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iktok 서비스 이용자의 몰입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Flow & Addiction of Tiktok Service User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3, 2021년, pp.125 - 132  

주이모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학과) ,  이상호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OTT의 중간영역에서 시장을 확대하고 있는 SFV 플랫폼인 Tiktok 서비스의 이용자가 인식하는 몰입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들은 Tiktok 이용자가 증가하면서 중독에 이르는 경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미디어 소비 시간이 부족한 이용자는 긴영상보다 짧은 영상을 제작하고 공유하며 외생변인에 의해 애착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애착은 대인관계 및 서비스에 대한 애착으로 구분되는데, 애착의 경로는 몰입과 중독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 동영상 미디어서비스의 중독에 이르는 경로를 자기노출과 애착, 몰입과 중독 등으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공헌점이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더욱 다양화되고 있는 동영상 중심의 미디어 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하며, 향후 출현하는 새로운 미디어에 활용가능하다는 측면에서 후학의 연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als with the influencing factors on flow and addiction perceived by users of Tiktok service, an SFV service platform that is expanding the market in the middle area between social media and OTT. As the number of Tiktok users increases, researchers thought that research on the cause of a...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Tiktok 이용자가 인식하는 애착은 서비스 몰입과 중독에 어떤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논의한다.
  • 따라서 본고는 Tiktok의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여 검증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 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와 OTT(over the top)의 중간영역에서 시장을 확대하고 있는 SFV(short form video; 짧은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인 Tiktok(douyin, 抖音) 애플리케이션(이하 앱) 서비스의 이용자가 인식하는 몰입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SFV 앱 Tiktok 이용자의 애착과 몰입, 중독에 관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고 점차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는 소셜 및 영상 미디어 이용자의 중독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는 실증 연구로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미디어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용자들이 과도한 이용과 의존 및 중독에 이른다는 인터넷중독, 스마트폰중독, 소셜미디어중독 등의 연구가 확인되었고, 점차 새로운 미디어가 출현하는 시점에 본고와 같이 Tiktok의 중독요인을 확인하는 것은 이론적, 실무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 본 연구에서 살펴본 애착관련 변인은 대인관계 (interpersonal attachment)와 서비스(service attachment)에 대한 애착으로 구분하였는데, 대인관계 애착은 개인 간의 매력에 초점을 맞추고, 서비스 애착은 Tiktok에 대한 기능적 의존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들은 Tiktok 이용자가 애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자기 노출과 사회적 불안, 오락 요인을 설정하고, 애착의 종속 변인으로 몰입과 중독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 연구자들은 Tiktok 이용자가 애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자기 노출과 사회적 불안, 오락 요인을 설정하고, 애착의 종속 변인으로 몰입과 중독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 첫째, Tiktok 이용자는 자기노출과 두려움이 대인관계 애착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오락요소가 서비스 애착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 논의한다.

가설 설정

  • H1:자기노출은 대인간의 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사교적 불안은 대인간의 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오락성은 서비스 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대인간의 애착은 서비스 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서비스 애착은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대인간의 애착은 중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7:몰입은 중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1은 표준화경로계수가 0.749, t값이 13.661로 나타나 SE가 IA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설은 채택되었다. 가설 H2표준화 경로계수가 0.
  • 661로 나타나 SE가 IA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설은 채택되었다. 가설 H2표준화 경로계수가 0.232, t값이 4.448로 나타나 AX가 IA에 유의 한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설은 채택되었다. 가설 H3은 표준화경로계수가 0.
  • 448로 나타나 AX가 IA에 유의 한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설은 채택되었다. 가설 H3은 표준화경로계수가 0.895, t값이 17.415로 나타나 EA가 SA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설은 채택되었다. 가설 H4 표준화경로계수가 0.
  • 622로 나타나 IA가 SA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설은 채택되었다. 가설 H5표준화경로계수가 0.831, t값이 13.611로 나타나 SA가 FL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설은 채택되었다. 가설 H6은 표준화경로계수가 0.
  • 611로 나타나 SA가 FL에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설은 채택되었다. 가설 H6은 표준화경로계수가 0.469, t값이 8.467로 나타나 IA가 AD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설은 채택되었다. 가설 H7표준화 경로계수가 0.
  • 467로 나타나 IA가 AD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설은 채택되었다. 가설 H7표준화 경로계수가 0.541, t값이 9.469로 나타나 AD가 FL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설은 채택되었다.
  • Tiktoke 독자적인 촬영 기법과 간편한 편집기능, 무료음악 소재와 소리, 필터효과 및 AR(증강현실) 등 여러 가지 개인화 서비스 기능을 가지고 있다. 셋째, 플랫폼의 개방성이다. 전 세계의 Tiktoker들이 뮤직비디오, 댄스, 유머, 스포츠, 꽁트 등 재미있는 영상들을 매시간 업로드하고 있다.
  • 수 있다. 첫째, 영상시청의 신속성이다. 모바일을 통한 동영상 시청 유형은 하이라이트와 예고편 영상이 5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 Kemp. (2020). Digital 2020: July Global Statshot, Global social media overview 2020. [Online]. https://datareportal.com/reports/digital-2020-july-global-statshot 

  2. S. Heather. (2018). A Guide to TikTok for Anyone Who Isn't a Teen. [Online]. https://slate.com/technology/2018/09/tiktok-app-musically-guide.html 

  3. D. M. Boyd & N. Ellison. (2007).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1), 210-230. DOI : 10.1111/j.1083-6101.2007.00393.x 

  4. W. H. Foddy. (1984), A Critical Evaluation of Altman's Definition of Privacy as a Dialectical Process, Journal for the Theory of Social Behavior, 14(3), 297-307. 

  5. F. Y. Hong, D. H. Huang, H. Y. Lin & S. L. Chiu. (2014).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traits, Facebook usage, & Facebook addiction model of Taiwanese university students, Telematics and Informatics, 31(4), 597-606. 

  6. S. M. Jourard & P. Lasakow. (1958). Some Factors in Self-Disclosur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6(1), 91-98. 

  7. T. L. Kyung, M. J. Noh, M. O. Kwon & H. U. Yi.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 among SNS Users' Loneliness, Self-discloser,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13(2), 19-39. 

  8. S. H. Lee, (2013). A Study on the Policy Implication on the Addiction of Social Media Service User : Focusing on the Proposal of Korean SNS Addiction Index (KSAI),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 255-265. 

  9. J. Bowlby. (1973). Attachment and Loss: Volume II: Separation, Anxiety and Anger, The Hogarth Press and the Institute of Psycho Analysis, London. 

  10. Y. Ren, F. M. Harper, S. Drenner, L. Terveen, S. Kiesler, J. Riedl & R. E. Kraut, (2012). Building Member Attachment in Online Communities: Applying Theories of Group Identity & Interpersonal Bonds. MIS Quarterly, 36(3), 841-864. 

  11. C. Hazan & P. R. Shaver. (1994). Attachment as an Organizational Framework for Research on Close Relationships. Psychological Inquiry, 5(1), 1-22. 

  12. M. Mende, R. N. Bolton & M. J. Bitner, (2013). Decoding Customer-firm Relationships: How Attachment Styles Help Explain Customers' Preferences for Closeness, Repurchase Intentions, & Changes in Relationship Breadth.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50(1), 125-142. 

  13. S. J. Trinke & K. Bartholomew. (1997). Hierarchies of Attachment Relationships in Young Adulthood,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4(5), 603-625. 

  14. M. J Kim, N. Chung, C. K. Lee & M. W. Preis. (2015). Online Group-buying of Tourism Products: Effects of Value & Trust on Site Attachment, Altruism, & Loyalty. Journal of Travel & Tourism Marketing, 32(8), 935-952. 

  15. M. J Kim, N. Chung, C. K. Lee & M. W. Preis. (2016a). Why Do Smartphone Shoppers Help Others on Websites? The Effects of Attachments on Reciprocal Altruism, Information Development, 32(4), 920-936. 

  16. S. H. Lee & A. R. Ko. (2013).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ocial Media Addic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Perception and Flow of Facebook User,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7(6), 176-210. 

  17. N. B. Ellison, C. Steinfield & C. Lampe, (2007).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12(4), 1143-1168. 

  18. M. Mantymaki & A. N. Islam. (2016). The Janus Face of Facebook: Positive & Negative Sides of Social Networking Site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1, 14-26. 

  19. A. Lepp, J. E. Barkley & J. Li. (2016). Motivations & Experiential Outcomes Associated with Leisure Time Cell Phone Use: Results from Two Independent Studies. Leisure Sciences, 39, 144-162. 

  20. J. Vincent. (2006), Emotional Attachment & Mobile Phones, Knowledge, Technology & Policy, 19(1), 39-44. 

  21. J. Choi, J. Jung & S. W. Lee. (2013). What Causes Users to Switch from a Local to a Global Social Network Site? The Cultural, Social, Economic & Motivational Factors of Facebook's Globaliz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9(6), 2665-2673. 

  22. N. Park, K. F. Kee & S. Valenzuela. (2009). Being Immersed in Social Networking Environment: Facebook Groups, Uses & Gratifications, & Social Outcomes. Cyber Psychology & Behavior, 12(6), 729-733. 

  23. C. H. Lee & N. W. Jung. (2014). The Impact of Social Media Use and Motive on Social Capital: Comparison of Open/Closed Social Media. Korean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 Information Studies, 65, 5-26. 

  24. C. Gan & H. Li. (2018).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Gratifications on the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WeChat in China: a Perspective on Uses & Gratifications. Computer in Human Behavior. 78, 306-315. 

  25. M. J. Kim, N. Chung, C. K. Lee & M. W. Preis. (2016). Why Do Smartphone Shoppers Help Others on Websites? The Effects of Attachments on Reciprocal Altruism.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2(4), 920-936. 

  26. J. Cipriani & M. Kreider, (2009). Understanding Object Attachment & Meaning for Nursing Home Residents: an Exploratory Study, Including Implications for Occupational Therapy,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Geriatrics, 27(6), 405-422. 

  27. L. A. Keefer, M. J. Landau, Z. K. Rothschild & D. Sullivan. (2012). Attachment to Objects as Compensation for Close Others' Perceived Unreliability,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8(4), 912-917. 

  28. K. Sassenberg. (2002). Common Bond & Common Identity Groups on the Internet: Attachment & Normative Behavior in On-topic & Off-topic Chats, Group Dynamic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6(1), 27-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