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문제중심학습(PBL)이 전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of Junior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1, 2020년, pp.269 - 278  

김경미 (동의과학대학교 사회복지과) ,  조채영 (동의과학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이 전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D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가 지원한 교수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5개 학과의 24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PBL이 전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PBL이 전문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PBL을 적용한 수업에 참여한 전문대학생의 수업만족도는 어떠한가?이다. 문제중심학습법의 적용 전·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효과성을 살펴본 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몰입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문제중심학습법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전체 학생의 66.2%가 전반적으로 수업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중심학습법이 수업과정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도 전체의 64%로 나타나 학습법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학습자중심교육방법 모색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48 students from five departm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aculty learning community program, which was suppo...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D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의 교수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실시되었으며, 교수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은 교수들 간 교수법 향상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강의방법, 수업설계 및 전략, 학생의 동기유발방법, 매체 활용 등 다양한 교육관련 주제로 토론 및 연구하는 모임이다. 이 프로그램은 효과적인 강의를 위한 수업 개선 방법 모색, 새로운 교수전략 개발 및 우수교육 사례 활용, 교과 특성에 맞는 지식, 정보 경험 및 교수법 공유, 팀원 간 연구정보 교류를 통한 학문간 이해 증진, 교육관련 토론을 통한 자신의 교수법과 교육과정에 대한 점검 등을 목적으로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하는 교수들이 팀을 이루어 관심 있는 교수법 관련 연구 주제를 선정하여 한 학기 동안 수업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 본 연구는 PBL의 적용이 전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4차 산업 시대가 요구하는 학습자중심교육방법의 모색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PBL이 전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PBL의 효과 중 전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천적으로 검증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학습자중심교육 방법 모색에 기여하는데 의미가 있다.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D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지원한 교수학습공동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진행되었다. PBL을 적용한 학과는 사회복지과, 유아교육과, 물 리치료과, 전기과, 미용계열 헤어뷰티전공으로 5개 학과이다.
  • 본 연구에서는 PBL이 전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 습능력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기주도 학습능력 척도는 배을규와 이민영[27]이 개발한 통합적 자기주도학습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 셋째, PBL을 적용한 수업에 참여한 전문대학생의 수업만족도는 어떠한가?
  • 이에 따라 본 팀에서는 PBL을 주제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문제해결능력 배양, 실무 현장의 문제를 기반으로 한 수업적용으로 학습자들의 학습동기 흥미 유발, 문제해결중심의 교수법을 통한 학습자들의 학습역량 강화 등을 목적으로 참여하였다. 5개 학과, 5명의 교수자는 각자가 맡은 교과목에 대하여 교과목 목표와 개요,특성 등을 공유하고 PBL의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며, 학습법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위해 외부 전문가의 대면 컨설팅을 거쳐 최소 4회기 이상 PBL을 적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PBL이 전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PBL의 효과 중 전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천적으로 검증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학습자중심교육 방법 모색에 기여하는데 의미가 있다.

가설 설정

  • 둘째, PBL이 전문대학생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 첫째, PBL이 전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 PBL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13]. 첫째, 학습이 문제로부터 시작된다. 문제는 비구조화 되어 있고 실제적이고 맥락적이어야 하며, 교육내용과 밀접히 관련이 있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중심학습이란? PBL은 학습자에게 실질적인 문제를 제시하고 학습자들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호 공동으로 문제해 결방안을 모색하며,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을 통해 공동의 해결안을 마련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학습이 일어나는 교 수학습모형이다[12].
PBL의 특징은? PBL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13]. 첫째, 학습이 문제로부터 시작된다. 문제는 비구조화 되어 있고 실제적이고 맥락적이어야 하며, 교육내용과 밀접히 관련이 있어야 한다. 둘째, 학생중심 환경에서 학습이 이루어진다. 학생 은 문제해결자로 문제해결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좋은 해결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직접 다루면서 의미와 이해를 추구하고 학습에 대한 큰 책임을 맡게 된 다. 셋째, 교수자는 지식 전달자가 아닌, 학습 진행자 및 촉진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교수자는 문제를 설계하고 학습계획을 세우며 학습자 집단을 조직하고 평가를 준비 한다. 또한 학습자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학습을 보조하고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PBL의 효과는? PBL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PBL은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태도 향상, 자기효능감, 협동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학습 만족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17-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IT Glossary. DOI: http://terms.tta.or.kr/dictionary/searchList.do 

  2. B. H. Son, J. H. Kim, and D. H. Choi, "Major Technological Innovation to Respon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ISTEP Issue Paper, 2017-04. 

  3. J. H. Kim,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Exploring Strategies for Future Social Changes", KISTEP InI(Inside and Insight) 15, 45-58, 2016-08 

  4. Moon Jae-in government a five-year plan for national operation and 100 national political agenda, DOI: http://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7595, 2017. 

  5. Joint related ministries, "A mid-to long-term comprehensive plan for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n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2016. 

  6. The Department of Education, "To respond to future industrial demand A Study on the Innovation of Specialized Universities", 2019. 12. 23 

  7. World Economic Forum, The Future of Job;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Global Challenge Insight Report, 2016. 

  8. S, J. Lea, D. Stephenson, and J. Troy, "Higher education students' attitudes to student-centered learning; beyond educational bulimia". Studies in Higher Education, 28(3), 321-334, 2003. 

  9. I. A. Kang and H. J. Joo, "Re-conceptualization of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The Status Quo of the In-Service Teache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9(2), 1-34, 2009. 

  10. S. I. Park, The Theory and Practice of Teaching Methods, Seoul: Education science, 1997. 

  11. J. R. Savery and T. M. Duffy, "Problem based learning: An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35, 31-38, 1995. 

  12. Y. G. Cho, M. J. Shim, E. H. Lee, J. K. Lee, Y. A. Son, and S. H. Park, Teaching strategy for successful classes, Seoul: Hakjisa, 2009. 

  13. Y. S. Cho, The Theory and Practice of Problem-Based Learning, Seoul: Hakjisa, 2006. 

  14. H. Barrows and A. Myers, Problem 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Unpublished monograph Springfield, IL; Problem based learning Institute, Lanphier School, and Southem Illinois University Medical School. 1994. 

  15. IMSA,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based learning and other instructional approaches? DOI: http://www.inmsa.edu/team/cpbl/whatis/design/slide34.html, 2001. 

  16. J. I. Choi and K. W. Jang, To teach in a PBL, Seoul: Hakjisa, 2015. 

  17. B. S. Kang and C. H. Jo, "A Study on Application of Web-used PBL on the Curriculum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Learning Performance".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2(3), 231-257, 2006. 

  18. S. H. Kang, "The effect of a Realtime PBL Cyber Science Class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4(1), 51-72, 2008. 

  19. K. W. Jang, "Study of the Change in Self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in Problem Based 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8(2), 1-25, 2008. 

  20. Y. S. Bae, S. H. Lee, M. H. Kim, and K. S. Sun, "Effects of PBL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2), 184-190, 2005. 

  21. Y. A. Song, "Comparison of Learning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Attitude and Motivation between PBL and SBL Groups", The Journal of Korea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1), 55-62, 2008. 

  22. I. S. Lee, H. O. Park, and C. S. Park, "Effect of self-esteem, Achievement motivation, self-efficiency & self-directed learning of applying Problem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militry nursing research, 33(1), 143-147, 2015. 

  23. M. S. Knowle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NY: Association Press, 1975. 

  24. Y. J. Cho,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variables connect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adult learners in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Doctoral dissertation, Sung Sil University, 2011. 

  25. C. S. Shim,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Lif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4(2), 17-25, 2018. 

  26. M. K. Choi and J. S. Kim, "The Effect of Undergaduates' Self-directed Learning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ie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4(4), 207-212, 2018. 

  27. E. K. Bae and M. Y. Lee, "The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ventory for Employees in HRD Companie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2(3), 1-26, 2010. 

  28. M. Csikszentmihalyi,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1990. 

  29. I. B. Suk, "Analyzing Characters of the Learning Flow",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4(1), 187-212, 2008. 

  30. J. S. Shin, Study on flow experience,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2006. 

  31. H. W. Ba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chievement Motivatio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of University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2019. 

  32. K. H. Kim,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Key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Dae Jin University, 2019. 

  33. G. H. Park,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y Motivation Factors and Self-Directed Learning, Doctoral dissertation, Hong Ik University, 2009. 

  34. E. J. Yoo,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class climate, family challenge-support,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perceived by adolescents,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2010. 

  35. S. K. Bae, The relationships of student academic engagement with learning psychological variables and teacher instructional behavior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2013. 

  36. A. M. Bush, What comes between classroom community and academic emotions: Testing a self-determination model of motivation in the college classroo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Texas, 2006. 

  37. I. B. Suk and Y. C. Kang,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earning Flow Scal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1), 121-154, 2007. 

  38. J. H. Lee,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 metacogni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and school achievement, Doctoral dissertation, Chung Buk University, 2009. 

  39. T. Y. Rue,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Vocational Key Competencies under a Curriculum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in Vocational High Schools, Master's thesis, In Cheon University, 2009. 

  40. M. K. Cha,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style by problem-based learning in Middle School English presentation class,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018. 

  41. E. H. Kim,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Korean Languag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Master's thesis, Chung Nam University,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