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Online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3, 2022년, pp.189 - 196  

김윤성 (동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이지민 (동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박은민 (동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인의 거부민감성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온라인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486명을 대상으로 SNS 중독경향성 척도, 거부민감성 척도, 온라인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 PROCESS Macro 3.5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SNS 중독경향성, 거부민감성,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모두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남자집단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거부민감성으로 인한 SNS 중독경향성이 남자집단에서 다르게 나타남을 의미한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녀 집단에서 SNS 중독경향성을 확인하는데 거부민감성과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online social support on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of adult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SNS addiction propensity scale, rejection sensitivity scale, and online social support scale targeting 486 adults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국의 성인 남녀 대상으로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선 성인 남녀집단의 거부민감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기존 선행연구에선 남성의 SNS 중독을 보고하는 바가 적었지만 본 연구 결과 남성도 SNS 중독에 취약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 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2. https://doi.org/10.3389/fpsyt.2021.620442, 2021.2.18 

  3. 이선경, 김정규, "불안정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5권, 제3호, pp.317-334, 2019. 

  4.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인터넷이용실태조사요약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 

  5. 양혜진, "코로나 19상황에 발생하는 부정적 정서에 대 한 대처,"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제6권, 제3호, pp.135-143, 2020. 

  6. G. Rogier, S. B. Zobel, and P. Velotti, "COVID-19, loneliness and technological addiction: Longitudinal data," J. of Gambling Issues, Vol.47, 2021. 

  7.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18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 

  8. 오윤경, SNS 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9. P. A. Kirschner and A. C. Karpinski, "Facebook and academic performanc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6, No.6, pp.1237-1245, 2010. 

  10. 권예진, 김다빈, 서보경, "자아존중감 및 성인애착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47-59, 2019. 

  11. 강지영, 심혜원, "여대생의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6권, 제4호, pp.277-296, 2020. 

  12. 문홍주, 김태선, "초등학생의 거부민감성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제20권, 제1호, pp.103-119, 2021. 

  13. S. Feldman and G. Downey, "Rejection sensitivity as a mediator of the impact of childhood exposure to family violence on adult attachment behavior," J. of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6, No.1, pp.231-247, 1994. 

  14. 김기숙, 김영근, "고등학생의 초기부적응도식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32권, 제2호, pp.949-969, 2020. 

  15. 이현정, 대학생의 성인애착 유형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16.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342746, 2020.3.2. 

  17. E. A. Nick, D. A. Cole, S. J. Cho, D. K. Smith, T. G. Carter, and R. L. Zelkowitz, "The Online Social Support Scale: Measure development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Assessment, Vol.30, No.9, p.1127, 2018. 

  18. 송수연, 김한경, "언택트 시대의 대학교육: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강의 만족도와 수강지속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제21권, 제4호, pp.1,099-1,126, 2020. 

  19. 강현욱, "대학생의 SNS중독성향과 사회적 지지, 외로움, 건강지각, 대인관계의 관계와 신체활동을 통한 치료 레크레이션 적용,"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2권, 제1호, pp.121-133, 2013. 

  20. 김예지, SNS에서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20대 성인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21. 이정화, 외로움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2. 홍수정, SNS 이용동기와 네트워크 유형이 온라인 시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3. 김정현,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 간 관계에서 가상세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4. 임민희, 대학생의 SNS 이용동기 및 지각된 상호작용과 사회불안이 SNS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성차,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5. G. Downey and S. I. Feldman, "Implication of rejection sensitivity for intimate relationships,"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6, p.1327, 1996. 

  26. 박명진, 양난미, "대학생 거부민감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9권, 제1호, pp.103-127, 2017. 

  27. K. S. Young, Internet Addiction Diagnostic Questionnaire (IADQ), NetAddiction, 1996. 

  28.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검사 K-척도 성인용, 2005. 

  29. 조성현, 서경현,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8권, pp.239-238, 2013. 

  30. 신소라, 한국판 온라인 사회적지지 척도(K-OSSS)의 타당화,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31.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Press, 2013. 

  32. 신민주,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학회지, 제331권, pp.57-78, 2020. 

  33. 오민경, 하창순, "정서조절능력과 거부민감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pp.590-599, 2019. 

  34. T. B. Kashdan and S. G. Hofmann, "The high-navelty-seeking, impulsive subtype of generalized social anxiety disorder," Depression and Anxiety, Vol.25, No.6, pp.535-541, 2008. 

  35. C. E. S. Ross, M. Sisic, J. M. Arseneault, M. G. Simmering, and R. R. Orr, "Personality and motivations associated with Facebook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5, No.2, pp.578-586, 2009. 

  36. J. Fogel and E. Nehmad, "Internet social network communities: Risk taking, trust, and privacy concern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5, No.1, pp.153-160, 2009. 

  37. 박승혜,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 사회불안,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32권, 제1호, pp.105-126,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