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위험신생아 간호교육에서의 다큐멘터리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Application of a Documentary about High-risk Newborns in Nursing Education: An Exploratory Study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6 no.2, 2020년, pp.173 - 180  

강현주 (강원대학교 간호대학) ,  유주연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nursing students'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linical environment of high-risk neonatal nursing care after watching a documentary about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where high-risk newborns are treated. Methods: This study wa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위험신생아 간호교육에서 실제 신생아집중치료실의 현장을 담은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간호대학생이 신생아집중치료실이라는 의료 환경에서 고위험신생아의 돌봄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무엇을 이해하였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동간호 교육 방법의 하나로써 다큐멘터리 시청의 의미와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이론으로만 배웠던 미숙아를 직접 보면서 생각보다 매우 작은 아기의 모습에 놀라기도 하였다. 또한 조용할 것만 같았던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아기를 둘러싼 다양한 치료 장비와 갑작스러운 경고음이 울리는 긴박한 응급상황이 일어나는 장면을 보며 실제 신생아집중치료실의 현장을 관찰하는 경험을 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이 없는 간호대학생이 신생아집중치료실을 배경으로 한 다큐멘터리 시청을 통해 고위험신생아 간호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무엇을 이해하였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고위험신생아 간호교육에서의 다큐멘터리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관련 다큐멘터리 시청 경험이 임상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간호대학생의 고위험신생아 간호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이다. 간호대학생이 다큐멘터리 시청 후 제출한 소감문을 NVivo 1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4개의 범주가 확인이 되었다: ‘머릿속으로만 그렸던 신생아집중치료실을 눈으로 확인함’, ‘이론에서 배웠던 간호를 관찰하고 인식함’, ‘아기를 둘러싼 여러 사람의 마음을 느낌’, ‘예비 간호사로서 태도와 가치관을 정립함’.
  •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을 배경으로 제작된 다큐멘터리를 시청한 후 간호대학생이 느끼는 감정과 인식의 변화를 이해하고 탐색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 또한 교과목 운영 중 이미 제출된 학생 개인의 감상문을 분석한 연구여서 연구에 대한 사전 공지가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학생들이 교수자에게 과제로 제출한 자료이므로 감상문의 내용이 다소 긍정적으로 편향되어 작성되었을 수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는 제한이 있다. 본 연구는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다큐멘터리 시청 소감문을 분석한 질적연구로써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보다는 간호대학생이 다큐멘터리 시청 후에 무엇을 느끼고 이해하였는지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고위험신생아 간호교육에서 다큐멘터리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므로 추후 다양한 다큐멘터리 영상을 교수학습방법에 체계적으로 적용한 후 학습자의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 본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이 없는 간호대학생이 신생아집중치료실을 배경으로 한 다큐멘터리 시청을 통해 고위험신생아 간호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무엇을 이해하였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고위험신생아 간호교육에서의 다큐멘터리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위험신생아 간호교육에서 실제 신생아집중치료실의 현장을 담은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간호대학생이 신생아집중치료실이라는 의료 환경에서 고위험신생아의 돌봄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무엇을 이해하였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동간호 교육 방법의 하나로써 다큐멘터리 시청의 의미와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그리고 이러한 컨텐츠의 선택에 있어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지에 대한 교수자의 충분한 숙고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청분량을 감안하여 온라인학습지원시스템을 활용하여 수업시간 외에 자율적으로 다큐멘터리를 시청하도록 안내하였다. 추후 교과목 운영에서 다큐멘터리를 활용할 경우, 시청 분량에 따른 수업시간의 배분, 학생 시청 여부에 대한 확인 방법 등에 대한 전략과 고민이 필요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위험신생아 간호교육에서 다큐멘터리 시청 후 간호대학생이 고위험신생아 돌봄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무엇을 이해하였는지 탐색하기 위함이다. 연구 문제는 ‘간호대학생의 신생아집중치료실 다큐멘터리 시청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 마지막으로 도출된 주제는 향후 간호사가 될 예비간호사로서 태도와 가치관을 정립하는 경험이었다. 참여자는 전문적 지식뿐 아니라 생명에 대한 책임감과 사명감을 가지고 진정한 마음으로 환자의 입장을 공감하는 간호사가 되고자 하였다. 휴먼 다큐멘터리의 경우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시청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특징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의 효과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활용되는 영상매체는 무엇이 있는가? 미디어를 통한 시청각적 자극을 통해 정보를 흡수하는 것에 익숙한 요즘 학생을 감안하여 최근 교육현장에서도 교육의 효과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영상매체를 활용하고 있다[9,10]. 주로 짧은 클립 형태의 영상, 교육용 또는 시사용 다큐멘터리, 영화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이러한 영상매체를 활용한 학습이 학습자의 만족도,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거나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등의 효과를 보았음을 보고하였다[11-13]. 특히 윤리적 측면을 다루는 교과에서 다큐멘터리나 영화와 같은 영상매체는 매우 효과적인 교육자료가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14].
고위험신생아 간호교육은 어떠한 내용을 다루는가? 고위험신생아 간호교육은 아동간호학의 일부 영역으로써 주로 출생 직후의 적응에 문제를 가진 미숙아, 선천성 기형아 등의 고위험신생아 간호 내용을 다룬다[2]. 최근 국내 합계 출산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가운데 미숙아의 출생률은 증가하는 추세여서[3] 고도의 집중치료와 간호사의 전적인 돌봄에 의존해야 하는 고위험신생아 간호는 아동간호 교육에서 간과할 수 없는 영역이다.
간호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간호교육의 목표는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론과 실습 교육을 통하여 대상자에게 전문적 간호를 수행할 수 있는 핵심역량을 갖춘 간호사를 양성하는 데 있다[1]. 따라서 간호대학 교육과정에서는 전공 이론교육과 연계된 실습교육이 운영되며, 간호대학생은 실제 임상현장에서 직접 대상자를 만나 간호문제를 확인하고 필요한 간호중재와 술기를 적용할 뿐 아니라 간호사로서의 태도와 가치관을 형성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manual with interpretive guidelines for four-year nursing programs [Internet]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9 [cited 2019 November 21]. Available from: http://www.kabone.or.kr/kabon02/index04.php 

  2. 2 Bang KS Kang HJ Kim JS Kim JH Kim HA Kim HS Child health nursing 2nd ed Seoul Hakjisa Medical 2018 230 331 

  3. 3 Statistics Korea Preliminary results of birth and death statistics in 2018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9 [cited 2019 November 14]. Available from: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1/2/3/index.board 

  4. 4 Park SJ Ji ES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experiences on the neonatal nursing care in nursing students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nursing simul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6 16 7 97 112 

  5. 5 Park SN Kim Y Stress and satisfaction from simulation-based practice and clinical practice on high-risk newborn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5 21 1 86 94 10.5977/jkasne.2015.21.1.86 

  6. 6 Cho EJ Effects of four team-based high-risk neonatal nursing simulation methods comprising peer turnover o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perceived outcomes: Clinical judgment, core skills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14 39 2 13 31 

  7. 7 Lee MN Kim HS Jung HC Kim YH Kang K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cenario for simulation learning of care for children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 19 1 1 11 10.4094/chnr.2013.19.1.1 

  8. 8 Shin H Lee Y Rim DH Evaluation of algorithm-based simulation scenario for emergency measures with high-risk newborns presenting with apnea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 21 2 98 106 10.4094/chnr.2015.21.2.98 

  9. 9 Ahn T Availability of drama for character education: Focused on the concept and methods of drama therapy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2015 14 4 537 558 

  10. 10 Roh HK The understanding of pre-service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 about studen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education through using visual media (drama) Sport Science 2018 36 1 21 37 

  11. 11 Edmonds ML The use of film in teaching concepts of qualitative inquiry to 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3 52 3 179 180 10.3928/01484834-20130220-11 

  12. 12 Hekimoglu S Kittrell E Challenging students' beliefs about mathematics: The use of documentary to alter perceptions of efficacy PRIMUS 2010 20 4 299 331 10.1080/10511970802293956 

  13. 13 Aravopoulou E Stone M Weinzierl L Modernising the curriculum and pedagogy - To be or not to be? using film and online video to engage students and enhance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er Education Management 2017 4 1 https://research.stmarys.ac.uk/id/eprint/1732 

  14. 14 Volandes AE Medical ethics on film: Towards a reconstruction on the teaching of healthcare professionals Journal of Medical Ethics 2007 33 11 678 680 10.1136/jme.2006.017665 17971475 

  15. 15 Lee H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and nonverbal message of Korean human documentary: Content analysis of the programs, <Screening Humanity>, <Human Documentary Love>, <Documentary Three Day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012 26 5 233 270 

  16. 16 Lee GJ A storytelling study on the present space representation in TV documentary: Focusing on the 'Documentary 3 Days' of KBS Media and Performing Arts 2012 7 1 56 86 

  17. 17 Lim C Lee Y Choi S Hong H Facilitating the use of EBS (Korea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documentaries Media and Education 2011 1 1 147 174 

  18. 18 Park JH Effects of documentary education on study crafting and nursing recogni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9 20 8 264 270 10.5762/KAIS.2019.20.8.264 

  19. 19 Park CW NVivo 12: Applications handing qualitative data Paju Hyungseul 2018 137 193 

  20. 20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6 8 3 27 37 10.1097/00012272-198604000-00005 3083765 

  21. 21 Alarcón WA Aguirre CM The cinema in the teaching of medicine: Palliative care and bioethics Journal of Medicine and Movies 2007 3 1 32 41 

  22. 22 Ogston-Tuck S Baume K Clarke C Heng S Understanding the patient experience through the power of film: A mixed method qualitative research study Nurse Education Today 2016 46 69 74 10.1016/j.nedt.2016.08.025 27607526 

  23. 23 Lee H Mun J Exploring changes i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and scientists through a documentary focused on their daily lives and researc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8 38 2 293 304 10.14697/jkase.2018.38.2.293 

  24. 24 Gotwals BA Scholtz S Video-enhanced simulation in pediatric endof-life care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016 37 6 360 362 10.1097/01.NEP.0000000000000077 

  25. 25 Wade CH Barrientos T Macarulay M Alderson W Shibale PC Le C Student and faculty perspectives on the use of movies in public health pedagogy Pedagogy in Health Promotion 2018 4 2 131 139 10.1177/2373379917715055 

  26. 26 Oh JA Lim MH Analysis of research papers using movies in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 17 3 395 404 10.5977/JKASNE.2011.17.3.395 

  27. 27 Hwang HS Park SB The effects of social documentary viewing on college student's perceived reality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2010 16 2 117 135 

  28. 28 Ha C A study on education strategies of documentary according to media type Wonkwang Journal of Humanities 2015 16 2 335 359 

  29. 29 Park WB Jang EY Seo MS Phyo SR Kang SH Myung SJ Experience of teaching a class with a film: Cognitive changes with regard to HIV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11 23 1 27 32 10.3946/kjme.2011.23.1.27 25814282 

  30. 30 Searight R The use of feature film to teach medical ethics: Overview and assess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Modern Education Forum 2014 3 1 1 6 10.14355/ijmef.2014.0301.0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