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딥러닝을 활용한 산지습지 수위 예측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Water Level Prediction Models Using Deep Neural Network in Mountain Wetlands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2 no.2, 2020년, pp.106 - 112  

김동현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정욱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물환경평가연구과) ,  곽재원 (낙동강홍수통제소) ,  아이미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종성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형수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습지는 수문, 환경,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기능 및 역할을 하며, 특히 습지 내의 수위는 습지의 기능과 환경 등 다양한 분석을 위해 필수적인 자료이다. 그러나 습지는 수위자료를 측정하지 않는 미계측 지역이 많기 때문에, 수위 예측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습지의 수위를 예측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주성분회귀분석, 인공신경망, DNN을 활용하여 수위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대상지역으로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금정산 산지습지를 선정하였고, 2017년 4월부터 2018년 7월까지의 수위 측정자료를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수문자료와 기상자료를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예측력 평가결과 최종 모형으로 선정된 DNN을 활용한 수위 예측모형의 예측력 평가결과 RMSE는 6.359, NRMSE는 18.91%로 비교적 산지습지의 수위를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한다면 기존의 미비하였던 미계측 지점의 수위를 활용한 습지유지 및 관리 기법 개발에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tlands play an important function and role in hydrological,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aspects of the watershed. Water level in wetlands is essential for various analysis such as for the determination of wetland function and its effects on the environment. Since several wetlands are ungauged,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습지의 수위 예측연구의 경우 사례를 찾아보기 쉽지 않을 만큼 매우 미비하였고, 다양한 통계모형을 적용하여 지역에 맞는 통계모형을 평가 및 비교하여 예측하였던 하천에서의 수위 예측 연구과는 달리 인공신경망만을 활용하여 다양한 통계모형들과 적용 가능성을 비교 및 평가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인공신경망 이외에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주성분회귀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DNN(deep neural network)과 같은 다양한 통계모형을 활용하여 습지에 적합한 수위 예측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된 모형을 통해 예측된 수위를 활용하여 습지의 침수범위 및 침수심을 분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습지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의 서식환경 변화와 기능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금정산 산지습지의 수위를 예측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모형, 주성분 회귀모형, 인공신경망 모형, DNN 모형을 개발하였다. 종속변수로는 금정산 산지습지의 수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기상자료를 활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ittmann, E. Grundlagen und Methoden des biologischen Wasserbaus. In Der Biologische Wasserbau an den Bundesstrassen; Bundesanstalt f. Gewaesserkunde: Koblenz, Germany, 1965; pp. 1-56. 

  2. Byeon, S.J.; Lee, S.H.; Choi, G.W.; Jung, J.G. Use of Gauged Water Level and Precipitation Data to Predict Short Term Water Level Changes. Korean Rev. Crisis Emerg. Manag. 2014, 10, 247-264. 

  3. Castillo, J.M.M.; Cspedes, J.M.S.; Cuchango, H.E.E. Water Level Predic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Int. J. Appl. Eng. Res. 2018, 13, 14378-14381. 

  4. Chau, K.W. Particle swarm optimization training algorithm for ANNs in stage prediction of shing mun river. J. Hydrol. 2006, 329, 363-367. 

  5. Jun, H.D.; Lee, J.H. A Methodology for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Observed Water Levels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J. Korean Soc. Hazard Mitig. 2013, 13, 367-374.[Korea Literature] 

  6. Keddy, P.A. Wetland Ecology: Principles and Conservation; Cambridge University: Cambridge, UK, 2000. 

  7. Kim, J.W. Prediction and Evaluation of Hydro-Ecology, Functions, and Sustainability of a Wetland under Climate Change. Ph.D.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2019. 

  8. Kim, J.W.; Lee, B.E.; Kim, J.G.; Oh, S.H.; Jung, J.W.; Lee, M.J.; Kim, H.S. Functional Assessment of Gangcheon Replacement Wetland Using Modified HGM. J. Wetl. Res. 2017, 19, 318-326.[Korea Literature] DOI https://doi.org/10.17663/JWR.2017.19.3.318 

  9. Kumar, A.P.S.; Sudheer, K.P.; Jain, S.K.; Agarwal, P.K. Rainfall runoff model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Comparison of network types. Hydrol. Process. 2005, 19, 1277-1291. 

  10. Kwak, J.W.; Kim, G.H.; Kim, J.W.; Singh, V.P.; Kim, H.S. Assessment of hydrological regimes for vegetation on riparian wetlands in Han River Basin, Korea. Terr. Atmos. Ocean. Sci. 2017, 28, 1055-1067.[Korea Literature] doi: 10.3319/TAO.2017.03.25.01 

  11. Rezaeianzadeh, M.; Kalin, L.; Anderson, C. Wetland Water-Level Prediction Using ANN in Conjunction with Base-Flow Recession Analysis. J. Hydrol. Eng. 2015, 22, 1-11. 

  12. Rezaeianzadeh, M.; Kalin, L.; Hantush, M. An Integrated Approach for Modeling Wetland Water Level: Application to a Headwater Wetland in Coastal Alabama, USA. Water 2018, 10, 1-17. 

  13. Tiwari, M.K.; Chatterjee, C. Development of an accurate and reliable hourly flood forecasting model using wavelet-bootstrap-ANN (WBANN) hybrid approach. J. Hydrol. 2010, 394, 458-470. 

  14. Yu, P.S.; Chen, S.T.; Chang, I.F. Support vector regression for real-time flood stage forecasting. J. Hydrol. 2006, 328, 704-7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