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참여가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협동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ing Community Program Participation on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5, 2020년, pp.43 - 54  

조보람 (경성대학교 교육혁신추진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참여가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협동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2학기에 A대학교 재학생 296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참여가 대학생의 협동학습역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분석에서는 협동학습역량의 학습참여, 학습만족도 요인에서 프로그램 전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년별 차이를 살펴본 바, 2학년과 3학년에서 프로그램 전후 협동학습역량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활동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진행되는 학습공동체 활동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협동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학습공동체 활동의 체계적인 운영과 지원을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on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cooperative learning cap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8, pre and post surveys were conducted on 296 students at A Uni...

주제어

표/그림 (14)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공동체는 무엇인가? 최근 대학에서는 학습자 의 정서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학 습공동체 활동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학습공동체는 어떠한 학습목표에 대해 공통의 관심사를 지닌 학생이 모여서 자발적으로 팀을 구성하고 특정주제를 선정하여 학습을 하는 활동이다[3]. 학습공동체 활동은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력, 자기주도학습능력, 의사소통 능력 등을 키우는데 효과적이다[4].
학습공동체 운영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의 예는 무엇인가? 학습공동체 활동이 점점 증가하고 수업과 연계된 프로 그램 보다는 비교과 활동으로 점차 비중이 옮겨가고 있지만[3], 학습공동체 운영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형식적인 학습공동체 실행, 빈번한 중도 탈락의 문제, 활동에 대한 성과 및 질 관리 미흡 등을 들 수 있다[6]. 그러므로 대학에서는 학습공동체 활동의 체계적인 운영과 지원을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의미를 보다 분명히 해야 한다.
학습공동체 활동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학습공동체는 어떠한 학습목표에 대해 공통의 관심사를 지닌 학생이 모여서 자발적으로 팀을 구성하고 특정주제를 선정하여 학습을 하는 활동이다[3]. 학습공동체 활동은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력, 자기주도학습능력, 의사소통 능력 등을 키우는데 효과적이다[4]. 또한,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생들의 성공적인 학습경험은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 학습태도 개선, 학습동기 유발에도 영향을 준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 H. Ryu. (2019).Analysis of the US competency-based education policies and implications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35(2),290-311. DOI : 10.17232/KSET.35.2.289 

  2. C. I. Lim. (2019). Redirecting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educational technology for future society and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5(2), 253-287. DOI :10.17232/KSET.35.2.253 

  3. S. H. Park. (2015). The impact of learning communities on academic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bilities.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1(4), 115-136. DOI : 10.26857/JLLS.2015.11.11.4.115 

  4. M. C. Clark, H. T. Nguyen, C. Bray, & R. E. Levine, (2008). Team-based learning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ours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7(3), 111-117. DOI : 10.3928/01484834-20080301-02 

  5. K. Y. Lim. (2011). Self-efficacy in group investigation collaborative learning.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6(2), 19-36. 

  6. H. R. Noh & M. N. Choi. (2016). Analysis of satisfaction, co-regulation and group cohesiveness according to thinking style of team members in learning community of the university.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8(3), 539-560. DOI : 10.17927/tkjems.2016.28.3.539 

  7. M. Rocconi, (2011). The impact of learning communities on first year students' growth and development in college. Higher Education, 52(2), 178-193. DOI : 10.1007/s11162-010-9190-3 

  8. A. K. Byun. (2011). (The) Delphi-method study for analyzing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of college learning communities.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9. J. I. Hong & S. H. Bae. (2018).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on learning outcomes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6(3), 79-108. DOI : 10.18230/tjye.2018.26.3.79 

  10. A, Etelapelto, K. Littleton, J. Lahti & S. Wirtanen, (2005). Students; accounts of their participation in an intensive long term learning commu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3(3), 183-207. DOI : 10.1016/j.ijer.2006.06.011 

  11. D. L. Rogers & L. M. Babinski, (2002). From isolation to conversation: supporting new teachers' development.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2. J. W. You. (2018). The effects of team efficacy and task value on team goal orientation in college students' learning communities - probing the moderating role of psychological safety.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4(4), 231-255. DOI : 10.26857/JLLS.2018.11.14.4.231 

  13. S. J. Romanoff, (2016). The undergraduate learning community: a bridge to understanding why. New Directions for Teaching & Learning, 2016(145), 77-84. DOI : 10.1002/tl.20177 

  14. N. R. Kim, S. Y. Jang & C. R. Song. (2013). The effects of types of learning community on self-determin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1(1), 23-48. 

  15. S. Y. Yang, Y. S. Park, M. S. Jang, H. A. Ahn & K. L. Kim. (2018). The effects of learning community on college students' core competency and learning competency.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9), 141-164. DOI : 10.22251/jlcci.2018.18.9.141 

  16. M. H. Yeom, S. H. Park & J. W. Oh. (2012). The effects of learning communities at chonnam nationa university in south korea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0(2), 207-232. 

  17. E. C. Lee.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pport strategies by investigating factors for study group activities in universitie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1(4), 351-374. 

  18. S. H. Bae, M. S. Kang & J. I. Hong. (2016). Validation of the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NSSE) model in the korean context. Asian Journal of Education, 16(4), 77-104. DOI : 10.15753/aje.2015.12.16.4.77 

  19. O. B. Kim. (2018). Analysis of difference of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11), 799-807. DOI : 10.21742/AJMAHS.2018.11.57 

  20. O. B. Kim, C. H. Jeong & J. A. Jang. (2015). Investigate communication, learning flow an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learning community participation. Academic teaching-learning research: The 7th Research Proposal Collection (pp.99-118). University Educational Development Center Council. 

  21. E. H. Seo & E. Y. Kim. (2018).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and activity levels in learning community of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21), 929-948. DOI : 10.22251/jlcci.2018.18.21.929 

  22. H. S. You, J . W. Gho & H. N. Lim. (2011). Examining learning experiences influencing on the communication skills and high-order thinking skill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9(4), 319-337. DOI : G704-000511.2011.29.4.011 

  23. H. J. Kim. (2016). Effect of non curriculum learning community program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ety, 6(5), 143-152. Doi : 10.14257/AJMAHS.2016.05.08 

  24. H. J. Kang & J. S. Kim. (2012). The effects of learning community program on college students' sense of community and problem-solving capacity.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18(1), 1-22. DOI : G704-000781.2012.18.1.002 

  25. J. W. Jeong. (2015). A study on the effect of a yungbokhap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15(3), 59-83. DOI : G704-001586.2015.15.3.004(UCI) 

  26. S. J. Lee, Y. K. Jang, H. N. Lee, K. Y. Park. (2003). Development of life skill measurement tool- focused on communication skills, problem solving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7. D. Jenkins-Farve, (2004). Community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developmental writing classes: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promote positive active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A. 

  28. H. S. Lee. (2014). The impact of university students' openness to diversity on creativity: the mediating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unlearning competen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9. E. Y. Kim & S. Y. You. (2009). A study on the effect of service-learning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47(3), 1-22. 

  30. S. H. Lee. (2016). Participants' Perceived Process and Outcome of a University Learning Community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