.-J. Lee, Z. Wan, C.-M. Kim, I.-K. Oh, R. Harada, K. Suzuki, E.-A. Choi and S.-H. Kwon: Chem. Mater., 31 (2019) 5056. 

  17. C. Wang, L. Hu, K. Poeppelmeier, P. C Stair and L. Marks: Nanotechnology, 28 (2017) 185704. 

  18. A. J. M. Mackus, N. Leick, L. Baker and W. M. M. Kessels: Chem. Mater., 24 (2012) 1752. 

  19. A. J. M. Mackus, M. A. Verheijen, N. Leick, A. A. Bol and W. M. M. Kessels: Chem. Mater., 25 (2013) 1905. 

  20. H.-B.-R. Lee and S. F. Bent: Chem. Mater., 27 (2015) 6802. 

  21. J. J. Pyeon, C. J. Cho, S.-H. Baek, C.-Y. Kang, J.-S. Kim, D. S. Jeong and S. K. Kim: Nanotechnology, 26 (2015) 304003. 

  22. Y.-C. Hsueh, C.-C. Wang, C.-C. Kei, Y.-H. Lin, C. Liu and T.-P. Perng: J. Catal., 294 (2012) 63. 

  23. V. C. Anitha, R. Zazpe, M. Krbal, J. Yoo, H. Sopha, J. Prikryl, G. Cha, S. Slang, P. Schmuki and J. M. Macak: J. Catal., 365 (2018) 86. 

  24. W.-J. Lee, S. Bera, H.-C. Shin, W.-P. Hong, S.-J. Oh, Z. Wan and S.-H. Kwon: Adv. Mater. Interfaces, 6 (2019) 1901210. 

  25. C. Liu, C.-C. Wang, C.-C. Kei, Y.-C. Hsueh and T.-P. Perng: Small, 5 (2009) 1535. 

  26. J. J. Senkevich, F. Tang, D. Rogers, J. T. Drotar, C. Jezewski, W. A. Lanford, G.-C. Wang and T.-M. Lu: Chem. Vap. Deposition, 9 (2003) 258. 

  27. H. Feng, J. W. Elam, J. A. Libera, W. Setthapun and P. C. Stair: Chem. Mater., 22 (2010) 3133. 

  28. M. J. Weber, A. J. M. Mackus, M. A. Verheijen, V. Longo, A. A. Bol and W. M. M. Kessels: J. Phys. Chem. C, 118 (2014) 8702. 

  29. Y. Lei, B. Liu, J. Lu, R. J. Lobo-Lapidus, T. Wu, H. Feng, X. Xia, A. U. Mane, J. A. Libera, J. P. Greeley, J. T. Miller and J. W. Elam: Chem. Mater., 24 (2012) 3525. 

  30. K. Cao, Q. Zhu, B. Shan and R. Chen: Sci. Rep., 5 (2015) 8470. 

  31. A.-C. Johansson, J. V. Larsen, M. A. Verheijen, K. B. Haugshoj, H. F. Clausen, W. M. M. Kessels, L. H. Christensen and E. V. Thomsen: J. Catal., 311 (2014) 481. 

  32. A.-C. Johansson, R. B. Yang, K. B. Haugshoj, J. V. Larsen, L. H. Christensen and E. V. Thomsen: Int. J. Hydrogen Energy, 38 (2013) 11406. 

  33. A. Santasalo-Aarnio, E. Sairanen, R. M. Aran-Ais, M. C. Figueiredo, J. Hua, J. M. Feliu, J. Lehtonen, R. Karinen and T. Kallio: J. Catal., 309 (2014) 38. 

  34. L. Assaud, E. Monyoncho, K. Pitzschel, A. Allagui, M. Petit, M. Hanbucken, E. A. Baranova and L. Santinacci: Beilstein J. Nanotechnol., 5 (2014) 162. 

  35. J. Lu, K.-B. Low, Y. Lei, J. A. Libera, A. Nicholls, P. C. Stair and J. W. Elam: Nat. Commun., 5 (2014) 3264 

  36. C.-T. Hsieh, Y.-Y. Liu, D.-Y. Tzou and W.-Y. Chen: J. Phys. Chem. C, 116 (2012) 26735. 

  37. O. A. Petrii: J. Solid State Electrochem., 12 (2008) 609. 

  38. E. Rikkinen, A. Santasalo-Aarnio, S. Airaksinen, M. Borghei, V. Viitanen, J. Sainio, E. I. Kauppinen, T. Kallio and A. O. I. Krause: J. Phys. Chem. C, 115 (2011) 23067. 

  39. S. T. Christensen, H. Feng, J. L. Libera, N. Guo, J. T. Miller, P. C. Stair and J. W. Elam: Nano Lett., 10 (2010) 3047. 

  40. J. C. Meier, C. Galeano, I. Katsounaros, J. Witte, H. J. Bongard, A. A. Topalov, C. Baldizzone, S. Mezzavilla, F. Schuth and K. J. J. Mayrhofer: Beilstein J. Nanotechnol., 5 (2014) 44. 

  41. C. Marichy, G. Ercolano, G. Caputo, M. G. Willinger, D. Jones, J. Roziere, N. Pinna and S. Cavaliere: J. Mater. Chem. A, 4 (2016) 969. 

  42. Z. Song, B. Wang, N. Cheng, L. Yang, D. Banham, R. Li, S. Ye and X. Sun: J. Mater. Chem. A, 5 (2017) 976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