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개정 과학과 선택과목 수업 및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탐색
Exploration of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Instruction and Assessment of Science Elective Cours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1 no.3, 2021년, pp.183 - 192  

곽영순 (한국교원대학교) ,  이일 (광명고등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2년차를 맞이하여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의 수업과 평가 구현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과학과 교육과정의 안착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44명의 고등학교 과학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9명의 과학 교사들과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심층적인 답변을 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설문조사에서 과학 교사들은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과역량 신장과 학생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수업을 고민하고 있지만, 여전히 강의 위주 수업을 가장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측면에서는 과정중심평가와 관련된 문항들에서 교사들은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과학과 선택과목 운영의 어려움으로 교사들은 '담당해야 하는 과목의 수 증가', '업무 과다', '다양한 교수학습 및 평가 등을 고려한 수업의 재구조화에 대한 부담'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해 교사들은 통합과학에 비해 과학I 선택과목에서는 탐구실험 등과 같은 학생참여형 수업을 덜 강조하며, 과학II 과목의 경우 주로 3학년 때 하므로 학생참여형으로 진행하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과학과 선택과목에서 과정중심평가를 하려면 시간 확보가 필요하며, 수능에 실험이 안 나와서 실험에 대한 과정중심평가도 할 필요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학과 선택과목에서 과정중심평가 안착을 위한 지원방안, 학교현장의 학생참여형 수업이나 과정중심평가의 방향성과 원인에 대한 심층 분석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part of the second-year monitoring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investigate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realization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of elective courses to derive measures to settle and improve the science curriculum...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22)

  1. Bovill, C. and Bulley, C.J. (2011) A model of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sign: exploring desirability and possibility. In Improving Student Learning 18: Global theories and local practices: institutional, disciplinary and cultural variations. Oxford: The Oxford Centre for Staff and Educational Development. 

  2. Choi, S., Shin, C., Hwang, E., Lee, S., Kin, E., Yoo, J., Jung, M., & Song, J. (2015). General manual for the opera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3. Choi, J., & Woo, A. (2020). Effect of science practice-based class o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core competency.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24(1), 11-22. 

  4. Christenson, S. L., Reschly, A. L., Appleton, J. J., Berman, S., Spanjers, D., & Varro, P. (2008). Best practices in fostering student engagement. Best Practices in School Psychology, 5, 1099-1120. 

  5. Jeon, S. (2019).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for improving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8(1), 16-30. 

  6. Hong, S., Chang, I., & Kim, T. (2017).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5(4), 47-69. 

  7. Kang, H., Lee, S., Lee, I., Kwak, Y., Shin, Y., Lee, S. Y., & Ha, J. (2020). Qualitative inquiry on factor for improving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9(2), 183-203. 

  8. Kim, M., & Ryu, S. (2019). Development of scientific conceptual understanding through process-centered assessment that visualizes the proces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5), 637-654. 

  9. Kwak, Y. (2019). Exploration of support plans for 2015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implemen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2), 197-205. 

  10. Kwak, Y., Shin, Y., Kang, H., Lee, S., Lee, I., Lee, S. Y., & Ha, J. (2020). Qualitative inquiry on ways to improve science instruction and assessment for raising high school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40(2), 197-205. 

  11. Kwak, Y., & Shin, Y. (2019). Analysis of enacted curriculum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 of integrated science teaching in 2015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3), 337-346. 

  12. Kwak, Y. (2020). Trend analysis of curriculum application status of 2015 revised integrated science and scientific laboratory experiment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13(1), 53-63. 

  13. Lee, H., Baek, J., & Kwak, Y. (2020).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implementation and challenges on process-based assessment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4(2), 133-144. 

  14. Ministry of Education [MOE],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2017). Performance assessment focusing on the process: What should I do? Sejong: MOE. 

  15. Park, J., Cho, J., Jin, K-A., Kim, S., Lee, J., Pae, J-K., Kim, H., Park, J., Lee, S., Bae, H., Lee, S., Lee, D., & Kim A. (2018). Development and administration of training programs for process-fortified assessment by teacher. (KICE Research Report CRE 2018-4). Jincheon: Author. 

  16. Jin, K-A., Son, M., Si, K., Shin, H-J., Suh, B-E., Kwon, G., Chon, K. H., & Kim, T. H. (2018). Exploring student assessment strategies in light of high school reform policies. (KICE Research Report RRE 2019-12). Jincheon: Author. 

  17. Lee, I., & Kwak, Y. (2020). Exploration of the status of course completion and ways to raise selection rates of general elective course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40(2), 217-226. 

  18.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4). Key point about overview of 2015 integrated national curriculum(draft). Press release(2014.9.24.). 

  19.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a). The general explanation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5-74 [issue 1]. Sejong: Author. 

  20.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b). Overview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MOE Notification No. 2015-74[supplement 1]). Sejong: Author. 

  21. Shin, H., Ahn, S. & Kim, Y. (2017). A policy analysis on the process-based evaluation- focusing on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2), 135-162. 

  22. Shin, Y., & Kwak, Y. (2019). Analysis of realities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cienc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3(1), 64-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