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잠재집단분석(LCA)에 의한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신념유형 분석
Analysis of Belief Types in Mathematics Teachers and their Students by Latent Class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4 no.1, 2020년, pp.17 - 39  

강성권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  홍진곤 (건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학과 관련된 수학교사와 학생들의 신념을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학의 본질', '수학의 교수', '수학적 능력'에 대한 고등학교 수학교사 60명의 설문과 '수학교과', '수학문제해결', '수학학습', '자아개념'에 대한 고등학생 1850명의 설문에 대해 유사한 응답을 한 교사와 학생을 각각 소집단으로 분류하고, 그 신념특성을 분석하며 신념프로파일을 작성하였다. 관찰결과, 수학교사들은 '수학의 본질'에 대해 3개, '수학의 교수'와 '수학적 능력'에 대해서는 각각 2개의 신념소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자아개념'에 대해 3개, '수학교과', '수학문제해결', '수학학습'에 대해서는 각각 2개의 신념소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잠재집단분석은 수학적 신념을 귀납적으로 범주화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교사와 학생의 신념의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thematical beliefs of students and teachers by Latent Class Analysis(LCA). This study surveyed 60 teachers about beliefs of 'nature of mathematics', 'mathematic teaching', 'mathematical ability' and also asked 1850 students about beliefs of 'school mathe...

주제어

표/그림 (25)

참고문헌 (25)

  1. Kim. R. (2015). A Study on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Mathematics. Journal of Korea Socie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7(4), 593-611. 

  2. Kim. B. (2012) Instrument Development and Analysis of Secondary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2(2), 229-259. 

  3. Kim. S. (1999). The Effects of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on the Method of Class and the Performance of Problem Solving.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3(1), 79-88. 

  4. Kim, Y. (2014). Mathematical Belief System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ctivity: a Case Study.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8(3), 725-749. 

  5. Kim. Y. & Ryu. H. (2016). An Analytical Study on the Mathematical Belief of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School Mathematics, 18(3), 691-709. 

  6. Kim. Y. & Ryu. H. (2018). An Analytical Study on the Mathematical Belief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8(1), 141-157. 

  7. Kim, Y. & Lee, C. (2014). Analysing High School Students' Mathematical Belief System and Core Belief Factors. School Mathematics, 16(1), 111-133. 

  8. Nam, Y., Park, J., Paek, H., Seo, M., Sung, R., Jung, W., Ham, J. & Hwang, J. (1998) Dictionary of education, Seoul: Kyoyookbook. 

  9. Nam, Y. & Song, Y. (2008). An Analytic Study of Beliefs about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School Mathematics, 10(4), 649-669. 

  10. Park, B. (2015) Lecture Evaluation Study(LCA) Using The Latent Class Analysi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era. 

  11. Jang, I., (2004). The belief and teaching of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the Elementary Education Society, 5, 55-76. 

  12. Cho, C. (2002). Investigation on the belief in mathematics and learning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4, 371-394. 

  13. Ball, D. L., & Wilson, S. M. (1990). Knowing the subject and learning to teach it: Examining assumptions about becoming a mathematics teacher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14. Cooney, T. J., Shealy, B. E., & Arvold, B. (1998). Conceptualizing belief structures of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9(3), 306-333. 

  15. Gates, P. (2006). Going beyond belief systems: Exploring a model for the social influence on mathematics teacher belief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3), 347-369. 

  16. Jedidi, K., Jagpal, H. S., & DeSarbo, W. S.(1997). Finite-mixture structural equation models for response-based segmentation and unobserved heterogeneity. Marketing Science, 16, 39-59. 

  17.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Linzer, D. A. & Lewis, J. (2011). poLCA: an R Package for Polytomous Variable Latent Class Analysis.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42(10), 1-29 

  19. Oh. Y. (2002). Teachers' Mathematical Beliefs and Teaching Practices. 수학교육학연구, 12(2), 247-263. 

  20. Raymond, A. M., (1997). Inconsistency between a begin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thematics beliefs and teaching practic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8(5), 550-576. 

  21. Schoen, R. C., & LaVenia, M. (2019). Teacher beliefs about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Identifying and clarifying three constructs. Cogent Education, 6(1), 1599488. 

  22. Schoenfeld, A. H. (2013). 수학수업, 설명을 만나다, 이경화(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10년 출판) 

  23. Smith, A. C. T. (2016). Cognitive mechanisms of belief change. Palgrave MacMillan. 

  24. Wang, T., & Hsieh, F. (2014). The cultural notion of teacher education: Comparison of lower-secondary futur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beliefs.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eacher knowledge, beliefs and opportunities to learn (pp. 255-277) Springer. 

  25. Zeichner, K. M., Tabachnick, B. R., & Densmore, K. (1987). Individual, institutional, and cultural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s' craft knowledge. Exploring Teachers' Thinking, 21-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