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기독교 대학 신입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신앙성숙도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on the perceived stress and faith maturity of christian university freshma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2, 2020년, pp.328 - 339  

장인순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 신입생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지각된 스트레스, 신앙성숙도가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8년 4월에 조사된 신입생 232명의 자가보고 설문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삶의 만족도, 지각된 스트레스, 동료지지, 가족지지, 신앙성숙도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설명력은 70.3%이었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스트레스 감소 및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을 위한 노력과 신앙성숙을 위한 다양한 교육적 접근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subjective happiness of christian university freshman. The study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232 freshmen in April, 2018. Data were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 신입생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 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 신입생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지각된 스트레스, 신앙성숙도가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삶의 만족도, 지각된 스트레스, 동료지지, 가족지지, 신앙성숙도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설명력은 70.
  •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 신입생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지각된 스트레스, 신앙성숙도가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를 파악하여, 신입생의 대학적응의 한 영역인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적 접근을 모색하게 되는데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특히 기독교 대학의 경우 교육기간 동안 다양한 신앙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신앙적 성숙을 도모하고 있기에 이들 교육적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한 의미가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 중 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 신앙성숙도[26,28]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신앙성숙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도 높고, 지각된 스트레스는 낮았으며, 주관적 행복감의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입생의 대학적응에 대한 여러 개념 중 행복감에 관심을 갖고, 신앙을 바탕으로 학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독교 대학 신입생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지각된 스트레스, 신앙성숙도가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신입생의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적 접근을 모색하게 되는데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주관적 행복감에 대인관계, 자아존중감[12], 자기효능감, 긍정적 사고[13]가 영향을 미친 변수로 보고하고 있었는데, 이런 심리적 요인인 자아정체감과 자아존중감이 신앙 성숙도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한 연구들도 있었다[26,28]. 이에 신앙성숙도도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독교 대학에서는 대학의 교육기간 동안 다양한 신앙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신앙적 성숙을 도모하고 있기에 이들 교육적 중재의 효과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라 생각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입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대학신입생의 성공적인 적응은 대학생활 전반 에 영향을 미치고, 효과적인 대학적응과 대학 및 구성원에 대한 소속감을 갖게 되어 학업을 지속 하도록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3]. 신입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이란 대학에 입학한 신입생이 1 년 동안의 대학생활을 통해 자신이 선택한 교과를 성공적으로 이수할 수 있는 적응 능력을 개발하고, 사회적 관계를 만들고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며, 자신의 미래 진로 개척에 필요한 역량을 구축하는 것이다[4]. 이처럼 대학생활 적응은 대학생들이 새로운 환경과 구성원에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영위하고 스스로 높은 만족감을 느끼는 과정을 의미한다.
신앙성숙도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신앙성숙도는 성경에 전적으로 동의하고 그 내용을 실천하는 행위로 그리스도와의 인격적인 만남 속에서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에 의미와 목적을 주는 인지적, 정의적, 의지적인 면을 모두 포함하는 신앙의 정도를 의미한다[26]. 성숙한 신앙은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성에 대한 균형과 조화를 필요로 하며, 인간의 가치와 존중에 대한 인식을 가진다[27].
기독교 대학 신입생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을 때 그 구체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첫째, 기독교 대학 신입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신앙성숙도 및 주관적 행복감 정도를 파악한다. 둘째, 기독교 대학 신입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신앙성숙도 및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를 확인한다. 셋째, 기독교 대학 신입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신앙성숙도 및 주관적 행복감의 상관관계를 파악 한다. 넷째, 기독교 대학 신입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요인을 확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 H. Yoo, J. K. Kim, "A Review Study on Adjustment of College Freshmen for Suggesting Adapta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6, No.8 pp. 580-591, (2016). http://doi.org/10.5392/JKCA.2016.16.08.580 

  2. E. H. Park, "The Effect of a Short Camp Program for Improving Adaptability 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College Students", Forum For Youth Culture, Vol.36 pp. 30-58, (2013). 

  3. S. Y. Hong, "Need Analysis on Education for Supporting First-year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14, No.1 pp. 271-295, (2016). 

  4. M. H. Yeom, "Devising a Model of Develop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First Year Students of University",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33, pp. 359-388, (2015). 

  5. S. B. Kang, K. H. Kim, "An Empirical Study on Adaptation to College and Learning Attitude of University Freshman's and the Different Effects of Admission System",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13, No.6 pp. 77-96, (2019). 

  6. M. K. Kim, "A Phenomenological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Happiness Experience", Studies on Korean Youth, Vol.18, No.10 pp. 1-34, (2011). 

  7. H. C. Cho, "A Study on the Stress Involved in Preparing for Employment on College Student's Happiness: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Studies on Korean Youth, Vol.24, No.1 pp. 157-184, (2013). 

  8. J. A. Piqueras, W. Kuhne, P. Vera-Villarroel, A. van Straten, P. Cuijpers, "Happiness and Health Behaviours in Chilean College Students: A Cross- Sectional Survey". BMC Public Health, Vol.11, No.443, (2011). https://dx.doi.org/10.1186/1471-2458-11-443 

  9. Y. C. Kwon, C. Y. Jeong, Y. S. Seo, "Validation of a Path Model for Subjective Happin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6, No.1 pp. 197-206, (2018). https://dx.doi.org/10.14400/JDC.2018.16.1.197 

  10. J. H. Kim, J. H. Ok,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in Nursing Students: Focused on Psycho-social Factor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25, No.2 pp. 123-132, (2016). http://dx.doi.org/10.12934/jkpmhn.2016.25.2.123 

  11. J. Y. Kim, H. S. Park, "The Factors related to Happines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1 pp. 545-559, (2015). 

  12. M. S. Park,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Stress and Self Esteem on Subjective Happin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4 pp. 395-402, (2018). https://dx.doi.org/10.5762/KAIS.2018.19.4.395 

  13. S. O. Kim,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Positive Thinking on Subjective Happin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12 pp. 435-444, (2017). http://dx.doi.org/10.14400/JDC.2017.15.12.435 

  14. E. M. Kim, Y. H. Yang, H. Y. Lee, M. Yu,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in Korea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2, No.3 pp. 294-303, (2016). 

  15. E. Y. Kim, K. S. Lim, "The Effect of Stress on the Happiness Index of Nursing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12 pp. 381-391,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12.381 

  16. M. Y. Lee, "The Effects of Stress on Happiness in University Students -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Healthines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9, No.3 pp. 557-565, (2019). http://doi.org/10.5392/JKCA.2019.19.03.557 

  17. B. I. Jeong, C. I. Bae, J. S. Seo,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Happiness", 2017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Fall Conference, pp.279. 

  18. H. S. Park, "Stress, Yangsaeng and Subjective Happiness among Femal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0, No.4 pp. 471-481, (2014).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4.471 

  19. E. J. Jeong,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Their Subjective Happiness". Journal of Leisure Studies, Vol.14, No.1 pp. 47-62, (2016). 

  20. Y. S. Kim, M. Y. Han, "Factors Influencing Happiness Index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21, No.5 pp. 501-510, (2015).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5.501 

  21. D. S. Lee, A. M. Padilla, "Predicting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Happiness through Social Support and Efficacy Beliefs", Int J Adv Couns, Vol.38, No.1 pp. 48-60, (2016). http://dx.doi.org/10.1007/s10447-015-9255-2 

  22. C. L. Keyes, D. Eisenberg, G. S. Perry, S. R. Dube, K. Kroenke, S. S. Dhingra, "The Relationship of Level of Positive Mental Health with Current Mental Disorders in Predicting Suicidal Behavior and Academic Impairment in College Students", J Am Coll Health, Vol.60, No.2 pp. 126-33, (2012). http://dx.doi.org/10.1080/07448481.2011.608393 

  23. K. K. Asberg, C. Bowers, K. Renk, C. Mckinney,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to the Study of Stress and Psycholoical Adjustment in Emerging Adults",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Vol.39, pp. 481-501, (2008). 

  2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7 National Health Statistics, 2018. from https://www.cdc.go.kr/board.es?mida20602010000&bid0034&list_no364617&actview 

  25. R. A. Settersten, F. F. Furstenberg, R. G. Rumbaut, "On the Frontier of Adulthood: Theory, Research, and Public Policy", Journal of Nervous & Mental Disease, Vol.195, No.3 pp. 271-272, (2008). http://dx.doi.org/10.1097/NMD.0b013e31803379ac 

  26. E. B. Lee, "A Study of Variables related with the Faith Maturity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Vol.17, pp. 93-110, (2013). 

  27. E. J. Ba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Faith Mutuality and Self Esteem in Korean Theologians", Journal of Counseling and Gospel, Vol.3, No.3 pp. 178-189, (2004). 

  28. E. H. Kim, "The Effects of Faith Maturity Levels, Avoidant, Career Decision Levels, and Inner Controls on Self-esteem", The Journal of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Vol.16, pp. 221-240, (2012). 

  29. S. Cohen, T. Karmarck, R. Mermelstein,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4, pp. 385-396, (1983). 

  30. J. O. Park, Y. S. Seo, "Validation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 on Sampl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Vol.29, No.3 pp. 611-629, (2010). 

  31. T. K. Kim, I. S. Jang, "Development of the Spirituality Scale for Korean Bible University", Journal of Korean Bible University, Vol.16, pp. 161-184, (2011). 

  32. S. Lyubomirsky, H. S. Lepper,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 Indic Res, Vol.46, No.2 pp. 137-55, (1999). 

  33. J. H. Kown, E. H. Choi, S. Y. Choi, "A Study on the Direction of Optimis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Association of korea Counseling Psychology Education Welfare, Vol.2, No.1 pp. 65-74, (2015). 

  34. D. Ruiz-Aranda, N. Extremera, C. Pineda-Galan, "Emotional Intelligence,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in Female Student Health Professionals: The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J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21, No.2 pp. 106-13, (2014). http://dx.doi.org/10.1111/jpm.12052 

  35. J. W. Park,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thesis, Yonsei University, (1986). 

  36. Y. K. Park, "The Effects of Parents'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on the Students' Religious Maturity and Self­Ident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oung Theological University, (2011). 

  37. Y. S. Song, "Path Model Analysis of Stress, Coping Method, Quality of Life and Spiritual Maturity of Middle Age Christian Women". Unpublished doctoral thesis, Baekseok University, (2009). 

  38. W. C. Compton, An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Belmont, Thomson Wadsworth,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