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역 지자체별 노인의 통합돌봄 요구 비교
Comparison among Wide-area Local Governments of Needs for Integrated Care for Older Adul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8, 2020년, pp.194 - 202  

오현정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협동) ,  김형수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고영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  신은영 (한양여자대학교 보건행정과) ,  손미선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광역 지자체별 노인의 통합돌봄 요구수준을 파악하고, 비교하여 향후 광역 지자체 수준에서 노인대상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필요성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7년 노인 실태조사'에 참여한 17개 광역 지자체 노인 10,299명의 설문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며, 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의료 요구, 일상생활 수행지원 요구, 사회적 활동 지원요구의 지역간 차이는 최저 지역에 비해 최고지역에서 각각 2,4배, 6.0배, 2.0배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의료요구군, 복지요구군, 통합돌봄 요구군의 크기도 지역별로 매우 다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통합돌봄 요구는 광역 지자체별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통합돌봄 서비스를 전국적 수준에서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광역 지자체별 대상자 요구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따라 돌봄 서비스 내에서 우선 순위 선정과 활용 가능한 자원 파악 및 적절한 배분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compare the needs of the integrated by local govern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vision of integrated care services. This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using data from 10,299 elderly people living in 17 local governments who participated in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광역 지자체별 노인의 돌봄요구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의료요구군, 복지요구군, 통합돌봄요구군의 크기가 지역별로 매우 다양하였다.
  • 최근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특별시 거주노인을 돌봄 요구군으로 분류하고, 군별 특성을 기술하였다[9]. 이 연구는 연구대상을 17개 광역 지자체 거주 노인으로 확대하여 광역 지자체별 노인의 통합돌봄 요구 수준을 파악, 비교하여 향후 광역 지자체 수준에서 노인대상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필요성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우리나라 17개 광역 지자체에 거주하는 노인의 통합돌봄 요구를 파악하고, 광역 지자체간 비교를 통해, 광역 지자체 수준에서 노인대상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실현을 위한 돌봄요구 수준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통합돌봄의 요구 파악의 전단계로 의료요구, 일상생활수행 지원요구, 사회적 활동 지원요구는 각각 전체 대상자의 3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7년 노인 실태조사에 참여한 노인은 몇명인가? 이 연구는 광역 지자체별 노인의 통합돌봄 요구수준을 파악하고, 비교하여 향후 광역 지자체 수준에서 노인대상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필요성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7년 노인 실태조사'에 참여한 17개 광역 지자체 노인 10,299명의 설문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며, 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의료 요구, 일상생활 수행지원 요구, 사회적 활동 지원요구의 지역간 차이는 최저 지역에 비해 최고지역에서 각각 2,4배, 6.
전국 17개 광역시·도에서 고령화 수준이 높은 지역은 어디인? 또한 고령화와 노인관련 문제에 대해서도 지역간 차이를 보여주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국 17개 광역시·도의 고령화 수준을 비교하여 전남, 전북, 강원, 광주지역이 고령화 수준이 높고, 서울, 대구, 제주, 울산 지역이 상대적으로 고령화 수준이 낮음을 보고하였으며[6], 수도권과 비수 도권 지역간의 노인정책 인식과 참여의 차이를 비교한 연구에서 저소득 고령인구의 비율이 수도권에 비해 지방이, 도시에 비해 농촌이 높으며,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노인일수록 자신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녀의 경제여건도 넉넉하지 않아 사회보장을 통한 노후생활비 마련을 적극적으로 원하고 있음이 드러났다[7].
돌봄서비스에 대한 대책으로 보건복지부가 노력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인 인구의 증가는 노인을 시설이나 병원에서 생을 마감하는 것이 아니라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주거, 의료, 요양, 예방 및 돌봄서비스에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우리나라 보건복지부는 2018년 지역사회통합돌봄(커뮤니티 케어)을 준비하여 2019년 전국 16개 기초 지자체에서 지역 실정에 맞는 다양한 통합돌봄 모형(모델)을 발굴·검증하기 위한 선도사업을 시작하여 진행중이다[8]. 16개 지역의 선도사업을 시작으로 핵심인프라 확충 단계와 지역사회통합돌봄 제공기반 구축 단계를 2025년까지 완성하고 2026년부터 지역사회통합돌봄의 보편화 단계를 구상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J. Jeong et al. (2017). Factors Related with Regional Variations of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Based on Community Health Surve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Dat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3(3), 91-108. 

  2. S. Kang. (2015). Regional Differences in Self-perceived Health. Health and Social Science, 39, 5-24. 

  3. C. Kim, M. Chung & I. D. Kong. (2018). Regional Inequalities in Healthcare Indices in Korea: Geo-economic Review and Action Plan.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8(3), 240-250. DOI : 10.4332/KJHPA2018.28.3.240 

  4. M. Lee. (2001).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Health Center Use of Older Persons by Area of Residenc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y Society, 21(1), 119-129. 

  5. I. Park. (2018). A Study on the Interregional Actual State and Influential Factors after the Application of Denture Insur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1), 401-409. DOI : 10.14400/JDC.2018.16.11.401 

  6. H. N. Lee & S. H. Kim. (2017). An Anaysis of Regina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ging on 16 cities and provinces. Residential Environment, 15(1), 19-30. DOI : 10.22313/reik.2017.15.1.19 

  7. B. H. Lee & J. A. Kim (2015). Regional Difference on the Attitude and Engagement of Elderly Koreans Toward Social Policy. Gyeonggi Research Institute Basic Research, 12, 1-94.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03.12). Initiation of social service focused on home community (press release).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9. H. Kim, Y. Ko & M. Son. (2020). Needs for Integrated Care for Older Adults in Seoul.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0(5), 177-187. DOI : 10.22156/CS4SMB.2020.10.05.177 

  10.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9). Manual of 2019 Care SOS Center.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1. Seoul North Municipal Hospital. (2016.10). The 3rd 301 network and public health symposium: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network project.. Seoul: Seoul North Municipal Hospital. 

  12.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9). Manual of 2019 Visiting community service center.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8). Guide of visiting health care service in Seoul.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4.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9). Home care medicine in Seoul.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5. J. Lim. (2018). The current state of Community Care in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Community Care Ceters. Review of Internaltional Social Security, 5, 67-77.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04.04.). Community integrated care, first step in eight municipalities(press release).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