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틱톡(TikTok) 서비스에 대한 품질 인식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상업성 인식의 효과
Effects of Perceived Quality of TikTok o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and the Role of Commercial Viabil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6, 2020년, pp.77 - 89  

정용국 (동국대학교_서울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위흔 (동국대학교_서울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쇼트 클립 제작 및 공유 플랫폼인 틱톡(TikTok)의 품질에 대한 인식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틱톡의 품질을 서비스 품질, 정보 품질, 시스템 품질로 구분하고 각 품질 요인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 그리고 이용자 만족을 통해서 미치는 간접 효과를 동시에 고찰하였다. 추가적으로 틱톡 이용 과정에서 점차 증가하는 상업적 요소들에 대한 인식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 의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틱톡 서비스(중국 서비스명 '더우인')의 중국 이용자 23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 품질 인식과 시스템 품질 인식은 이용자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정보 품질 인식은 지속 사용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이용자 만족은 시스템 품질 인식과 지속 사용 의도를 완전 매개하며, 정보 품질 인식과 지속 사용 의도를 부분 매개한다. 넷째, 이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 의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지만, 둘 간의 관계에서 상업적 인식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how the quality of TikTok service affects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This study classified the quality of Tiktok service as service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ystem quality, and examined the effect of each dimension o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32)

  1. 김영우, 틱톡이 2019년 폭풍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 https://it.donga.com/29863/ 

  2. 김은우, '미국산 카피캣' 만든 중국 비디오앱 '틱톡' http://www.bizhankook.com/bk/article/19387 

  3. 서우종, 원욱연, 홍진원, "SNS 웹 사이트의 품질요인이 사용자 만족, 지속적 사용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산업혁신연구, 제26권, 제1호, pp.99-132, 2010. 

  4. 이동주, 김명수, "SNS 품질 및 이용 목적 관점에서의 SNS 이용 중단 의도," 품질경영학회지, 제46권, 제2호, pp.339-350, 2018. 

  5. 김병곤, 윤일기, "SNS 품질 특성이 사용자 만족도와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제21권, 제1호, pp.35-51, 2014. 

  6. 이제홍, 황규영,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품질요인이 이용자만족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e-비지니스연구, 제19권, 제1호, pp.123-134, 2018. 

  7. 남종훈, "정보기술수용모형(TAM)을 적용한 모바일 동영상 앱의 지속적 이용 의도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8호, pp.1585-1592, 2019. 

  8. 오이쥔, 조재희, "넷플릭스 이용자의 지속적 이용의도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61권, 제5호, pp.341-375, 2017. 

  9. 유지훈, 박주연, "글로벌 OTT 서비스 이용자의 지속적 이용 의도에 미치는 요인 연구: 넷플릭스 사례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통권 제102권, pp.46-79, 2015. 

  10. 이유재, 이청림, "고객만족과 고객추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동태적 영향: KCSI와 KNPS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39권, 제2호, pp.279-307, 2010. 

  11. 원석희, 서비스 품질경영: 서비스 품질의 완벽 추구, 서울: 형설출판사, 2010. 

  12. 이재용, 성동규, "SNS 품질 특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이 SNS 사용중단 의도에 미치는 영향: SNS 피로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52권, 제2호, pp.64-102, 2015. 

  13. V. A. Zeithaml, Defining and Relating Prices, Perceived Quality and Perceived Value, Marketing Science Institute, Cambridge, MA, 1987. 

  14. W. H. Delone and E. R. McLean, "Information Systems Success: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3, No.1, pp.60-95, 1992. 

  15. W. H. Delone and E. R. McLean,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19, No.4, pp.9-30, 2003. 

  16. 박현지, 최정순, 정해욱, 김영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이 관광객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만족을 매개로 하여," 호텔관광연구, 제14권, 제1호, pp.82-98, 2012. 

  17. A. Bhattacherjee,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An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MIS Quarterly, Vol.25, No.3, pp.351-370, 2001. 

  18. A. K. M. N, Islam, M. Mantymaki, and A. Bhattacherjee, "Towards a Decomposed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of IT Continuance: The Role of Usability,"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40, pp.502-523, 2017. 

  19. R. L. Oliver, "A Cognitive Model for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7, pp.460-469, 1980. 

  20. 서필수, 이용기, 정남호, "기대일치모형을 이용한 항공예약시스템의 지속사용이도 영향요인 고찰," 호텔경영학연구, 제22권, 제3호, pp.249-264, 2013. 

  21. 정지희, 신재익, 정기한, "기대일치모델을 이용한 스마트폰 만족과 통합충성도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7권, 제4호, pp.1-18, 2017. 

  22. 정철호, 정덕화, "UCC 서비스의 콘텐츠 품질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294-303, 2009. 

  23. 곽규태, 황준석, 최세경, "스마트폰의 품질 인식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용 동기의 조절효과에 대한 고찰,"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6호, pp.7-51, 2011. 

  24. N. Urbach, S. Smolnik, and G. Riempp, "The State of Research on Information Systems Success," Business & Information Systems Engineering, Vol.1, pp.315-325, 2009. 

  25. 강영식, "IT 혁신제품 및 서비스의 지속사용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정책자료, 2007-07, pp.1-44, 2007. 

  26. 강영식, 이희석, "온라인 서비스 지속사용의 이해와 예측: 정보기술 산물 관점으로," e-비지니스연구, 제8권, 제1호, pp.63-84, 2007. 

  27. 고훈석, 김제승, 정문영, 오영진, 이성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품질요인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품질경영학회지, 제39권, 제4호, pp.543-555, 2011. 

  28. 정철호, 정덕화, "UCC 서비스의 콘텐츠 품질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294-303, 2009. 

  29. 이주희, 문장호, "SNS의 인지된 상업성이 사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이용자 분석을 토대로," 광고연구, 제107호, pp.259-289, 2015. 

  30.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1st Ed.), Guilford, 2013. 

  31. 이효예, 곡민, 윤민석, "몰입이론을 통한 UGC의 지속적 사용과 정보공유에 관한 실증 연구: 중국 도우인(TikTok)을 대상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9권, 제6호, pp.19-40, 2019. 

  32. 루만이, 자기결정성 요인이 이용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