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음악 교육용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 분석
Analysis of Educational Web-Sites and Digital Contents for Elementary Music Class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5, 2020년, pp.65 - 74  

김은주 (광주양산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교 음악 수업에 활용되는 교육용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음악 수업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교육용 웹 사이트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웹 사이트에 포함된 음악 교육 디지털 콘텐츠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1차 분석은 웹 사이트의 서비스에 관하여, 2차 분석은 디지털 콘텐츠의 유형과 음악 교육 내용에 관하여 실시하였다. 현재 음악 수업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웹 사이트는 에듀넷 티-클리어, 티-셀파, 아이스크림, 인디스쿨이었으며, 각각 웹 사이트의 서비스와 디지털 콘텐츠 유형 및 내용에서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음악 수업 지원을 위한 주요 기능, 최신 교육과정 내용의 반영 정도, 자료의 체계성, 객관성과 현장성, 타 교과와의 연계성 등이 다르게 나타났다. 앞으로 초등 음악 수업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첫째, 음악 수업에서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를 적시에 활용하는 교사 전문성의 발휘가 필요하며, 둘째, 음악 교육의 본질에 맞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의 개발과 활용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ducational web-sites and digital contents for elementary music clas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First,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web-sites that are most actively used in music class were review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2015 개정 음악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수업을 위한 교육용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를 분석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음악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음악 교육적 의미와 중요성에 기반을 두고 초등학교 음악 수업에 활용되는 교육용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를 살펴보았다. 다만 이 연구에서는 현재 학교 현장 수업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웹 사이트와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존재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음악 교육용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를 대상으로한 후속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살펴본 교육용 웹 사이트 중 현재 초등 음악 수업에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들을 추출해 보았다. 웹 사이트 추출의 근거는 초등 음악 교육용 웹사이트 사용 실태와 교사 의존도를 다룬 윤관기(2015)의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음악 수업에서 다룰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포함한 교육용 웹 사이트를 살피는 것을 주요 연구 내용으로 하므로, 웹 기반 교육의 의미를 협의의 개념으로 해석하여, Khan(1997)이 밝힌 것과 같이 ‘학습이 일어나는 유의미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웹의 특성과 제공하는 자료들을 활용하여 전개하는 하이퍼 미디어 기반의 교수 프로그램[20]’을 통한 교육 방법으로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수업에 활용되는 교육용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교육용 웹 사이트와 민간기관에서 운영하는 교육용 웹 사이트 중 초등 교사들이 음악 수업을 위해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4개의 웹 사이트, 즉 에듀넷 티-클리어, 티-셀파, 아이스크림, 인디스쿨을 연구 대상으로 웹 사이트 서비스와 음악교육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분석 기준에 따라 각각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음악 수업에 활용되고 있는 교육용 웹 사이트와 그에 포함된 디지털 콘텐츠를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분석 대상은 교육용 웹 사이트 중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음악 교과를 위한 디지털 콘텐츠를 지원하는 것 중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을 대상으로 하였다.
  • 초등 음악 수업에 활용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가 주요 웹 사이트별로 어떻게 제시되어 있고 그 특성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선 분석 체계를 바탕으로 한 분석 기준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분석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우선 국내의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를 분석한 여러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 중 강은주, 이미 자(2005)[29], 추선경(2017)[28], 정광훈 외(2018)[30] 등의 연구에 나타난 분석 기준과 내용을 참고로 하여 본연구에 적합한 기준을 마련하였다.
  • [14]. 이 연구에서는 음악 수업에서 교육용 웹사이트를 사용하는 초등 교사 125명을 대상으로 웹 사이트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조사에서 초등 교사들은 아이스크림, 인디스쿨, 티셀파, 에듀넷, 교육청의 교수·학습 자료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21세기는 지식·정보화 시대인 동시에 문화 예술의 시대라고 일컫는 만큼, 음악 교육에서도 시대와 환경의 흐름에 알맞은 내용과 방법으로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하는 수업이 구현될 필요가 있다[33].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음악 수업을 위한 교수적 지원책으로서 교육용 웹 사이트와 음악 교육 관련 디지털 콘텐츠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음악 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웹 사이트와 디지털 콘텐츠의 현재를 진단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향후 초등 학교 음악 수업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과제로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웹 기반 교육이란? 웹 기반 교육이란 웹(World wide web) 매체를 활용하여 원격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혁신적인 교육 방법으로[15], 하이퍼텍스트의 원리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의 자료를 공유하는 도구로서 웹을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16]. 이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영상, 음성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지원하는 한편, 인터넷 상의 여러 서비스(전자 우편, 파일 전송, 원격 접속 등)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17].
에듀넷 티 클리어의 단점은? 첫째, 에듀넷 티 클리어는 공공기관 주도로 만들어진 것이기에 최신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평가 내용, 교육 정책 관련, 전국 단위에서 실시된 정돈된 연구물, 보고서 등 검증되고 정돈된 자료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다만 여러 학교급과 이용 대상을 가지고 있어 방대한 내용이 한꺼번에 있어 특정 교과를 위한 디지털 콘텐츠가 특화되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과 자료의 현장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디지털 콘텐츠의 예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디지털 콘텐츠(Digital Contents)’란 유무선 전기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해 부호·문자·음성·음향 이미지·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 처리, 유통하는 자료, 정보 등을 말하는 것으로[21], 구체적으로는 각종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 MP3 음악 파일, 멀티미디어 서적 등을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한다[22].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콘텐츠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교육이 수월성을 제고하는 대안으로서 각광 받고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inistry of Education. (2015). Elementary Curriculum. Sejong : Ministry of Education. 

  2. K. H. Min. (2019). Prospect and Tasks of Music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8(1), 53-74. 

  3. J. A. Lee. (2009). Study on Present State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e-Learning Musical Education.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4. E. S. Jeong. (20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ents of Music e-Learning Website.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5. M. S. Park. (2016). A Study on the Effect of e-Learning Quality in Online Music Education on Learning Outcomes.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28, 1-15.. 

  6. H. K. Kim (2018). Current Status of Online Music Education Contents. Review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3), 19-24. 

  7. J. A. Yang (2018). An Analysis of Children’s Songs in Educational Contents ‘Pinkfong’ for Infants and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Arts Educaion, 16(4), 61-79. 

  8. J. H. Park. (2003). A Study on Web Sites Releted to Music Education.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9. J. H. Ahn. (2007). A Study on website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music teaching and learning. Master's Thesis.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10. J. O. Kim. (2000). A Study on the Use Internet Data for Singing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Focused on Search and Analysis of domestic Web Site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J. H. Choi. (2007).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Utilization of Music Materials on the Web. Master's Thesi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aegu. 

  12. M. R. Park. (2003).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Satisfaction on Tnara Education Web Site. Master'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on. 

  13. S. I. Jeong. (2017)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Educational Web-Sites Utilization Improvement Plan in Gyeonggi-do Elementary Music Class.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14. G. K. Yun. (2015). A Study of Actual Condition and Teacher's Dependence of Educational Web-Sites in Elementary Music Class.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4(3), 137-158. 

  15. J. W. Kim. (20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Utilization and Improvement of Education Websites - Focused on i-scream-.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6. Y. G. Back. (1998). Design, develop, and use of multimedia. Seoul : Yangseowon. 

  17. S. H. Kwon. (1998). Exploration of Educational Technology. Seoul : Yangseowon. 

  18. I. J. Na. (1999). Web-based education. Seoul : Kyoyookbook. 

  19. Y. H. Kim. (2000). What is web education. Seoul : Cyber Learning Center of Hanyang University. 

  20. B. H. Khan. (1997). Web-based instruction. NJ :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21.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IT Terms Dictionary: http://terms.tta.or.kr/main.do 

  22. Computational Terminology Compilation Committee. (2011). Dictionary of Computer.Information Technology Terms. Seoul : Iljinsa. 

  23. M. L. Ahn. (2010).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and Universality for Educational Digital Content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4(1), 169-174. 

  24. S. H. Ahn, H. Y. Park & K. G. Kho. (2005). Effect Analysis of Learning Using Educational Cont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5(6), 293-300. 

  25. S. J. Park & T. H. Kim. (2011). A study of Analysi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Educational content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5(3), 355-363. 

  26. H. J. Cha & Y. J. Hwang. (2018). The Analysis of Educational Digital Content Lifecycle: Focusing on Edunet T-Clear. Daegu : KERIS. 

  27. A. K. Gil & M. K. Lim. (2019). Teaching Methods for Elementary Music Class. Seoul : Soomoondang. 

  28. S. K. Chu. (2017). A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al Web-Sites in Elementary Music Textbooks. Master's Thesis.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wangju. 

  29. E. J. Kang & M. J. Lee. (2005). Evaluation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Edunet' Instructional Materials for ICT- Applied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Technology, 21(1). 63-94. 

  30. G. H. Jeong et al. (2018).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 and establish strategies for utilizing and promoting educational contents. Daegu : KERIS. 

  31. J. B. Shim. (2020. 2. 17.). Law Issue. Icecream edu, Grows its appearance with the launch of AI English. https://ccnews.lawissue.co.kr/view.php?ud202002170 9214081209817d053b9_12 

  32. S. M. Lee. (2011. 7. 22.). The Asia Business Daily. [Smart Education] Chunjae Education, Prepare for the Age of Digital Textbooks.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072207342650828 

  33. K. H. Min et al. (2017). Introduction to Music Education (3rd ed.). Seoul : Hakjis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