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마늘 추출물의 항혈전 및 심혈관개선 효과
The Effects of Anti-Thrombotic Activities and Cardiovascular Improvement of Fermented Garlic Extrac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2, 2020년, pp.567 - 572  

김현경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발효 마늘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 및 심혈관개선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심혈관 질환(CVD)의 발생률은 선진국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CVD는 현재 이환율과 사망률의 주요 원인을 나타내고 있다. 천연물 및 대체의학은 CVD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늘은 항염증제, 항산화제 및 항혈소판 활동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약용식물이다. 우리는 발효 과정에서 생산된 생리활성 화합물의 생체 이용률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 제품의 발효 제제가 발효되지 않은 형태보다 강력한 항혈소판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쥐 혈소판으로부터 표준 광투과 응집 측정법 및 생체외 과립 분비를 사용하여 시험관내 및 생체외 혈소판 응집 분석을 통해 이들 화합물을 비교 분석 하였다. 발효된 조제물이 시험관내 및 생체외 양쪽에서 혈소판 응집이 보다 강력하고 유의적인 억제를 발휘한다는 것을 발견 하였다. 마찬가지로, 조밀한 혈소판 과립으로부터의 ATP 방출은 발효되지 않은 조제-처리된 쥐의 혈소판과 비교하여 발효된 조제-처리된 쥐 혈소판에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결론적으로 발효 과정이 발효중에 생산된 활성 화합물의 생체 이용률이 증가한 결과 시험관내 및 생체외에서 혈소판 기능에 더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고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발효 제품은 혈소판 관련 CVD에 대한 강력한 치료제로서 항혈소판 및 항혈전제로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Thrombotic Activities and Cardiovascular Improvement of Fermented Garlic Extracts.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s (CVDs) is increasing rapidly in developed countries, with CVDs now representing the leading cause of morbidity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쥐 혈소판으로부터 분리한 혈소판을 사용하여 발효마늘이 혈전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알아 보고자 하였다. 혈전을 유도하기 위하여 화학적 콜라겐(말 종에서 유래한 천연 콜라겐 섬유소), ADP(Chrono-log, USA) 또는 트롬빈을 처리하였으며, 광투과응집 검출계(light transmisson aggregometer)를 사용하여 혈소판 응집 효과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혈소판 응집 및 과립 분비에 대한 생마늘 및 발효마늘의 혈소판 응집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적으로 승인된 많은 항 혈소판 약물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많은 임상 적으로 승인된 항 혈소판 약물이 현재 심혈관 질환의 치료에 이용 가능하다. 불행히도, 이러한 약물은 위 출혈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일부 환자에게는 효과가 없다 [2]. CVD의 처리 및 예방을 위한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접근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항혈전 효능을 갖는 천연물의 실례로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접근법 중 하나는 항혈전 효능 을 갖는 천연물의 사용이나 대체 의학에 의한 접근으로, 많은 음식물과 약초들이 항혈전 효과를 나타내어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실예로, 땃두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 및 벼메뚜기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을 들 수 있다 [6].
가공 마늘이 전체 마늘의 소비 중 차지하는 비율은? 한편, 우리나라 토종 농산물인 마늘은 독특한 향미성분으로 인하여 향신료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을 뿐 아니라,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혈전 생성 지연 효과 및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등의 생리활성을 이용한 민간요법의 치료제로도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소비행태는 주로 향신료에 국한되어 있으며, 가공 마늘은 전체 마늘의소비 중 5% 정도에 불가하다. 2003년 중국산 마늘에 대한 수입제한조치의 해제 이후 값싼 중국산 마늘의 수입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im HK,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ted radish extract",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IJASC), Vol. 7(2), pp. 38-46, June 2018. DOI: https://dx.doi.org/10.7236/IJASC.2018.7.2.38. 

  2. Kim DB, Ahn EY, and Kim EJ, "mprovement of insulin resistance by curcumin in high fat diet fed mic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4(1), pp. 315-323, 2018. http://dx.doi.org/10.17703/JCCT.2018.4.1.315. 

  3. Kim HK, "he functional effects of antimicrobaial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seaweed polysaccharide extract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4(2), pp. 155-163, 2018. http://dx.doi.org/10.17703/JCCT.2018.4.2.155. 

  4. Banerjee SK, and Maulik SK, "Effect of garlic on cardiovascular disorders: A review", Nutrition. Journal, pp.1- 14. November 2002. DOI: https://dx.doi.org/10.1186/1475-2891-1-4. 

  5. Barrett NE, Holbrook L, Jones S, Kaiser WJ, Moraes LA, Rana R, Sage T, Stanley RG, Tucke KL, Wright B, and Gibbins JM, "Future innovations in anti-platelet therapies," Br. J. Pharmacol, Vol.154. No.5, PP. 918-939, July 2008. DOI: https://dx.doi.org/10.1038/bjp.2008.151.Epub 2008. Apr21. 

  6. Dutta-Roy AK. "Dietary components and human platelet activity," Platelets, Vol.13, pp. 67-75, July 2009. DOI: https://dx.doi.org/10.1080/09537100120111540. 

  7. Irfan MT, Kwon HB, Yun S, Park NH, and Rhee MH, "Eisenia bicyclis (brown alga) modulates platelet function and inhibits thrombus formation via impaired p 2 y 12 receptor signaling pathway", Phytomedicine, Vol. 40(1), pp. 79-87, February 2018. DOI: https://dx.doi.org/10.1016/j.phymed.-2018.01.003 Epub2018 Jan 11. 

  8. Kerver JM, Yang EJ, Bianchi L, and Song WO, "Dietary patterns associated with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in healthy us adults", Am. J. Clin. Nutr. Vol.78, PP. 1103-1110, 2003. 

  9. Kim, B. Hong VM. Yang J, Hyun H, Im JJ, Hwang J, Yoon S, and Kim JE, "A review of fermented foods with beneficial effects on brain and cognitive function,"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Vol.21. No.4, pp. 297-309, December 2016. DOI: https://dx.doi.org/10.3746/pnf.2016.21.4.297. Epub 2016 Dec 31. 

  10. Francesco Maione, Vincenzo De Feo, Elisabetta Caiazzo, Laura De Martino, Garla Cicala and Nicola Mascolo, "a major component of salvia milthorriza bunge, inhibits platelet activation via erk-2 signaling pathway", J. Ethnopharmacol. Vol.155(2), pp. 1236-1242, September2014. DOI: https://dx.doi.org/10.1016/j.jep.2014.07.010. Epub 2014 Jul, 1b. 

  11. Rahman K, and Billington D,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ged garlic extract inhibits adp-induced platelet aggregation in humans", The Journal of nutrition, Vol. 130(11), pp. 2662-2665, November 2000. DOI: https://dx.doi.org/10.1093/jn/130.11.2662. 

  12. Rein MJ, Renouf M, Cruz-Hernandez C, Actis­Goretta L, Thakkar SK, and Silva Pinto Mda,"Bioavailability of bioactive food compounds: A challenging journey to bioefficacy",,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Vol.75(3), pp. 588-602, March 2013. DOI: https://dx.doi.org/10.1093/jn/130.11.2662. 

  13. Ruggeri ZM, Mendolicchio, GL, "Adhesion mechanisms in platelet function", Circ. Res, Vol. 100: pp. 1673-1685, June 2007. DOI: https://dx.doi.org/10.1161/01.RES.0000267878.97021.ab.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