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미디어 패션 콘텐츠 유형에 따른 사용자의 SNS 관심도 연구 -보그 코리아 공식 인스타그램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est of SNS Users according to New Media Fashion Content Types -Focus on Vogue Korea's Official Instagram-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24 no.1, 2020년, pp.75 - 87  

이청순 (컴플리트 케이) ,  이승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rends in new media fashion content by analyzing the fashion content of the official Instagram accounts of domestic fashion magazines that are being transformed by digital media. The framework for these analysis of fashion content type and methods of production 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짧은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선행연구는 웹 드라마에 대한 분석이 중심이었으나 최근에는 다각화된 플랫폼에 대한 연구도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인스타그램의 특수성과 패션 매거진 계정의 패션 콘텐츠가 가진 차별성을 고려해 짧은 동영상 콘텐츠의 제작방식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짧은 동영상 콘텐츠는 제작자의 특성에 따라 전문가 제작(professional production) 동영상과 UCC동영상으로 나눌 수 있다.
  • 패션 콘텐츠에 대한 선행연구는 패션 매거진 위주로 논의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온라인 포털과 SNS를 통해 제공되는 동영상과 이미지, 정보 등 패션 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방식에서 논의되어온 패션 콘텐츠 유형을 토대로 하되 영상과 이미지 중심의 SNS인 인스타그램의 특수성과 패션 매거진 계정의 패션 콘텐츠가 가진 차별성을 고려해 뉴미디어 패션 콘텐츠의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Noh(2004)는 패션 콘텐츠를 패션 매거진의 내용을 기준으로, 스타일, 아이템, 쇼핑, 트렌드, 인물, 화제, 컬렉션, 브랜드, 뉴스 등으로 분류하였고, Lee and Cho(2004)는 패션 기사의 유형을 상품정보, 연출법, 트렌드, 산업, 비평으로 나눠 분석하였고, Seo and Lee(2013)는 패션 매거진과 함께 인터넷 포털사이트와 SNS에서의 패션 정보 및 내용물을 기준으로 패션 정보, 패션 제품과 디자인 트렌드, 패션 프로그램 등으로 구분하였다.
  • 뉴미디어 패션 콘텐츠 사용자의 관심도 확대를 위해서는 전문가 제작 비공개 동영상의 제작 및 운영이 더욱 증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 영상 제작자가 제작하는 전문가 제작 하이라이트 동영상에 비해 시간 및 비용 소요가 적은 UCC 동영상의 관심도가 오히려 높았다는 점도 콘텐츠 제작자들에게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셋째, 7개의 패션 콘텐츠 유형을 스타 유형, 쇼/전시 유형, 제품/매장 유형, 이벤트 유형으로 다시 묶고, 4개의 제작방식을 하이라이트와 비공개 동영상으로 다시 분류해, 유형과 제작방식을 조합했을 때 관심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뉴미디어 패션 콘텐츠 중에서 짧은 동영상 게시물로 한정하여 제작방식을 분류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실증적인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보그 코리아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의 패션 콘텐츠 가운데 짧은 동영상 게시물을 제외한 나머지 이미지 게시물은 30% 이하에 불과하며, 관심도의 측정 기준인 조회수 대신 선호도와 연관된 좋아요 수만 수집할 수 있고, 그 수치도 짧은 동영상 게시물의 조회수의 1/10 정도로 낮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패션 매거진의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이 급성장하고 많은 양의 디지털 패션 콘텐츠가 제작 및 유통되는 상황에서 아직까지 관련한 연구가 미흡하다고 판단하고, 패션 콘텐츠 유형별 관심도를 분석하여 뉴미디어 패션 콘텐츠 제작에 방향성을 찾고자 하였다. 보그 코리아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을 중심으로 패션 콘텐츠를 분석해 유형을 나눈 후 그에 따른 관심도를 연구하고, 제작방식 분석 및 그에 따른 관심도, 그리고 유형과 제작방식을 조합했을 때 관심도 차이를 함께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인쇄 미디어에서 디지털 미디어로 발전 중인 국내 패션 매거진의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의 패션 콘텐츠 분석을 통해 뉴미디어 패션 콘텐츠 제작의 방향성을 찾는 것이 목적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뉴미디어 패션 콘텐츠의 유형 및 제작방식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 보그 코리아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분석을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선호도와 연관된 좋아요 수만 측정 가능한 게시물은 패션 콘텐츠 관련 전체 게시물 중 30% 이하에 해당하며 좋아요 수도 조회수에 비해 1/10 정도 낮은 수준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제외하였다. 2) 게시된 기간이 두 달 이하인 게시물은 제외하였다. 오래된 게시물일수록 노출기간이 길어져 조회수가 높아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aker, D. (2003). 브랜드 자산의 전략적 관리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Marketing Communications Research Council, Trans.). Seoul: Nanam. (Original work published 1991). 

  2. Gradinaru, C. (2018). GIFs as floating signifiers. Sign Systems Studies, 46(2/3), 294-318. doi:10.12697/SSS.2018.46.2-3.05 

  3. Hyun, K. (2008). A study of user behavior pattern of UCC(user created contents) in the light of expectancy-value theory.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2(5), 227-254. 

  4. Kim, J., Jeong, D., Jo, M., & Na, Y. (2018). Effects of hashtags in Instagram fashion-related posts on consumers' attitudes.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55(2), 78-88. doi:10.12772/TSE.2018.55.078 

  5. Kim, J. (2013). Interactive case study on fashion media -Focused on Showstudio's fashion project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7(5), 101-119 doi:10.12940/jfb.2013.17.5.101 

  6. Kim, K., & Kim, K. (2011). A study on UCC video editing for sensibility delivery.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2(4), 449-456. doi:10.9728/dcs.2011.12.4.449 

  7. Kim, S. (2007) The current trend of video UCC market and problems to be solved for its activation. Journal of Digital Design, 7(4), 197-208. 

  8. Kim, S., & Ha, J. (2017). Analysis of new media fashion image types in fashion fil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1(6), 1085-1097. doi:10.5850/JKSCT.2017.41.6.1085 

  9. Kim, S. (2019). An analysis of new media fashion contents in the Gucci Instagram. Journal of Fashion Design, 19(1), 147-164. doi:10.18652/2019.19.1.9 

  10. Lee, D. (2003).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symbolism by the ready-made medi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1. Lee, E., & Yu, S. (2018). The effect of short video uses on viewing behavior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2(4), 65-102. 

  12. Lee, H. (2018, July 24). 인스타그램 vs 유튜브 비디오 앱 경쟁의 시작 [Instagram vs Youtube: Competition on video application]. Korea Fashion Industry Association. Retrieved January 14, 2020, from http://www.koreafashion.org/info/info_content_view.asp?clientIdx1723&flag2 

  13. Lee, K., & Hwang, S. (2015). Case analysis on image-based marketing Pinterest of global SPA brands -Focusing on platforms of Uniqlo, Zara and H&M on Pinter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15(2), 129-146. 

  14. Lee, S., & Cho, K. (2004). A study on the fashion Journalism in the field of daily newspaper. Journal of Fashion Business, 8(4), 45-59. 

  15. Lindsay, B. R. (2011, September 6). Social media and disasters: Current uses, future options, and policy consideration.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Retrieved January 14, 2020, from https://mirror.explodie.org/CRS-Report-SocialMediaDisasters-Lindsay-SEP2011.pdf 

  16. Neitizen Profile Research. (2019). Retrieved January 14, 2020, from http://www.nasmedia.co.kr/ko/pr/pr_report.do 

  17.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재난안전부문의 소셜미디어 활용 선진사례 연구 [A study on the advanced case of social media utilization in disaster safety]. Retrieved January 14, 2020, from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39485&bcIdx6576&parentSeq6576 

  18. Noh, H. (2004). A comparative study on the articles of domestic licensed fashion magazin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9. Quan, C. (2016). A study on smart device application design for fashion brand promotion -Focusing on the application for luxury fashion br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 Park, E. (2016). The effects of fashion Instagram usage motivation and features on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1. Seo, D., & Lee, J. (2013). Mobile business mode and its introducing strategy for fashion contents distribu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0), 461-469. doi:10.5392/JKCA.2013.13.10.461 

  22. Shin, H., & Kim, K. (2017). The differences in motivation and usage according to morphological evolution of SNS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use of Facebook and Instagra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6), 155-164. doi:10.14400/JDC.2017.15.6.155 

  23. Woo, S., & Kim, S. (2019). A study on user experience of Instagram IGTV -Focus on fashion-beauty contents servi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3), 405-411. doi:10.14400/JDC.2019.17.3.405 

  24. Yang, Y., & Kim, M. (2018). The niche theory analysis of the competition between various fashion content media platforms -Focus on user gratification for fashion magazine, the internet portal, and SN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6(5), 679-699. doi:10.29049/rjcc.2018.26.5.679 

  25. Yoon, A., Lee, E., & Lee, H. (2018). Consumer perceptions of images in fashion Instagram by information providers (brand vs consumers) -Focusing on credibility, usefulness, enjoy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2(3), 379-396. doi:10.5850/JKSCT.2018.42.3.37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