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거수노수명목지에 왜곡되어 있는 조선의 신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a God tree of Chosun Distorted in Chosun-Gersu-Nosu-Myungmok-Ji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8 no.3, 2019년, pp.372 - 381  

박찬우 (산림기술인교육원) ,  안창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김세창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선거수노수명목지는 조선총독부가 조선의 신목을 왜곡하기 위해 만든 자료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증명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조선거수노수명목지에는 64개 수종 3,170본의 목록이 기록되어 있다. 노거수에 신적 요소 고사 전설이 있으면 신목, 고사적 요소 고사 전설이 있으면 명목으로 분류되어 있다. 본수가 가장 많은 느티나무로부터 8번째로 많은 전나무까지 8수종 2,632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8개 수종별 신목과 명목의 평균 직경, 평균 수고, 평균 수령을 산출하였다. 8개 수종 중 7개 수종에서 명목의 직경과 수령이 신목보다 크고, 6개 수종에서 명목의 수고가 신목보다 컸다. 신목이 명목보다 왜소하고 볼품없는 크기의 나무라는 이 상식에 반하는 사실이 조선거수노수명목지에 기록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고의 가설은 위의 사실 확인으로 증명되었다. 둘째 조선총독부는 신목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동제를 미신으로 타파하는 시책을 추진하였다. 신목이 작고 볼품없어야 미신이라고 주장하기 좋았을 것이다. 조선 신목의 신성성을 폄하하기 위한 설명자료 또는 증거자료로 조선거수노수명목지를 작성한 것이다. 셋째 조선의 신목이 명목보다 작고 왜소하다는 날조된 내용을 사실인양 쉽게 설명할 수 있도록 조선거수노수명목지를 흉고직경순으로 편찬한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proof for the hypothesis that the God tree of Chosun has been misrepresented in Chosun-Gersu-Nosu-Myungmokji (CGN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t was established that 64 species and 3170 trees were recorded in CGNM. An old, big tree is classified as...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련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목이 명목보다 작고 볼품없어야 하는 이유를 정리해보자. 일제는 조선에서 신목이나 당산목으로 불리우는 노거수에는 귀신이 있다고 생각하였고 해당 노거수를 중심으로 행해지는 동제 또는 부락제를 미신으로 타파하는 시책을 추진하였다.
  • 명목 1,276본과 신목 825본을 비교한 결과이다. 그 왜곡 이유를 찾기 위해 일제강점기 관련 분야 기록이나 연구결과를 보자.​​​​​​​
  • 본 고는 위에서 제시한 이상한 두 가지 현상, 첫째, 보다 큰 노거수는 명목으로 분류된 경우가 많고 보다 작은 노거수는 신목으로 분류된 경우가 많은 현상, 즉, 신목이 명목보다 왜소하고 볼품없는 크기의 나무라는 이 상식에 반하는 현상, 둘째, 노거수를 소재지별로 정리하지 않고 흉고직경 크기순으로 정리한 이해할 수 없는 편찬 체계를 근거로, 조선거수노수명목지는 조선총독부가 조선의 신목을 왜곡하기 위해 만든 자료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증명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그것은 조선거수노수명목지 작성과 관련된 조선총독부의 숨은 의도를 찾는 일이고 일제에 의해 왜곡된 조선의 신목에 대한 사실을 밝히는 일이다.
  • 본 고는 조선거수노수명목지에서 발견된 이상한 현상, 첫째, 신목이 명목보다 왜소하고 볼품없는 크기의 나무라는 상식에 반하는 현상, 둘째, 노거수를 소재지별로 정리하지 않고 흉고직경 크기순으로 정리한 이해할 수 없는 편찬 체계를 근거로, 조선거수노수명목지는 조선총독부가 조선의 신목을 왜곡하기 위해 만든 자료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증명하기 위해 연구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런 한계를 염두에 두고 현재의 천연기념물 느티나무에 대해 100년 전 조선거수노수명목지가 어떻게 기록하였는지 살펴보자. Figure 3의 천연기념물 283호, 영암군 군서면 월곡리 느티나무는 조선거수노수명목지 느티나무 목록 959본 중 21번째로 흉고직경이 큰 노거수이다.

가설 설정

  • 신목으로 받아들일 수가 없는 것이다. 조선거수노수명목지는 조선총독부가 조선의 신목을 왜곡하기 위해 만든 자료라는 본 고의 가설은 위의 사실 확인으로 증명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거수노수명목지는 무엇인가? 조선거수노수명목지는 조선총독부가 1919년에 발행한 조선의 노거수 자료이다. Lee(1981)는 우리나라에 있어 조선거수노수명목지는 노거수에 대한 공적 관심의 시작이라고 하였다.
조선거수노수명목지에서 조선의 동목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Park et al.(2000)은 조선거수노수명목지가 1919년에 조선의 동목(洞木) 종류(이하 유형이라고 한다)를 신목, 당산목, 명목, 정자목, 피서목, 호안목, 풍치목으로 구분하였다고 하였다.
조선거수노수명목지 제1편의 목록은 어떻게 되는가? 조선거수노수명목지의 제1편은 조선의 노거수 64수종, 총 3,170 본의 목록이다. 목록은 Figure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종별로 ① 노거수 번호 ② 소재지_도 ③ 소재지_부·군·면·동·리 ④ 소재지_소유자 ⑤ 지상 1.5 m 주위의 둘레 길이(이하 흉고직경이라 한다) ⑥ 수고 ⑦ 수령 ⑧ 유형 ⑨ 고사(故事)·전설로 작성되어 있다. 제2편은 거수 노수명목의 참고사항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oi, K.S. 1974. A study on destruction of the supertition. Korean Folklore 7: 39-54. 

  2. Choi, K.H. 1997. The identity of Dongje an dvillage after the superstitious. Religious Research 13: 67-87. 

  3. Huh, Y.H. 2006. The aspect and meaning of folk belief in Kyonggi Province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ssociation for Korean Shamanistic Studies 11: 339-383. 

  4.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1919. Chosun-Gersu-Nosu-Myungmok-Ji. pp. 197. 

  5. Kwon, T.U. 2014. Japanese 'Civillizing mission'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Council. pp. 198. 

  6. Lee, C.B. 1981. Protection of the old big tree. Cultural Properties 14: 145-155. 

  7. Murayama, J.J. 2008. Ghost of Chosun. Dongmoonsun. pp. 471. 

  8. Park, J.M., Lee, J.T. and Byun, M.S. 2000. Study on the growth conditions of big and old trees in Chollabuk-do.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8(3): 86-96. 

  9. Park, Y.Y. 2015. Religious policy and Shamanism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ssociation for Korean Shamanistic Studies 31: 57-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