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한 성인의 대북식량지원에 대한 태도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ttitude of South Korean adults toward food aid to North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3 no.2, 2020년, pp.215 - 229  

남영민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지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대북식량지원과 관련한 남한 성인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고 이러한 태도와 관련한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응답자의 44.6%가 대북식량지원에 찬성, 36.7%가 반대하였으며, 나머지 18.7%는 뚜렷한 의견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북식량지원 찬성군은 반대군에 비해 대북지원 및 대북식량지원에 대한 관심이 높고, 대북식량지원 효과와 통일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적절한 대북식량지원 방법에 대하여 대북식량지원 찬성군에서는 남한정부의 직접지원을, 반대군에서는 국제기구를 통한 지원을 선택한 응답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대북식량지원 찬성군은 반대군에 비해 북한의 기아수준과 식량부족 및 영양불량에 대해 더 심각하게 인식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대북식량지원 효과에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응답자에서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대북식량지원에 찬성할 확률이 매우 높게 나타나, 국민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대북식량지원 효과에 대한 강조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수보다 진보적인 정치 성향의 응답자가, 20-30대보다 40-50대 응답자가 대북식량지원에 찬성할 확률이 높았다. 대북식량지원에 대한 관심이 높고 통일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응답자에서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대북식량지원에 찬성할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북식량지원에 대하여 찬성하는 남한 성인과 반대하는 남한 성인 간에는 인구사회학적인 특성과 더불어 대북식량지원 관련 인식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특히, 대북식량지원 효과에 대한 인식은 남한 성인의 대북식량지원에 대한 태도와 큰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대북식량지원을 추진함에 있어 국민적 공감대와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전략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attitude of South Korean adults toward food aid to North Korea and factors associated with it. Methods: An online survey involving 1,000 adults aged 19-69 years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October 2019. Throughout South Korea, the subjects were proportionally d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대북식량지원과 관련한 남한 성인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고 이러한 태도와 관련한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응답자의 44.
  • 우리나라의 대북식량지원은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상황에 크게 좌우되어 왔으며, 사회적 합의를 이루지 못한 채 논란의 중심이 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대북식량지원에 대한 남한 성인의 인식과 더불어 태도를 조사하고 이러한 태도와 관련한 요인을 분석하여 대북식량지원에 대한 국민적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정책적으로 활용한다면 대북식량지원에 대한 국민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국민적 지지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대북식량지원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 또한 대북지원 및 대북식량지원에 대한 관심, 대북식량지원 효과에 대한 인식, 통일에 대한 인식을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이에 더하여 대북식량지원이 필요한 대상 및 적절한 대북식량지원 방식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 그러므로 국민적 지지와 사회적 합의에 기초한 대북식량지원의 추진을 위해서는 대북식량지원에 대한 태도 및 이와 관련한 요인 등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대북식량지원과 관련한 남한 성인의 인식과 더불어 태도를 조사하고 이러한 태도와 관련한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대북식량지원을 추진함에 있어 국민적 합의 도출을 위한 전략 수립에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또한 통일을 보다 희망하며 통일의 실현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전망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와 같이 대북식량지원 태도에 따라 통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어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결과를 고찰할 수는 없으나, 다양한 조사 및 연구에서 국민의 통일 의식을 분석하였으므로 그 전반적인 내용을 참고하고자 한다. 여러 선행연구에 따르면, 국민들은 통일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23-2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STAT [Internet]. Rom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c2019 [cited 2019 Dec 20]. Available from: http://www.fao.org/faostat. 

  2. Moon KY, Park JY, Song YH. 20 years of aid to North Korea - searching for a new paradigm through critical review. J Int Politics 2018; 23(1): 103-126. 

  3. Ministry of Unification. Press release of Ministry of Unification [Internet]. Seoul: Ministry of Unification; c2019 [cited 2020 Jan 7]. Available from: https://www.unikorea.go.kr/unikorea/news/release. 

  4. European Commission - Directorate General for Humanitarian Aid and Civil Protection. ECHO daily flash 23 February 2019. Brussels: European Commission - Directorate General for Humanitarian Aid and Civil Protection; 2019. 

  5. United Nations. UN News [Internet]. New York (NY): United Nations; c2019 [cited 2020 Jan 7]. Available from: https://news.un.org. 

  6. Ministry of Unification. Unification pictures of Ministry of Unification [Internet]. Seoul: Ministry of Unification; c2019 [cited 2020 Jan 7]. Available from: https://www.unikorea.go.kr/unikorea/news/mov. 

  7. World Food Programme. News releases [Internet]. Rome: World Food Programme; c2019 [cited 2020 Apr 17]. Available from: https://www.wfp.org/news. 

  8. Korea G. Gallup Korea daily opinion. No. 354 (week 3, May 2019). Seoul: Gallup Korea; 2019. 

  9. Park J, Rhee M, Cho WB. Study Series 18-02. 2017 survey of inter-Korean integration. Seoul: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2018. 

  10. YTN. YTN survey: public opinion on the food aid to North Korea. Seoul: YTN; 2019. 

  11.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Resident registration demographics (August 2019). Sejong: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9. 

  12.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Conflict factors in Korean society and the future of Korea integration. Proceedings of Special Academic Conference; 2016 Jun 10; Seoul. Seoul: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2016. 

  13. Database Center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NK Social Research. 2014 Public perception survey of human right of North Korea. Proceedings of the Survey Results Presentation Seminar; 2014 Dec 22; Seoul. Seoul: NK Social Research; 2014. 

  14. Chun KH, Jo DJ, Kim BY, Kim HJ, An SY, Lee JM, et al. 2018 South-North Koreas integration index.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2018. 

  15. Jeong DJ, Kim S, Kim HJ, Na YW, Moon IC, Song YH, et al. 2018 unification perception surve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2018. 

  16. von Grebmer K, Bernstein J, Patterson F, Wiemers M, Ni Cheilleachair R, Foley C, Gitter S, Ekstrom K, Fritschel H. 2019 global hunger index: the challenge of hunger and climate change. Bonn/Dublin: Welthungerhilfe/Concern Worldwide; 2019. 

  17.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Resident registration demographics (December 2019). Sejong: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9. 

  18. Kwon SH. Determinants of individuals' preferences toward North Korea policy, 2007-2014. J Peace Stud 2016; 17(5): 165-191. 

  19. Min TE. South-South conflict: humanitarian aid to North Korea. Korean J Legis Stud 2016; 22(3): 201-229. 

  20. Lee HS, Park JS. Interest-based perceptions on unification and policy preferences in South Korea. National Strategy 2016; 22(4): 34-64. 

  21. Korea G. Gallup Korea daily opinion. No. 316 (week 4, July 2018). Seoul: Gallup Korea; 2018. 

  22. Park HJ, Lee SH. Focusing on error, scientific survey method that change the world. Seoul: Changjisa; 2017. 

  23. KBS South-North Koreas Cooperation Institute. 2019 Unification perception survey. Seoul: KBS South-North Koreas Cooperation Institute; 2019. 

  24. Park YD, Lee JM. A cohort analysis of attitudes toward national unification and North Korea. J Glob Politics 2016; 9(2): 32-67. 

  25. Lee SS. Do we trust North Korea?: an analysis of Korea trust process with survey data. Korean Polit Sci Rev 2013; 47(4): 113-134. 

  26. Lee SY.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political power and changes in public opinion on North Korea policy 2015 vs. 2017. Jeju: Jeju Peace Institute; 2019. 

  27. Cho KS. Infant/child mortality and humanitarian aids to North Korea. Health Soc Welf Rev 2016; 35(3): 485-515. 

  28. Park SM, Lee HW. Current status of healthcare and effective health aid strategies in North Korea. J Korean Med Assoc 2013; 56(5): 368-374. 

  29. Kim SH, Lee SH, Hwang SH. Aid to North Korea for capacity building of the unification of Kore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ole of stat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J Int Politics 2018; 23(1): 5-43. 

  30. Moon K. Reinterpretation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security. North Korean Stud Rev 2012; 16(2): 295-328. 

  31. Kim SJ. Tasks and directions of development support for North Korea. Sejong: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