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특별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통합돌봄 요구
Needs for Integrated Care for Older Adults in Seoul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5, 2020년, pp.177 - 187  

김형수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고영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  손미선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돌봄요구군을 분류하고, 군간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한국보건사 회연구원이 진행한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의 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로, 분석대상은 2017년 노인실태 조사 참여자 중 서울시 노인 999명, 가중치 부여 1,295,491명이다. 돌봄요구군의 분류를 위하여, 의료요구, 일상생활수행 지원요구, 사회적 활동 지원요구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지원요구가 하나도 없는 일반군이 50.4%, 의료요구군이 17.9%, 일상생활수행 지원요구 또는 사회적 활동 지원요구가 있는 복지요구군이 14.2%, 의료요구와 복지요구가 모두 있는 복합요구군이 17.5%이었다. 성별, 흡연, 치매검진, 지난 1년간 외래이용, 일상생활수행 도움 여부, 비동거 자녀 또는 손녀 여부를 제외한 일반적 특성, 장기요양등급 및 장애등급 현황, 경제적 부담 및 일상생활 도움 정도, 건강행태와 건강상태, 삶의 만족도에서 돌봄요구군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1). 복합요구군에게 의료와 복지의 통합돌봄 서비스를 우선 제공해야 한다. 특히 복합요구군은 의료, 복지, 운동, 영양, 정신건강, 간호의 요구를 모두 가지고 있는 대상자로 다학제적 팀 접근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care needs of the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 an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care need groups. This was a secondary analysis study using data from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Persons in Seoul. There were 50.4% in the general group without any sup...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돌봄요구군을 분류하고, 군간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전체 서울시 노인 중에 지원요구가 하나도 없는 일반군 50.
  • 본 연구는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실현을 위하여 지역 사회 거주하는 노인의 통합돌봄의 규모와 요구를 파악 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통합돌봄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의료요구, 일상생활수행 지원요구, 사회적 활동 지원요구를 파악한 결과, 전체 대상자의 35.
  • 본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진행한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의 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으로 노인의 통합돌봄요구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노인의 돌봄요구를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 AIP의 실현을 위해서는 지역 사회 내에서 보건·의료·복지의 통합적 제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노인에서 나타나는 보건·의료·복지의 요구 특성을 분류하고 복합요구 현황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중 서울시 노인의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사회 돌봄요구군을 분류하고, 군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실증적 증거 및 통합돌봄 사업의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사회 통합돌봄이 중요한 정책으로 등장한 이유는?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등장한 ‘살던 곳에서 나이 들기(Aging in Place: AIP)’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우리나라도 지역사회 통합돌봄(community care, 커뮤니티 케어)이 중요한 정책으로 등장하였다[1]. 지역사회 통합돌봄이란 돌봄이 필요한 주민이 살던 곳에서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누리고 지역사회와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도록 주거, 보건의료, 요양, 돌봄, 독립생활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지역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이다[1].
지역사회 통합돌봄이란 무엇인가?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등장한 ‘살던 곳에서 나이 들기(Aging in Place: AIP)’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우리나라도 지역사회 통합돌봄(community care, 커뮤니티 케어)이 중요한 정책으로 등장하였다[1]. 지역사회 통합돌봄이란 돌봄이 필요한 주민이 살던 곳에서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누리고 지역사회와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도록 주거, 보건의료, 요양, 돌봄, 독립생활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지역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이다[1]. 이러한 AIP의 실현을 위하여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 다.
국내에서 AIP의 실현을 위한 정책은? 이러한 AIP의 실현을 위하여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 다. 2019년 4월 보건복지부는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 사업 지역으로 8개 지방자치단체를 선정하였고 2019 년 6월부터 2021년 5월까지 2년간 시행 중이다[2]. 한 편 서울특별시는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위하여 서울케어-건강돌봄서비스, 301 네트워크 사업,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 SOS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3-5]. 서울특별시의 4개 사업은 모두 노인을 사업대상자로 하고 있으나, 각각의 사업은 고유의 목적을 가지고 시작하였기에, 타 사업과의 상호연계나 협력이 매우 강하지 않고, 4개 사업의 서비스 대상자 수가 많지 않아 실제 서비스를 받는 노인 인구가 적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03.12). Initiation of social service focused on home and community(press release).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04.04.). Community integrated care, first step in eight municipalities(press release).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 Seoul North Municipal Hospital. (2016.10). The 3rd 301 network and public health symposium: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network project. Seoul: Seoul North Municipal Hospital. 

  4.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8). Guide of visiting health care service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9). Manual of 2019 Visiting community service center.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6. H. Kim, K. S. Lee, Y. Ko & E. Y. Shin. (2019). Study on development of Seoul community care model.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7. S. M. Golant. (2003). Conceptualizing time and behavior in environmental gerontology: a pair of old issues deserving new thought. The Gerontologist, 43(5), 638-648. 

  8. J. L. Janine, A. Leibing, N. Guberman, J. Reeve & R. E. Allen. (2011). The meaning of "aging in place" to older people. The Gerontologist, 52(3), 357-366. DOI : 10.1093/geront/gnr098 

  9. C. B. Fausset, A. K. Mayer, W. A. Rogers & A. D. Fisk. (2009). Understanding aging in place for older adults: a needs analysis. Proceedings of Human Factors of Ergonomics Society Annual Meeting, 53(8), 521-525. DOI : 10.1177/154193120905300808 

  10. Y. H. Jang. (2013). Analysis of multimorbidity in the older adults: focusing on outpatient utilization. Health Welfare Issue & Focus, 196 (7), 1-8. 

  11. M. E. Tinetti, S. T. Jr. Bogardus & J. V. Agostini. (2004). Potential pitfalls of disease-specific guidelines for patients with multiple condition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1(27), 2870-2874. 

  12. H. Park, H. S. Sohn & J. Kwon. (2018). Reviews on the current status and appropriate management of polypharmacy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28(1), 1-9. DOI: /10.24304/kjcp.2018.28.1.1 

  13. G. W. Kim et al. (2009). Standardization of diagnostic tools for dementia. Research Report(Report No.: 11-1351000-000). Seongnam: Bund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4. B. S. Kee.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2), 298-307. 

  15. M. A. Boyle & D. H. Morris. (2003). Community nutrition in action: an entrepreneurial approach. Belmont. CA: Wadsworth. 

  16. Y. M. Jung & J. H. Kim. (2004). Comparison of cognitive levels, nutritional status, depression in the elderly according to living situ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34(3), 495-503. 

  17. C. W. Won et al. (2002).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Scal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6(4), 107-120. 

  18. B. Jeon, H. Kim & S. Kwon. (2016). Patient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of long-stay admission in long-term care hospitals in Korea.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6(1), 39-50. DOI: 10.4332/KJHPA.2016.26.1.39 

  19. Y. Chon. (2018). The use and coordination of the medical, public health and social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terms of continuum of car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8(4), 10-39. DOI: 10.15709/hswr.2018.38.4.10 

  20. L. Sempre, J. Billings & P. Llody-Sherlock. (2019).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s for reduction the avoidable displacement from home of frail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BMC Open, 9, e020687. DOI : 10.1136/bmjopen-2019-030687 

  21. H. Holder. (2020). Malnutrition in the elderly: a public health concern. British Journal of Nursing, 29(2), 118-119. DOI : 10.12968/bjon.2020.29.2.118 

  22. A. Reed Mangels. (2018). Malnutrition in Older Adults: An evidence-based review of risk factors,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JN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18(3), 34-43. DOI: 10.1097/01.NAJ.0000530915.26091.be 

  23. E. Courtin & M, Knapp. (2017). Social isolation, loneliness and health in old age: a scoping review. Health &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25(3), 799-812. DO I: 10.1111/hsc.12311 

  24. A. R. Teo, H. Choi & M. Valenstein. (2013). Social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ten-year follow-up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tudy. PLoS One, 8(4), e62396. DOI : 10.1371/journal.pone.0062396 

  25. I. E. M. Evans, D. J. Llewelly, F. E. Matthews, R. T. Woods, C. Brayne & L. Clare. (2018). Social isolation, cognitive reserve, and cognition in healthy older people. PLoS One, 13(8), e0201008. DOI: 10.1371/journal.pone.0201008 

  26. L. C. Kobayashi & A. Steptoe. (2018). Social isolation, loneliness, and health behaviors at older ages: longitudinal cohort study.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a publication of Society of Behavioral Medicine, 52(7), 582-593. DOI: 10.1093/abm/kax033 

  27. C. Hand, M. A. McColl, R. Birtchistle, J. A. Kotecha, D. Batchelor & K. H. Barber. (2014). Social isolation in older adults who are frequent users of primary care services. Canadian Family Physician, 60(6), e324-3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