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 교육과정에서 기초 학력으로서의 수리력 도입 방안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Numeracy as Basic Competence in the National Curriculum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4 no.2, 2020년, pp.119 - 134  

김선희 (강원대학교) ,  이승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초·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공통 교육과정의 역할을 고려한다면, 학생들이 학교 학습과 실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기초 학력을 탐색하여 명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초 학력은 특정 교과에의 활용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여러 교과를 아우르는 총론 교육과정에 명시되고 여러 교과 학습을 통해서 체계적이고 반복적으로 지도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영국, 캐나다, 호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총론과 여러 교과 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리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 및 수리력의 수준을 제안하고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수리력을 간단히 명시하고 교과 교육과정에서는 수리력 관련 내용을 암시하는 방안, 총론에서는 수리력의 개념, 구성 요소, 수준을 제시하고 교과 교육과정에서는 수리력 코드를 기술하는 방안 두 가지를 제안하였는데, 두 가지 안 모두 전문가들의 높은 동의를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where the national curriculum is run, can change school education by specifying basic competence in the common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for students to pursue school learning and real life. The numeracy as a basic competence should not be limited to mathematics, so it needs...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리력을 국가 교육과정에 반영한 국가로 영국, 캐나다, 호주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캐나다는 주별 교육과정이 운영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British Columbia(B.
  • 두 번째 방안은 호주처럼 초 중학교 학년군별로 필요한 수리력을 제시하고, 이를 다른 교과 등에서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력을 지식, 기능, 태도로 그 구성 요소를 설정하였으므로 이에 따라 각수준을 제시하고 그 내용을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방안은 전문가 협의회에서 다음과 같이 논의되었다.
  •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수리력의 구성 요소와 OECD(2018)의 Education 2030의 틀을 참고하여 본 연구는 수리력의 구성 요소를 지식, 기능, 태도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현행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량과 내용을 유지하면서, 타 교과 학습이나 삶의 영위에 필요한 내용을 선정하였고, 수학 전공자가 아닌 일반인에게도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설명하려 하였다.
  • 이상을 종합할 때,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교육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수리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를 구체화하고 이를 국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방식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에서 영국, 캐나다, 호주가 수리력을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정의하고 내용을 규정하고 있는지와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 수리력의 위상은 어떠한지를 분석한 후,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수리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를 수학 교과의 전문가와 타 교과의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전문가 협의회 및 설문 조사 조사를 통해 도출하고 이를 반영하여 교과 교육과정에서의 제시 방안을 제안하였다.
  • 선행 연구에 따르면 수리력은 상황 속에서 발현된다. 이를 본 연구는 수학 외적 상황으로 해석하며 수학이 아닌 타교과의 학습이나 실생활 속에서 수리력이 발현되어야 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PIACC와 Goos, Dole & Geiger에서 제시한 내용과 표현, 수학적 지식을 ‘지식’, 자신감, 융통성과 같은 성향이나 비인지적 측면을 ‘태도’로, 문제해결, 어림 등의 수리력 관련 반응을 ‘기능’으로 보고 세 가지 측면에서 수리력을 논의하고자 한다.
  • 이상을 기초로 본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 총론에서 수리력을 규정하는 방안을 개발하고자 전문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Ⅲ장에서, 연구 결과는 Ⅳ장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 이상을 종합할 때,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교육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수리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를 구체화하고 이를 국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방식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에서 영국, 캐나다, 호주가 수리력을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정의하고 내용을 규정하고 있는지와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 수리력의 위상은 어떠한지를 분석한 후,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수리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를 수학 교과의 전문가와 타 교과의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전문가 협의회 및 설문 조사 조사를 통해 도출하고 이를 반영하여 교과 교육과정에서의 제시 방안을 제안하였다.
  • 수학에서 키워야 할 기본 능력은 수학에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고, 다른 교과를 통해서도 양성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 기초 능력을 수리력(numeracy)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수리력과 수학과 성취기준이 독립적으로 개발되면서도 관련성에 대한 개념 구축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리력을 핵심 역량과는 구분되는 기초 학력의 영역으로 제안하였다. 다만 국가에 따라서는 수리력을 핵심 역량의 일환으로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에서, 추후 교육과정 개정에서 핵심 역량의 제시 목적과 역할에 따라 수리력의 위상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 총론 교육과정에서 수리력 도입을 위해 본 연구는 외국의 사례와 전문가 협의회를 기반으로 수리력의 개념규정 및 구성 요소 설정과 교육과정 문서에서의 반영 방안에 대해 전문가들의 설문 조사를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한편 Jablonka(2015)는 수학과 교육과정을 위한 모델로서 수리력(수학적 소양)의 발전을 묘사하면서 수리력 수준이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지를 PISA의 성취수준을 근거로 6개 수준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는 학생들의 성취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육과정 기반으로 수리력의 수준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교육의 역할은 무엇인가? 학교 교육은 국가 수준에서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주요 수단이자 학생 개개인에게는 자신의 현재와 미래를 형성해 나가기 위한 주요 과정이며 관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홍미주, 박선영, 김회용, 2013, p.73).
초 중학교 교육에서, 모든 학생들에게 공통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것의 의의는? 73).특히, 초 중학교 교육에서는 모든 학생들에게 적용되는 공통 교육과정이 적용되는데, 이는 교육의 기회 균등을 실현하는 한편, 그 이후 단계의 교육이 가능하게 하는 기반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학생 개개인에게 기초 학력을 형성하게 한다는 의의를 지닌다(홍후조, 2017, pp.59~60).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수리력과 달리, PIACC에서 정교화한 수리력의 개념은? 2)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수리력은 수를 이해하고 다루는 능력이지만, PIACC에서 성인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규정된 5가지 측면은 매우 다양한 것을 포함하고 있다.즉 수리력은 상황 속에서 발휘되고, 그에 맞춰 기대되는 인간의 행동이며, 수학적 내용과 표현과 관련되고, 인지적 측면뿐 아니라 태도 등의 비인지적 측면도 포함한다. 수리력이 수학 내용을 포함하지만, 수학 교과 내에서만 학습되고 발휘되는 것은 아니며, 수학 지식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측면도 염두에 두어야함을 제안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o, K. H. (2015). Things intended and realized in the 2013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Significance and limita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3(3), 199-220. 

  2. Lee, S. M., Lee, B. C., Baek, K. S., Bae, H. S., Lee, G. N., Kim, S. H., Kim, H. K., Lee, Y. A., & Oh, S. J. (2015). National curriculum design for elementary and lower secondary school in compliance with the strengthening of educational autonomy policy(RRC 2019-7). ChungBuk: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3. Hong, M. J., Park, S. Y., & Kim, H. Y. (2013). The comparison of the ancient-modern and post-modern theory views of schoo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8(3), 73-93. 

  4. Hong, H. J. (2017). Easy curriculum. Seoul: Hakjisa. 

  5. Alberta Education (2016). The guiding framework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kindergarten to grade 12 provincial curriculum. 

  6. Askew, M. (2015). Numeracy for the 21st century: a commentary. ZDM Mathematics Education, 47, 707-712. 

  7. Bullock,E. C. (2013). An archaeological/genealogical historical analysis of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Standards document(doctoral dissertation). 

  8. Callingham, R., Beswick, K., Ferme, E. (2015). An initial exploration of teachers’ numeracy in the context of professional capital. ZDM Mathematics Education, 47(4), 549-560. 

  9. Commonwealth of Australia (2009). Shape of the Australian Curriculum: Mathematics. 

  10. Craig, J. (2018). The promises of numerac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99, 57-71. 

  11. Department for Education, UK. (2014).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Framework document. https://assets.publishing.service.gov.uk/government/uploads/system/uploads/attachment_data/file/381344/Master_final_national_curriculum_28_Nov.pdf (2020. 3. 3. 검색) 

  12. Department for Education, UK. (2020). Professional skills test. http://sta.education.gov.uk/ (2020. 3. 5. 검색) 

  13. Geiger, V., Forgasz H. & Goos, M. (2015). A critical orientation to numeracy across the curriculum. ZDM Mathematics Education, 47(4), 611-624. 

  14. Goos, M., Dole, S., & Geiger, V. (2011). Improving numeracy education in rural schools: a professional development approach.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23(2), 129-148. 

  15. Jablonka, E. (2015). The evolvement of numeracy and mathematical literacy curricula and the construction of hierarchies of numerate or mathematically literate subjects. ZDM Mathematics Education, 47, 599-609. 

  16. Karaali, G.,Villafane Hernandez, E. H., & Taylor, J. A. (2016). What’s in a name? A critical review of definitions of quantitativ literacy, numeracy, and quantitative reasoning. Numeracy, 9(1), 1-34. 

  17. Kilpatrick, J., Swafford, J. & Findell, B. (2001). Adding it up: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8.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sronal Psychology, 28(4), 563-575. 

  19. Lerman, S., & Zevenbergen, R. (2004).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the mathematics classroom. In P. Valero & R. Zevenbergen(eds)., Researching the socio-political dimensions of mathematics education:Issues of power in theory and methodology(pp.27-42). NY: Springer. 

  20. OECD (2013). Returns to skills around the world: Evidence from PIAAC. OECD Education Working Papers, No. 101. 

  21. OECD (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Position paper. 

  22. Parnis, A. J. & Petocz, P. (2016). Secondary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s numeracy: an Australian investigation based on the National Assessment Program- Literacy and Numeracy. Australian Education Research, 43, 551-5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