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공식품 중 육류 함량을 고려한 일상적인 육류 섭취량 분포 추정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09년) 활용
Estimation of Usual Meat Intake Distribution Considering Meat Content in Processed Foods: Based on the KNHANES 2009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5 no.2, 2020년, pp.150 - 158  

신윤정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식품치료전공) ,  김애정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식품치료전공) ,  김동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식품영양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usual meat intake distribution, which may have been over/underestimated when estimations were made using only the third food code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Methods: For this purpose, 24-hour recall dat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적색육 및 가공육의 일상섭취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3차 코드를 활용하였을 때 누락 및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일부 가공식품들의 섭취량을 고려하여 실제 과소추정 및 과대 추정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적색육과 가공육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적색육을 ‘쇠고기, 돼지고기, 염소고기 및 양고기 등 붉은 색을 띠는 비가공 고기’로 정의하였으며, 가공육은 ‘훈제, 염장 혹은 보존제 첨가 등의 처리가 된 육가공품으로 정의하였다[9].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3차 코드만 활용하여 섭취량을 추정하였을 때 과대/과소 추정될 가능성이 있는 가공 식품의 육류함량을 보정하여 실제 과대/과소추정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보다 실제에 가까운 적색육 및 가공육의 일상섭취량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일부 대상자에게서 2일 식이조사 자료가 수집된 2009년 국민건 강영양조사의 24시간 회상법 자료로부터 MSM을 활용하여 일상적인 적색육 및 가공육의 섭취량 분포를 추정하였다.
  • 따라서 특정 식품(군)의 섭취량을 산출할 때 3차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손쉬운 방법이지만, 일부 가공식품들의 경우에는 단일 식품코드를 가지므로 해당 가공식품에 포함된 특정 식품의 섭취량을 산출할 때 과소 또는 과대평가가 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단일 식품코드를 가지는 가공식품들을 선별한 후 그 중 적색육 및 가공육 함량비율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육류 섭취량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새롭게 산출된 육류의 평균 섭취량은 3차 코드만을 활용한 육류의 평균 섭취량과 유의한 차이 를 보였는데, 이는 단일 식품코드를 가지는 육류 가공식품들이 늘어난다면 특정 식품(군)의 실제 섭취량과 조사된 섭취량 간의 차이 또한 더 커질 가능성이 있음을 내포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일상섭취량 추정이 가능한 2009년 국민건 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과소 또는 과대 추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적색육 및 가공육 식품들을 선별하여 보다 정확한 개인별 육류 섭취량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산출된 적색육의 개인별 섭취량의 평균은 4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4시간 회상법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을 산출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특히 보건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여러 국가들은 자국민들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국가 수준의 건강영양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국민의 건강 및 영양수준을 파악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검진조사, 건강설문조사, 영양조사의 세 조사 분야로 구성되어있으며, 이중 영양조사에서는 24시간 회상법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을 산출하고 있다[4].
24시간 회상법의 역할은 무엇인가? 24시간 회상법을 통해 산출되는 섭취량 자료는 음식코드와 식품코드의 형태로 표현되며, 일반적으로 하나의 음식코드는 레시피 database(DB)를 통해 해당 음식을 구성하는 여러 식품코드들과 연결된다[5]. 따라서 특정 식품(군)의 섭취량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식품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식품 의 섭취량만을 선택적으로 합산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분야 세 가지는 무엇인가? 특히 보건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여러 국가들은 자국민들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국가 수준의 건강영양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국민의 건강 및 영양수준을 파악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검진조사, 건강설문조사, 영양조사의 세 조사 분야로 구성되어있으며, 이중 영양조사에서는 24시간 회상법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을 산출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Willet W. Nutritional epidemi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p. 11-514. 

  2. Mondul AM, Moore SC, Weinstein SJ, Karoly ED, Sampson JN, Albanes D. Metabolomic analysis of prostate cancer risk in a prospective cohort: The alphatocopherol, beta-carotene cancer prevention (ATBC) study. Int J Cancer 2015; 137(9): 2124-2132. 

  3. Lyngso J, Ramlau-Hansen CH, Bay B, Ingerslev HJ, Hulman A, Kesmodel, US. Association between coffee or caffeine consumption and fecundity and fertility: a systematic review and dose- response meta-analysis. Clin Epidemiol 2017; 9: 699-719. 

  4. Statistics Korea. Statistical report of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ernet]. Statistics Korea; 2018 [updated 2016 Jan 21; cited 2019 Jun 1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pi/8/6/2/index.board?bmoderead&aSeq351216. 

  5. Kwon SH. Use of secondary and tertiary food code i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icrodata.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12; 5(9): 158-164. 

  6. Freedman LS, Midthune D, Carroll RJ, Krebs-Smith S, Subar AF, Troiano RP et al. Adjustments to improve the estimation of usual dietary intake distributions in the population. J Nutr 2004; 134(7): 1836-1843. 

  7. Souverein OW, Dekkers AL, Geelen A, Haubrock J, de Vries JH, Ocke MC et al. Comparing four methods to estimate usual intake distributions. Eur J Clin Nutr 2011; 65(1): S92-S101. 

  8. Institute of Medicine. Dietary reference intakes: Application in dietary assessment.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0. p. 93-99. 

  9. IARC Working Group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 to Humans. Red meat and processed meat [Internet]. Lyon (FR):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2018 [cited 2019 Jun 13].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07971/.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Internet].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updated 2013 Dec 24; cited 2019 Jun 11].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11. Harttig U, Haubrock J, Knuppel S, Boeing H. The MSM program: web-based statistics package for estimating usual dietary intake using the Multiple Source Method. Eur J Clin Nutr 2011; 65(1): S87-S91. 

  12. Chan DS, Aune D, Norat T. Red meat intake and colorectal cancer risk: a summary of epidemiological studies. Curr Nutr Rep 2013; 2(1): 56-62. 

  13. Kim DW, Shim JE, Paik HY, Song WO, Joung H. Nutritional intake of Korean population before and after adjusting for within-individual variations: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Nutr Res Pract 2011; 5(3): 266-274. 

  14. Dodd KW, Guenther PM, Freedman LS, Subar AF, Kipnis V, Midthune D et al. Statistical methods for estimating usual intake of nutrients and foods: a review of the theory. J Am Diet Assoc 2006; 106(10): 1640-1650. 

  15. Freedman LS, Guenther PM, Dodd KW, Krebs-Smith SM, Midthune D. The population distribution of ratios of usual intakes of dietary components that are consumed every day can be estimated from repeated 24-hour recalls. J Nutr 2010; 140(1): 111-116. 

  16. Guenther PM, Kirkpatrick SI, Reedy J, Krebs-Smith SM, Buckman DW, Dodd KW et al. The Healthy Eating Index-2010 i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of diet quality according to the 2010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J Nutr 2014; 144(3): 399-407. 

  17. Yun S, Kim HJ, Oh K. Trends in energy intake among Korean adults, 1998-2015: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 Res Pract 2017; 11(2): 147- 154. 

  18. Yoon MO, Lee HS, Kim K, Shim JE, Hwang JY.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 database us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J Nutr Health 2017; 50(5): 504-518. 

  19. Bouvard V, Loomis D, Guyton KZ, Grosse Y, Ghissassi FE, Benbrahim-Tallaa L et al. Carcinogenicity of consumption of red and processed meat. Lancet Oncol 2015; 16(16): 1599-1600.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4th food and drug safety open forum [Internet]. MFDS; 2018 [updated 2018 Jun 27; cited 2019 Nov 12].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brd/m_99/view.do?seq42602. 

  21. Lee JK. Research on preparing a proper intake plan for red meat and processed mea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Jun. Report No. 33163014300. 

  22. Verly E Jr, Castro MA, Fisberg RM, Marchioni DM. Precision of usual food intake estimates according to the percentage of individuals with a second dietary measurement. J Acad Nutr Diet 2012; 112(7): 1015-102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