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 및 불안증상과 자아탄력성, 사회적 갈등 및 지지 사이의 연관성
Association of Depressive/Anxiety Symptoms with Ego Resilience and Social Conflict/Support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16 no.1, 2020년, pp.9 - 17  

정회운 (조선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상훈 (조선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박상학 (조선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승곤 (조선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정호 (조선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서은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 ,  윤형준 (조선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depressive/anxiety symptoms with psychosocial factors including ego resilience, social conflict, and social support as well as hemoglobin A1c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DM). Methods : The subjects were 144 pati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요약하면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 내분비내과 외래에서 치료 중인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갈등 HbAlc 수치가 우울과 불안증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우울 증상의 보호요인이었고, 사회적 갈등은 우울증상의 위험요인이었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불안증상의 보호요인으로 , HbAlc 수치와 사회적 갈등은 불안증상의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비록 아직 근거가 부족하지만 본 결과는 자아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사회적 갈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신사회적 접근이 당뇨병 환자의 우울과 불안 증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본 연구결과는 당뇨병에서 우울과 불안 증상의 일차예방 뿐 아니라 조기발견과 치료를 촉진시킬 수 있는 정신건강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에서 당뇨병으로 약물치료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자아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갈등이 동반된 우울과 불안 증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혈당 조절 상태를 반영하는 HbAlc 수치와 우울 및 불안 증상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당뇨병 환자에서 자아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우울 및 불안증상과 부적 상관성을 보일 것이며 사회적 갈등은 우울 및 불안증상과 정적 상관성을 보일 것이다. 둘째, 당뇨병 환자에서 HbAlc 수치는 우울 또는 불안 증상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일 것이다

가설 설정

  • 이에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에서 당뇨병으로 약물치료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자아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갈등이 동반된 우울과 불안 증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혈당 조절 상태를 반영하는 HbAlc 수치와 우울 및 불안 증상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당뇨병 환자에서 자아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우울 및 불안증상과 부적 상관성을 보일 것이며 사회적 갈등은 우울 및 불안증상과 정적 상관성을 보일 것이다. 둘째, 당뇨병 환자에서 HbAlc 수치는 우울 또는 불안 증상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WHO. WHO Diabetes fact sheets. Available at http://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diabetes [accessed on July 15, 2019]. 

  2.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8.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2018 

  3. Li R, Bilik D, Brown MB, Zhang P, Ettner SL, Ackermann RT, et al. Medical costs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complications and comorbidities. Am J Manag Care 2013;19:421-430. 

  4. Anderson RJ, Freedland KE, Clouse RE, Lustman PJ. The prevalence of comorbid depression in adults with diabetes: a meta-analysis. Diabetes Care 2001;24:1069-1078. 

  5. Holt RI, Phillips DI, Jameson KA, Cooper C, Dennison EM, Peveler RC.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iabetes mellitus: findings from the Hertfordshire Cohort Study. Diabet Med 2009;26:641-648. 

  6. Grigsby AB, Anderson RJ, Freedland KE, Clouse RE, Lustman PJ. Prevalence of anxiety in adults with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J Psychosom Res 2002;53:1053-1060. 

  7. Lloyd CE, Dyer PH, Barnett AH. Prevalence of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a diabetes clinic population. Diabet Med 2000;17: 198-202. 

  8. Camara A, Balde NM, Enoru S, Bangoura JS, Sobngwi E, Bonnet F. Prevalence of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diabetic African patients in Guinea: association with HbA1c levels. Diabetes Metab 2015;41:62-68. 

  9. Egede LE, Ellis C, Grubaugh AL. The effect of depression on selfcare behaviors and quality of care in a national sample of adults with diabetes. Gen Hosp Psychiatry 2009;31:422-427. 

  10. Katon WJ, Rutter C, Simon G, Lin EH, Ludman E, Ciechanowski, et al. The association of comorbid depression with mortalit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5;28:2668-2672. 

  11. Bystritsky A, Danial J, Kronemyer D. Interactions between diabetes and anxiety and depression: implications for treatment.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2014;43:269-283. 

  12. Song MS, Cho YI. A study of depression, anxiety, stress response and self-care by gender in diabetic patients. Korean J Rehabil Nurs 2006;9:145-152. 

  13. Goldman LS, Nielsen NH, Champion HC. Awareness,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pression. J Gen Intern Med 1999;14:569-580. 

  14. Block JH, Block J.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Colloness WA, editors.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Mahwah: Lawrence Erlbaum Associates;1980. p.39-101. 

  15. Block J, Kremen AM.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 Pers Soc Psychol 1996;70:349-361. 

  16. Johnson J, Gooding PA, Wood AM, Tarrier N. Resilience as positive coping appraisals: Testing the schematic appraisals model of suicide (SAMS). Behav Res Ther 2010;48:179-186. 

  17. Kyoung M, Min JA, Chae JH. Relationship of affective symptoms and resilience with childhood abuse in patients with depressive or anxiety disorders. Anx Mood 2013;9:68-73. 

  18. Cohen S, Wills TA.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 Bull 1985;98:310-357. 

  19. Westdahl C, Milan S, Magriples U, Kershaw TS, Rising SS, Ickovics JR. Social support and social conflict as predictors of prenatal depression. Obstet Gynecol 2007;110:134-140. 

  20. Liu X, Yang X, Yao L, Zhang Q, Sun D, Zhu X, et al.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depressive symptoms in hemodialysis patients in northern China. BMC Psychiatry 2017;17:128. 

  21. Jeon DJ, Kim SH, Park SH, Yoon HJ, Kim SG, Kim JH. The prevalence and psychological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19;25:213-221. 

  22. Zigmond AS, Snaith RP.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 Scand 1983;67:361-370. 

  23. Oh SM, Min KJ, Park DB.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9;38:289-296. 

  24. Kim EH, Park HS. The impacts of organizational job stress facto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Korean Gov Rev 2010;17:1-28. 

  25. Jang YJ. A study on the social networks of the low-income married women in urban area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2001. 

  26. Park MK, Hwang SC. Low-income female single parent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of their social relation network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2010;15:3-24. 

  27. Kim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environmental factor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Korean women in poverty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 1994. 

  28. Cho SH. The probability of break-up in families of the unemploy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employed breadwinner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1999. 

  29. Khaledi M, Haghighatdoost F, Feizi A, Aminorroaya A. The prevalence of comorbi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huge number of observational studies. Acta Diabetol 2019;56:631-650. 

  30. Collins MM, Corcoran P, Perry IJ.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in patients with diabetes. Diabet Med 2009;26:153-161. 

  31. Chyun DA, Melkus GD, Katten DM, Price WJ, Davey JA, Grey N, et al. The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physical activity, neuropathy, and quality of life in type 2 diabetes. Biol Res Nurs 2006;7:279-288. 

  32. Mendes R, Martins S, Fernandes L. Adherence to Medication, Physical Activity and Diet in Older Adults With Diabetes: Its Association With Cognition, Anxiety and Depression. J Clin Med Res 2019;11:583-592. 

  33. Santos FR, Bernardo V, Gabbay MA, Dib SA, Sigulem D. The impact of knowledge about diabetes, resilience and depression on glycemic control: a cross-sectional study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type 1 diabetes. Diabetol Metab Syndr 2013;5:55. 

  34. DeNisco 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diabetes outcomes in African Americans. J Am Acad Nurse Pract 2011;23:602-610. 

  35. Wu SF, Young LS, Yeh FC, Jian YM, Cheng KC, Lee MC. Correlations among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anxiety in patients with type-2 diabetes. J Nurs Res 2013;21:129-138. 

  36. Grav S, Hellzen O, Romild U, Stordal 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HUNT study, a cross-sectional survey. J Clin Nurs 2012;21:111-120. 

  37. Barefoot JC, Burg MM, Carney RM, Cornell CE, Czajkowski SM, Freedland KE, et al. Aspects of social support associated with depression at hospitalization and follow-up assessment among cardiac patients. J Cardiopulm Rehabil 2003;23:404-412. 

  38. Kim JB. Psychosocial issues related to diabetes mellitus.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01;7:288-295. 

  39. Williams LB, Laffel LM, Hood KK. Diabetes-specific family conflict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paediatric Type 1 diabetes. Diabet Med 2009;26:908-914. 

  40. Ingerski LM, Anderson BJ, Dolan LM, Hood KK. Blood glucose monitoring and glycemic control in adolescence: contribution of diabetes- specific responsibility and family conflict. J Adolesc Health 2010;47:191-197. 

  41. Lustman PJ, Anderson RJ, Freedland KE, de Groot M, Carney RM, Clouse RE. Depression and poor glycemic control: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literature. 2000;23:934-942. 

  42. Cambra K, Galbete A, Forga L, Lecea O, Ariz MJ, Moreno-Iribas C, et al. Sex and age differences in the achievement of control target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results from a population-based study in a South European region. BMC Fam Pract 2016;17:144. 

  43. Collier A, Ghosh S, Hair M, Waugh N. Gender differences and patterns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Type 1 and Type 2 diabetes: a population-based analysis from a Scottish region. Diabet Med 2015;32:42-46. 

  44. Jeon BH, Kim HW, Kim HJ, Lim MH, Lee SB, Paik KC, et al. The relationship of anxiety symptoms and depressive symptoms to glycemic control in diabetic patients. Korean J Psychosomatic Med 2008;16:95-102. 

  45. Anderson RJ, Grigsby AB, Freedland KE, de Groot M, McGill JB, Clouse RE, et al. Anxiety and poor glycemic control: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 Psychiatry Med 2002;32:235-2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