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청소년의 틱톡(Tiktok) 이용동기가 이용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nese Adolescents' Motivation to Use Tiktok 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2, 2020년, pp.107 - 115  

샤오진화 (부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이상기 (부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틱톡(Tiktok)의 이용동기를 밝히고 그것이 이용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용 동기와 지속사용의도의 관계를 이용만족도의 매개효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실시하였고 청소년 315명을 표본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다중 회귀분석 및 매개변수의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용 동기로는 정보/오락추구, 소통, 자기표현이 도출되었다. 이들 이용 동기 중 정보/오락추구, 소통이 이용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이용만족도는 지속사용의도에 매개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소셜미디어의 이용 동기 연구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다뤄졌던 자기표현 요인은 틱톡 이용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틱톡(짧은 동영상) 관련연구에 작은 기여를 할 수 있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verified the motivation to use Tiktok for Chinese teenager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dolescents'use motivation on us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motivation and sustained use intention as a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은 틱톡 이용자의 특성을 보다 넓게 파악함과 동시에 향후의 소비행태를 예측하는 데 상당한 의미가 있으리라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청소년들만을 대상으로 틱톡 사용행태를 살펴보고자 했다.
  • 본 연구는 이용 동기가 이용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만족도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등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그림 1과 같은 경로 모형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틱톡을 이용하는 중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용동기가 이용만족도 및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용동기가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 있어 이용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국 청소년의 틱톡에 대한 이용 동기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상의 선행연구는 짧은 동영상 관련 콘텐츠나 플랫폼을 대상으로 이용동기를 고찰했기 때문에 틱톡 이용동기를 도출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되었다.
  • 틱톡에 대한 중국 청소년의 이용 동기가 이용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중국 하남성 소재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층화/할당 표집(stratification/quota sampling)을 하였다. 따라서 응답자의 분포는 초등 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이 동일하도록 의도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청소년의 틱톡 이용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중국 청소년의 틱톡 이용 동기가 이용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틱톡 이용만족도는 이용 동기와 지속사용의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발휘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틱톡의 주 이용자들은 누구인가? 한편, 기존의 통계적 연구들은 주로 대학생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수행했다. 틱톡의 주 이용자들(51%)이 24세 이하의 대학생과 청소년(2019년 틱톡 이용자 연령 분포 데이터 참조)임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은 틱톡 이용자의 특성을 보다 넓게 파악함과 동시에 향후의 소비행태를 예측하는 데 상당한 의미가 있으리라고 본다.
틱톡을 사용하는 중국 청소년의 이용동기는 어떻게 나오는가? 첫째, 틱톡을 사용하는 중국 청소년의 이용동기를 살펴본 결과, <정보/오락추구>, <소통>, <자기표현>이라는 세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먼저 <정보/오락추구> 동기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고 틱톡을 이용하면서 느끼는 즐거움, 재미 요소를 의미한다.
<자기표현> 동기는 어떤 것을 참고로 근거를 내세우고 있는가? <자기표현> 동기는 자신을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개인생활을 공유하고 다른 사람과 공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짧은 동영상 플랫폼의 사용자가 콘텐츠를 생산하는 이용동기를 밝힌 선행연구 Feng Shangshang[10]에서의 결과와 같다. 이러한 '연구문제1'의 결과는 앞서 문헌연구를 통해 밝힌 틱톡 이용동기와 크게 다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J. Sin & H. H. Pye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ody image,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SNS use time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Vol. 5, No. 1, pp.257-264, February 28, 2019. 

  2. Y. Lee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SNS use focused on the social relationships on the self-expression in SNS, off-line activity, and the life 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Vol. 6, No. 1, pp.301-312, February 29, 2020. 

  3. S. Liu.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Perception of the New Generation of Migrant Workers and Stereotype Content", The 13th postgraduate academic forum of Beijing University of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2018. 

  4. X. Yu. "An Analysis of the Communication and Marketing Mode of Short Videos in the Mobile Social Era", Publishing Wide Angle, Vol. 24, No. 6, pp.57-59, 2016. 

  5. Guo, Y. "Pear Video Is the Center of the esearch on the Influence of Chinese Short Clip App Users' Intention to Use",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19. 

  6. Choi J. Y. "A Study of the Curriculum on Media Utilization and Enrichment",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1991. 

  7. Jiang L. "The Use Motivation of Short Clip Digital Music Platform and the Influence of Utilization Form on Satisfaction and Loyalty Are Centered on Netease Cloud Music in China",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019. 

  8. S.H. Cho and H. J. Lee, "The Use of Broadcast Clip Video on Television Viewing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6, No. 10, pp.645-655, 2016. 

  9. Peng N. "Research on the Use and Satisfaction of Mobile Short Clip Users-Focus on Tiktok", Master's Thesis. Huazhong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9. 

  10. Feng S. "Study on Self-Present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in Tiktok", Master's Thesis. ShanXi Normal University, 2019. 

  11. Y. G. Park, K.H. Yeon, and C.H. Jeon. "Researchon the Effect of IPTV Features on Consumers'Viewing Satisfaction and Sustainable UtilizationIntention",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10, No. 2, pp.191-205, 2010. 

  12. R. L. Oliver.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 pp.460-469, 1980. 

  13. Li S. "Research on the Behavior ofInternet Users in Virtual Community Based onthe Theory of 'Use and Satisfaction' - A CaseStudy of Baidu Tieba", Master's Thesis. SouthChina University of Technology, 2010. 

  14. Chen J. "Research on Mobile VideoAppl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Use andSatisfaction' Theory - Focus on 'Pear Video'APP", Master's Thesis. ChongQing University,2018. 

  15. Kim H. "Research on the Use of VideoUCC: Centered on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and Technology Acceptance Patterns",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008. 

  16. Kim, E.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the Choice and Use Intention of Video UCC: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s the Center",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2009. 

  17. Liu Y.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such as User Satisfaction,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Sina Weibo Application in China", Master's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7. 

  18. Y. R. Kim and N. K. Park. "Satisfactionand Sustain Ability of SNS Real-Time Video Services: the Impa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Presence", Journal of Cyber 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Vol. 36, No. 3, pp.53-98, 2019. 

  19. A. M. Rubin. "Audience Activity and Media Use", Communication Monographs, Vol 60, No. 4, pp.98-105, 1993. 

  20. I. G. Park and D. H. Shin.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Users' Usage, Satisfaction, Dependence and Innovation on the Satisfaction of Smart Phone Users",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c, Vol 10, No. 4, pp.192-225, 2010. 

  21. Li S. "Empirical Analysis of FactorsInfluencing WeiChat Use Behavior among Changsha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Hunan University, 2017. 

  22. Aidrani. "Research on Usage Motivation and Content Satisfying UGC-Focus on theDevelopment of Tiktok and V-log in China",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2019. 

  23. A. Bhattacherjee.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An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MISQuarterly, Vol. 25, No. 3, pp.351-370, 2001. 

  24. Na S. "The Mobile SNS Feature Is the Research Related to User Satisfaction and Sustainable Utilization Intention-Focus onPeople Engaged in Manufacturing Jobs",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2012. 

  25. Sanliang. "For Users of WEIBO, the Influence of SNS Characteristics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Adopting the Technical Model",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2015. 

  26. J.W. Kang and E.J. Kim. "AnExploratory Study on the Use of College Students' Video UCC",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3, No. 1, pp.187-208,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