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류공정 내 흡수시스템 CO2 탈리 효율 평가
Evaluation of CO2 desorption efficiency of scrubber absorption system in Liquor Plan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2, 2020년, pp.173 - 182  

박일건 ((주)평화엔지니어링 연구원) ,  박형준 ((주)평화엔지니어링 연구원) ,  이준형 ((주)평화엔지니어링 연구원) ,  김흥래 ((주)평화엔지니어링 연구원) ,  이주열 ((주)애니텍 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주류공장 내 고농도 CO2 제거 및 포집을 위해 L-alanine 흡수제를 적용하여 CO2 흡수, 탈리 효율을 평가 후 재생 성능을 확인하였다. 탈리공정의 효율적인 처리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실 규모에서 Hot plate, Steam 두가지 탈리 방법을 비교하였으며 Hot plate는 약 10%, Steam의 경우 약 60%의 재생효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주류공장 내 100㎥/min 실증화 규모에 Steam-Tower 탈리공정을 적용하여 최적조건을 평가한 결과 탈리 유량 4L/min 이하, Steam 온도 160℃ 이상, 탈리효율 85.5%로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mino acid salt absorbents were applied to remove and capture high concentrations of CO2 in liquor factories and regeneration performance was confi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 treatment of the desorption process, two methods(Hot plate and Steam) were compared at the labora...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주류공장 내 고농도 CO2 제거 및 포집을 위해 L-alanine을 적용하여 CO2 흡수 및 탈리 효율을 평가 후 재생 성능을 확인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 아미노산염 흡수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흡수제의 수명을 파악함과 동시에 재생 시스템 및 재생 비용에 의한 경제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생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실제 주류공장에 실증화 시설을 설치/적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재생효율, 연속재생시스템 구축을 위한 data 확보 및 탈리공정 최적 조건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8%의 재생효율로 나타났다. L-alanine의 최대 흡수량인 0.797mol-(CO2)/mol-(L-alanine), 현장 내 0.3%의 이산화탄소 농도로 가정하여 운전조건을 결정하면 80 m3/min의 유량으로 흡수시스템을 가동하고 Steam-Tower 조건 160℃, 4L/min의 유량으로 85.8%의 재생효율을 나타내며 연속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는 주 원인은 무엇인가? 온실가스는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복사열을 흡수하여 지구 기온을 상승시키는 기체로 정의하며 직접 온실가스(CO2, CH4 N2O, HFCs, PFCs, SF6, CFCs, H2O)와 간접온실가스 (NOx, CO, SO2, NMVOC)로 구분되어진다[1].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가는 세계 주요 에너지 사용량의 증가에 따른 에너지 공급과 수송부문의 배출량 급증이 주요 원인으로 이 중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지수가 낮지만, 규제가 가능한 가스이면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80% 이상을 차지하여 6대 온실가스 중 가장 중요한 온실가스로 분류되고 있다. 에너지 공급 부분의 전체 배출 온실가스 중연료 사용에 의한 CO2 배출이 57%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에너지 공급(26%), 산업(19%)부문에서 많이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3].
온실가스는 무엇인가? 급속한 산업의 발전과 동시에 화석연료 사용증가로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급격히 증가되어 지구온난화현상이 극대화되고 있다. 온실가스는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복사열을 흡수하여 지구 기온을 상승시키는 기체로 정의하며 직접 온실가스(CO2, CH4 N2O, HFCs, PFCs, SF6, CFCs, H2O)와 간접온실가스 (NOx, CO, SO2, NMVOC)로 구분되어진다[1].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가는 세계 주요 에너지 사용량의 증가에 따른 에너지 공급과 수송부문의 배출량 급증이 주요 원인으로 이 중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지수가 낮지만, 규제가 가능한 가스이면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80% 이상을 차지하여 6대 온실가스 중 가장 중요한 온실가스로 분류되고 있다.
지속적으로 성장 가능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화석연료 사용이 필수적인 요소로 부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에너지 사용 잠재량, 사용의 용이성, 에너지 밀도, 에너지 사용량의 증가 등을 고려할 때 화석연료의 사용은 불가피하며, 그 사용량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8]. 따라서 지속적으로 성장 가능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화석연료 사용은 필수적인 요소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는 실정이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E. C. Jeon, J. H. Sa, "Development of $CO_2$ Emission Fator by Fuel and $CO_2$ analysis at Sub-bituminous Fired Power Plant.",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ol.36, No.2, pp. 128-135, (2010). 

  2. G. H. Mun, "KCRC ISSUE REPORT: Necessity and prospect of CCS", Korea 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R&D Center, Vol.01, (2015). 

  3. J. A. Lim, Y. I. Yoon, S. C. Nam, S. K. Jeong, "Post-combustion $CO_2$ capture with potassium L-lysin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4, No.9, pp. 4627-4634, (2013). 

  4. M. Claude, "Prospects for $CO_2$ capture and storage", Energy Technology Analysis, pp. 27-36 (2016). 

  5. M. Mike, " $CO_2$ Earth", U.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Earth System Research Laboratory, (2015). 

  6. K. Topfer, "Working Group III: 2. Greenhouse gas emission mitigation scenarios and implication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1). 

  7. J. H. Wee, J. I. Kim, I. S. Song, B. Y. Song, K. S. Choi, "Reduction of carbon-dioxide emission applying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technology to power generation and industry secto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30, No.9, pp. 961-972, (2008). 

  8. J. W. Doe, W. G. Lim, H. K. Kang, I. H. Hwang, J. H. Ha, B. K. N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hange in Calorific Value and Carbon Emission Factor of Domestic Petroleum Energy Source"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4, No.4, pp. 1046-1057, (2017). 

  9. J. K. Lim, "UNFCCC National Communication",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2003). 

  10. J. H. Ha, E. J. Jang, Y. C. Kwon,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quality for power bio-fuel oil"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2, No.3, pp. 588-598, (2015). 

  11. J. R. Shin, S. H. Moon, J. K. Kim, J. S. Choi, Y. H. Lim, B. H. Park, J. Y. Lee, "Study on development of Smart ventilation system using a adsorbent for the removal of $CO_2$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2, No.3, pp. 578-582, (2015). 

  12. S. D. Park, "CCS; Carbon Dioxide Capture. & Storage", Physics and High Technology, pp. 19-23 (2009). 

  13. I. G. Park, Y. S. Park. "Evaluation of $CO_2$ Removal Efficiency in Liquor plant by scrubber."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4, No.4, pp. 986-994, (2017). 

  14. S. Shen, Y. Yang, Y. Wang, S. Ren, J. Han, " $CO_2$ absorption into aqueous potassium salts of lysine and proline: Density, viscosity and solubility of $CO_2$ ", Fluid Phase Equilibria, Vol.399, pp. 40-49 (2015). 

  15. J. A. Lim, D. H. Kim, Y. Yoon, S. K. Jeong, K. T. Park, S. C. Nam, "Absorption of $CO_2$ into Aqueous Potassium Salt Solutions of L-Alanine and L-Proline", Energy and fuels, Vol.26, No.6, pp. 3910-3918, (2012). 

  16. H. Bosch, G. F. Versteeg, W. P. M. Van Swaaij, "Gas-liquid mass transfer with parallel reversible reactions-I. Absorption of $CO_2$ into solutions of sterically hindered amines", Chemical engineering science, Vol.44, No.11, pp. 2723-2734, (1989). 

  17. P. M. M. Blauwhoff, G. F. Versteeg, W. P. M. Van Swaaij, "A Study on The Reaction Between CO, and Alkanolamines in Aqueous Solutions", Chemical engineering science, Vol.39, No.2, pp. 207-225, (1984). 

  18. J. E. Crooks, J. P. Donnellan, "Kinetics and Mechanism of the Reaction between Carbon Dioxide and Amines in Aqueous Solution", 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Perkin Transactions 2, Vol.2, No.4, pp. 331-333, (1989). 

  19. G. F. Versteeg, J. A. M. Kuipers, F. P. H. Van Beckum, W. P. M. Van Swaaij, "Mass transfer with complex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I. Single reversible chemical reaction", Chemical Engineering Science, Vol.44, No.10, pp. 2295-2310, (1989). 

  20. U. R. Aronu, A. Hartono, K. A. Hoff, H. F. Svendsen, "Kinetics of carbon dioxide absoprtion into aqueous amino acid salt: potassium salt of sarcosine solution",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Vol.50, No.18, pp. 10465-10475, (2011). 

  21. J. Ren, L. W, B.-G. Li, "Preparation and $CO_2$ sorption/desorption of N-(3-aminopropyl) aminoethyl tributylphosphonium amino acid salt ionic liquids supported into porous silica particles",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Vol.51, No.23, pp. 7901-7909, (2012). 

  22. J. S. Choi, J. G. Kim, J. H. Lee, Y. J. Chu, J. Y. Lee, B. H. Park, "Study of continuous regeneration of carbon dioxide sorbent using amino acid salt",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4, No.4, pp. 947-953,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