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년기 우울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육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on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Moderation Effect of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0, 2020년, pp.458 - 469  

신민영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년기 우울증은 뇌의 병리적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장기적으로 인지기능 손상 및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인지 예비능 이론에 따르면 고학력 등 높은 인지 예비능은 뇌의 병리가 임상적인 증상으로 발현되는 것을 늦추거나 완화시키기 때문에 교육 수준에 따라 노년기 우울증이 장기적인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우울이 장기적인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교육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고령화연구패널에 등록되어 있는 10,254명 중 연구 선정 기준에 부합되는 4,905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우울 점수가 높을수록 12년 후 인지기능 점수가 낮았으며(β=-.20, p<.001), 우울 점수가 인지기능 점수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은 성인 집단에 비해 노인 집단에서 더 높았다(β=-.12, p<.001). 그러나 우울 점수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령 집단 간 차이는 저교육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β=-.12, p<.001). 이는 저교육 노인에게서 나타나는 우울증이 장기적으로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riatric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pathological changes in the brain and increases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However, high cognitive reserve, such as high education, can delay or minimize clinical manifestations of pathologies involving the brain, so the effect of geriatric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육 수준이 낮은 노인들의 경우, 우울 점수가 높을수록 12년 후 인지기능 점수가 낮았는데, 경도 인지 장애 등 인지 기능 저하가 치매의 위험 요인 중 하나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의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 및 우울증에 대한 치료적 개입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심각한 우울증이나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우울증이 치매의 발병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노인들에게서 나타나는 경미한 우울 증상도 장기적으로 인지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지역사회 노인들의 우울 예방과 치료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특히 본 연구와 동일한 우울 측정 도구인 CES-D10을 이용하여 우울 증상을 평가한 종단 연구에서 우울 증상은 약 7년 뒤의 치매 발병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44], 본 연구에서는 치매의 발병이 아닌 인지기능 점수를 종속 변인으로 삼음으로써 지역 사회 노인들에게서 나타나는 우울 증상이 일정 기간 내에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이지는 않을지라도 장기적으로 인지기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 사회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전국 규모로 모집된 고령화연구패널의 자료를 분석하여 노년기 우울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이 교육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가설은 다음과 같다.
  • 또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심각한 우울증이나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우울증이 치매의 발병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노인들에게서 나타나는 경미한 우울 증상도 장기적으로 인지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지역사회 노인들의 우울 예방과 치료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특히 본 연구와 동일한 우울 측정 도구인 CES-D10을 이용하여 우울 증상을 평가한 종단 연구에서 우울 증상은 약 7년 뒤의 치매 발병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44], 본 연구에서는 치매의 발병이 아닌 인지기능 점수를 종속 변인으로 삼음으로써 지역 사회 노인들에게서 나타나는 우울 증상이 일정 기간 내에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이지는 않을지라도 장기적으로 인지기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초기 우울 점수가 높으면 장기적으로 인지 기능 점수가 낮아질 것이다. 둘째, 우울 점수가 인지 기능 점수에 미치는 영향은 젊은 성인 집단에 비해 노인 집단에게서 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셋째, 우울 점수가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령 집단 간 차이는 고교육 집단에 비해 저교육 집단에서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우울 점수가 높으면 장기적으로 인지 기능 점수가 낮아질 것이다. 둘째, 우울 점수가 인지 기능 점수에 미치는 영향은 젊은 성인 집단에 비해 노인 집단에게서 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지 예비능이란 무엇인가? 인지 예비능은 뇌의 병리가 임상적인 증상으로 발현되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뇌의 능력으로 정의된다[24]. 인지 예비능은 가설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교육이나 직업, 여가 활동 등으로 측정한다.
연구자들은 인지 예비능이 일어나는 이유를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인지 예비능은 가설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교육이나 직업, 여가 활동 등으로 측정한다. 즉, 평생에 걸친 지적인 경험이 발달과정에서 뇌를 자극함으로써 신경세포의 밀도를 증가시키거나 뇌 영역 간 연결성을 강화하는 등 뇌의 예비 자원을 증가시켜 병리로 인한 인지 손상을 지연시키거나 최소화한다[25-27].
심각한 우울증으로 인해 신체 내에서는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가? 노년기 우울증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이는지에 대해서 아직 의견이 분분하지만, 선행연구들은 뇌의 병리적인 변화와의 관련성에 주목하고 있다[13][14]. 심각한 우울증은 해마의 부피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15],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β) 침전물을 증가시키고[16], 염증 촉진성 변화(pro-inflammatory change)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17]. 특히, 노년기에 처음 발생한 우울증은 모세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생기는 혈관성 우울증(vascular depression)의 가능성이 높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홍주연, 노인 정신건강과 노인상담, 학지사, 2016. 

  2. M. J. Heisel and G. L. Flett,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Geriatric Suicide Ideation Scale,"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14, No.9, pp.742-751, 2006. 

  3. 임기영, 김지혜, 노인우울증의 대인관계 치료, 학지사, 2012. 

  4. 김명아, 김현수, 김은정, "서울 일 지역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노인간호학회지, 제7권, 제2호, pp.176-184, 2005. 

  5. A. F. Jorm, "History of depression as a risk factor for dementia: an updated review," Australian &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Vol.35, No.6, pp.776-781, 2001. 

  6. H. Kang, F. Zhao, and L. You et al., "Pseudo-dementia: A neuropsychological review," Annals of Indian Academy of Neurology, Vol.17, No.2, p.147, 2014. 

  7. K. Andersen, A. Lolk, and P. Kragh-Sorensen et al., "Depression and the risk of Alzheimer disease," Epidemiology, pp.233-238, 2005. 

  8. R. Chen, Z. Hu, and L. Wei et al., "Severity of depression and risk for subsequent dementia: cohort studies in China and the UK,"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93, No.5, pp.373-377, 2008. 

  9. J. S. Saczynski, A. Beiser, and S. Seshadri et al., "Depressive symptoms and risk of dementia: the Framingham Heart Study," Neurology, Vol.75, No.1, pp.35-41, 2010. 

  10. R. L. Ownby, E. Crocco, and A. Acevedo et al., "Depression and risk for Alzheimer disease: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analysi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63, No.5, pp.530-538, 2006. 

  11. J. Wei, M. Ying, and L. Xie et al., "Late-life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among older adults in the US: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1, 2014,"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111, pp.30-35, 2019. 

  12. M. Semkovska, L. Quinlivan, and T. O'Grady et al., "Cognitive function following a major depressive episod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Lancet Psychiatry, Vol.6, No.10, pp.851-861, 2019. 

  13. A. L. Byers and K. Yaffe, "Depression and risk of developing dementia," Nature Reviews Neurology, Vol.7, No.6, p.323, 2011. 

  14. M. Colla, G. Kronenberg, and M. Deuschle et al., "Hippocampal volume reduction and HPA-system activity in major depressio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41, No.7, pp.553-560, 2007. 

  15. J. T. O'Brien, A. Lloyd, and I. McKeith et al., "A longitudinal study of hippocampal volume, cortisol levels, and cognition in older depressed subject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61, No.11, pp.2081-2090, 2004. 

  16. M. A. Rapp, M. Schnaider-Beeri, and H. T. Grossman et al., "Increased hippocampal plaques and tangles in patients with Alzheimer disease with a lifetime history of major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63, No.2, pp.161-167, 2006. 

  17. B. E. Leonard, "Inflammation, depression and dementia: are they connected?," Neurochemical research, Vol.32, No.10, pp.1749-1756, 2007. 

  18. G. S. Alexopoulos, B. S. Meyers, and R. C. Young et al., "'Vascular depression'hypothesi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54, No.10, pp.915-922, 1997. 

  19. G. Broe, A. Henderson, and H. A. A. Creasey et al., "A case­control study of Alzheimer's disease in Australia," Neurology, Vol.40, No.11, pp.1698-1698, 1990. 

  20. P. S. Sachdev, J. S. Smith, and H. Angus-Lepan et al., "Pseudodementia twelve years on,"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Vol.53, No.3, pp.254-259, 1990. 

  21. Y. I. Sheline, P. W. Wang, and M. H. Gado et al., "Hippocampal atrophy in recurrent major depress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93, No.9, pp.3908-3913, 1996. 

  22. R. Katzman, M. Aronson, and P. Fuld et al., "Development of dementing illnesses in an 80-year­old volunteer cohort," Annals of neurology, Vol.25, No.4, pp.317-324, 1989. 

  23. D. A. Snowdon, S. J. Kemper, and J. A. Mortimer et al., "Linguistic ability in early life and cognitive function and Alzheimer's disease in late life: findings from the Nun Study," Jama, Vol.275, No.7, pp.528-532, 1996. 

  24. Y. Stern, "What is cognitive reserve? Theory and research application of the reserve concept,"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Vol.8, No.3, pp.448-460, 2002. 

  25. N. Le Carret, S. Lafont, and W. Mayo et al., "The effect of education on cognitive performances and its implication for the constitution of the cognitive reserve," Dev Neuropsychol, Vol.23, No.3, pp.317-37, 2003. 

  26. C. M. Roe, C. Xiong, and J. P. Miller et al., "Education and Alzheimer disease without dementia support for the cognitive reserve hypothesis," Neurology, Vol.68, No.3, pp.223-228, 2007. 

  27. Y. Stern, "Cognitive reserve," Neuropsychologia, Vol.47, No.10, pp.2015-2028, 2009. 

  28. C. Brayne, P. G. Ince, and H. A. D. Keage et al., "Education, the brain and dementia: neuroprotection or compensation? EClipSE Collaborative Members," Brain, Vol.133, No.8, pp.2210-2216, 2010. 

  29. J. J. Manly, N. Schupf, and M. X. Tang et al., "Cognitive decline and literacy among ethnically diverse elders,"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nd Neurology, Vol.18, No.4, pp.213-217, 2005. 

  30. C. Hall, C. Derby, and A. LeValley et al., "Education delays accelerated decline on a memory test in persons who develop dementia," Neurology, Vol.69, No.17, pp.1657-1664, 2007. 

  31. H. Xu, R. Yang, and X. Qi et al., "Association of lifespan cognitive reserve indicator with dementia risk in the presence of brain pathologies," Jama Neurology, Vol.76, No.10, pp.1184-1191, 2019. 

  32. N. C. Andreasen, M. Flaum, and I. Victor Swayze et al., "Intelligence and brain structure in normal individuals," Am J Psychiatry, Vol.1, pp.50, 1993. 

  33. Y. Kang, D. L. Na, and S. Hahn,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Vol.15, pp.300-308, 1997. 

  34. 김은영, 단순 Rey 도형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노인집단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5. 안효정, 이야기 회상 검사의 표준화 연구: 노인집단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36. 이소애, 성별, 연령, 교육 수준이 K-DRS 수행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37. T. A. Salthouse, "When does age-related cognitive decline begin?," Neurobiology of aging, Vol.30, No.4, pp.507-514, 2009. 

  38. D. C. Steffens, K. R. R. Krishnan, and C. Crump et al., "Cerebrovascular disease and evolution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cardiovascular health study," Stroke, Vol.33, No.6, pp.1636-1644, 2002. 

  39. M. Shin, J. Chey, and J. H. Kim et al., "Impact of Education on the Korean Wechsler Memory Scale IV Performanc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5, No.3, pp.585-599, 2016. 

  40. 신민영, 최진영, "한국 노인의 문식성과 인지 노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5권, 제3호, pp.435-453, 2016. 

  41. P. Satz, "Brain reserve capacity on symptom onset after brain injury: a formulation and review of evidence for threshold theory," Neuropsychology, Vol.7, No.3, p.273, 1993. 

  42. A. L. Byers, K. E. Covinsky, and D. E. Barnes et al., "Dysthymia and depression increase risk of dementia and mortality among older veteran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20, No.8, pp.664-672, 2012. 

  43. J. L. Gatz, S. L. Tyas, and P. St. John et al., "Do depressive symptoms predict Alzheimer's disease and dementia?,"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Vol.60, No.6, pp.744-747, 2005. 

  44. J. T. Becker, Y. F. Chang, and O. L. Lopez et al., "Depressed mood is not a risk factor for incident dementia in a community-based cohort,"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17, No.8, pp.653-663, 2009.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