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층신경망 모형을 활용한 대중교통 이용자의 환승시간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ng the Transfer Time of Transit Users Using Deep Neural Network Models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9 no.1, 2020년, pp.32 - 43  

이경재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  김수재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  문형택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  한재윤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  추상호 (홍익대학교 도시계획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환승시간은 대중교통계획 및 정책 수립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통카드 이용자료를 활용하여 대중교통 이용자의 환승시간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딥러닝 기법인 심층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환승시간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전통적인 회귀모형과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환승시간 영향요인의 경우, 주변 버스의 배차간격과 버스 정류장까지의 거리가 버스 환승시간에 양의 영향을 주었으며, 버스 노선수는 반대로 음의 영향을 주었다. 또한 지하철역이 속해있는 자치구에 따라서도 환승시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환승시간 영향요인을 통해 딥러닝 모형을 구축하고 성능을 비교한 결과, 회귀모형보다 딥러닝 모형의 성능이 보다 우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별 환승허용시간의 차등 적용 등 대중교통 환승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ransfer time is an important factor in establishing public transportation planning and polic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transfer time for transit users were identified using smart card data, and the estimation results for the transfer time using the deep learn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환승통행 관련 연구 및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대부분이 환승통행량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교통 분야의 연구에서도 대중교통 환승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자의 지하철-버스 환승시간을 추정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승시간의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하철→버스간의 환승통행을 대상으로 모형을 추정하고자 한다.
  • 그러나 복잡한 요인들이 얽혀있는 도시의 교통 현상은 기존의 회귀분석이 설명하기 어려운 비선형적인 특성을 가지는 부분이 있어 최근에는 이런 비선형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높은 정확도로 추정이 가능한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의 환승체계 개선을 위해 서울시 내 환승시간을 새로운 연구방법론으로 주목받고 있는 딥러닝 기법으로 추정하고자 하며, 기존의 전통적인 방법론과 추정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환승시간 추정을 위해 전통적인 통계모형과 달리 새로운 연구방법론인 딥러닝 기법을 활용하였다. 이에 환승통행 특성과 관련된 연구와 함께 교통 분야에서 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 이는 출근시간대에는 대중교통 배차간격이 짧고 외적 요인에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출근시간대와 퇴근시간대, 비첨두시간대에 환승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일일, 출근시간대, 퇴근시간대, 비첨두시간대를 구분하여 환승시간 추정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신경망이 침체기를 맞은 이유는? 딥러닝의 대표적인 방법론 중 하나인 인공신경망은 인간의 뇌의 정보처리 및 전달과정을 수학적인 측면에서 관찰하여 시뮬레이션한 것으로 1943년 Warren McCulloch와 Walter Pitts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하지만 제안된 인공신경망이 단순한 XOR 분류문제도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 수학적으로 증명됨에 따라 인공신경망 연구는 침제기를 맞는다. 이후 1980~1990년도에 다층 인공신경망을 통해 XOR 분류 문제를 해결하면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당시에는 음성, 언어, 영상과 같은 신호에 대한 식별의 어려움과 당시 학습 알고리즘은 인공신경망의 학습시간에 현실적이지 않다는 한계가 있었다(Deng and Yu, 2014).
인공신경망은 무엇인가? 딥러닝의 대표적인 방법론 중 하나인 인공신경망은 인간의 뇌의 정보처리 및 전달과정을 수학적인 측면에서 관찰하여 시뮬레이션한 것으로 1943년 Warren McCulloch와 Walter Pitts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하지만 제안된 인공신경망이 단순한 XOR 분류문제도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 수학적으로 증명됨에 따라 인공신경망 연구는 침제기를 맞는다.
인공신경망 기법을 활용하여 정류장별, 기종점별 대중교통 이용량을 추정한 결과는? 대중교통 이용량 추정을 위해 정류장 인근의 건축물 연면적, 용도 등의 활동 관련 변수, 배차간격, 버스 노선수, 지하철 노선수, 통행시간 등의 수단 관련 변수를 고려하였다. 추정 결과, 정류장별로 추정한 모형보다 기종점별로 추정한 모형이 더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이는 정류장별로 집계된 데이터에 비해 기종점별로 집계된 데이터의 양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ek J. H. and Sohn K. M.(2017), "Deep-Learning Architectures to Forecast Bus Ridership at the Stop and Stop-To-Stop Levels for Dense and Crowded Bus Networks," Applied Artificial Intelligence, vol. 30, no. 9, pp.861-885. 

  2. Duan Y., Lv Y., Liu Y. and Wang F.(2016), "An efficient realization of deep learning for traffic data imput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vol. 72, pp.168-181. 

  3. Han G. I. and Sohn K. M.(2016), "Activity imputation for trip-chains elicited from smart-card data using a continuous hidden Markov model,"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vol. 83, pp.121-135. 

  4. Huang W., Hong H., LI M. and Hu W.(2013), "Deep Architecture for Traffic Flow Prediction," ADMA2013, vol. 8347, no. 2, pp.165-176. 

  5. Hwang J. H.(2014), "Analyzing Factors Affecting Public Transit Transfer Volume: Focused on Daegu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2, no. 3, pp.179-186. 

  6. Jang W. J.(2010), "Travel Time and Transfer Analysis Using Trnasit Smart Card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2144, pp.142-149. 

  7. Jung J. Y. and Sohn K. M.(2017). "Deep-learning architecture to forecast destinations of bus passengers from entry-only smart-card data," The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11, no. 6, pp.334-339. 

  8. Lee M. S. and Sohn K. M.(2015), "Inferring the Route-Use Patterns of Metro Passengers Based Only on Travel-Time Data Within a Bayesian Framework Using a Reversible-Jump Markov Chain Monte Carlo(MCMC) Simul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vol. 81, pp.1-17. 

  9. Lee S. H., Kim J. S., Kim M. S. and Woo Y. H.(2013), "A Study on Users' Travel Behavior Analysis of Transit Transfer,"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12, no. 12, pp.147-157. 

  10. Li D., Dong Y.(2014), "Deep Learning Methods and Applications" Foundations And Trends In Signal Processing, vol. 7 no. 3-4, pp.197-387. 

  11. Lim S. Y.(2017),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er Trips and Land Use, Masters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Korea. 

  12. Lim S. Y., Lee H. S. and Choo S. H.(2016),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Transfer Time of Public Transportation in Seoul-Focusing on Transfer Users from Subway to Bu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15, no. 2, pp.1-12. 

  13. Lv Y., Duan Y., Kang W., Li Z. and Wang F.(2015), "Traffic Flow Prediction With Big Data: A Deep Learning Approach," IEEE Transaction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vol. 16, no. 2, pp.865-873. 

  14. Ma X., Tao Z., Wang Y., Yu H. and Wang Y.(2015), "Long Short-Term Memory Neural Network for Traffic Speed Prediction Using Remote Microwave Sensor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vol. 54, pp.187-197. 

  15. Ma X., Yu H., Wang Y. and Wang Y.(2015), "Large-Scale Transportation Network Congestion Evolution Prediction Using Deep Learning Theory," PLoS One, vol. 10, no. 3, pp.1-17. 

  1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8), Public Transportation Investigation 2018, p.14. 

  17. Polson N. G. and Sokolov V. O.(2017) "Deep learning for short-term traffic flow predictio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vol. 79, pp.1-17. 

  18. Ryu J. D. and Yoon I. S.(2018), Development of Expressway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Using Deep Learning, Doctoral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Korea. 

  19. Seoul Solution, https://www.seoulsolution.kr, 2018.4.18. 

  20. Xiong G., Kang W., Wang F., Zhu F., Lv Y., Dong X., Riekki J. and Pirttikangas S.(2015), "Continuous Travel Time Prediction for Transit Signal Priority Based on a Deep Network," IEEE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pp.524-5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