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대학의 역량기반 맞춤형 학습 지원을 위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Research on Learning Competency based Personalized Learning in K University 원문보기

JPEE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12 no.1, 2020년, pp.49 - 60  

김미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학과) ,  윤관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학과) ,  박지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차 산업혁명이라는 지식기반 시대의 도래로 대학교육 전반에 대한 패러다임의 대전환과 함께 대학교육 방식의 전면적 개편이 요구되면서 그에 대한 해결책 중의 하나로 맞춤형 학습을 통한 역량 강화가 대두되고 있다. 개별 학습자의 특성과 상태에 대한 맞는 적정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특성에 대한 이해 및 대학에서의 지원 방안 등 다양한 차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 대학이 역량기반 맞춤형 학습을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학습자 대상의 탐색적 연구를 통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K 대학의 역량기반 맞춤형 학습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역량 및 맞춤형 학습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둘째, K 대학의 재학생 6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 표적집단면접법(FGI), 학습스타일 진단, 역량기반 학습성과 분석 및 학습스타일 진단 결과지 제공, 1대1 인터뷰 등을 진행하는 맞춤형 학습 파일럿 테스트(Pilot test)를 진행하고, 연구결과를 통해K 대학의 효과적 맞춤형 학습 지원을 위한 주요 이슈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advent of the knowledge-based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paradigm shifts in university education. As a complete overhaul of university educational methods is required, strengthening competence through personalized is emerging as one of the solutions to the problem. To provid...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차 산업혁명 사회에서 기술과 산업의 변화 속도가 가속화되고 인공지능이 점점 사람의 일자리를 넘보는 상황에서, K대학 학생들이 졸업 후 경쟁력 있는 역량을 보유하여 노동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수준을 판단함에 있어 K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전공역 량과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이를 모든 교과와 매칭하여 성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연구참여자들이 수강한 모든 교과를 선정된 7가지 역량과 매칭하는 작업을 전공 교수 1인 으로부터 자문을 얻어 수행하였다.
  • 예를 들면, 학생이 특정 교과목 정보에 대한 문의를 할 경우, 교재만이 아니라 수업 관련 논문, 인터넷 학습자료 등을 AI가 찾아서 지원해 주는 것이다. 또한, AI가 강의 시간표 설계, 수강신청과 취업상담, 취업 관련 정보 등을 제공하며, 역량 데이터 기반으로 비교과 활동을 비롯한 자격증 취득 조언 서비스 등 개시를 목표로 한다. 학생의 입장에서 특정 직업에 대한 지원하고자 하는 동기가 있을 때, 인공지능 챗봇이 어떤 경로를 통해 그 직업을 획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조언을 제시하는 것이다[16].
  • 본 연구는 K대학의 일부 재학생을 대상으로 맞춤형 학습 지원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파일럿 테스트(Pilot test)를 진행하였다. 대상자는 정보통신공학 3,4학년 학생 총 6명으로, 연구에 참여한 학생의 구체적인 인적 정보는 아래와 같다(표 1 참조).
  • FGI는 3, 4학년 두 개 그룹으로 나누 어 각 3인씩 참여하도록 하였으며, 연구자가 직접 면담자로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에게는 사전에 간략한 연구소개와 함께 인터뷰 질문지를 발송하여 미리 어떤 내용의 인터뷰가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인터뷰질문은 크게 맞춤형 학습에 대한 사전 경험, 맞춤형 학습을 위한 학생들의 요구 및 의견을 물어보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 위와 같은 필요성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K 대학에 역량기반 맞춤형 학습을 도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학습자 대상의 탐색적 연구를 통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K대학의 경우, 충청권에 위치하고 있는 직업능력개발 관련 특수목적대학으로, 급변하는 산업기술 환경에 빠르게 대처하고 역량 있는 미래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현장중심의 실험·실습을 강화한 공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재학생들의 학습관련 요구 충족 및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학습지원 방안을 구축하고자 한다.
  • 그러나 이러한 범용적 역량 진단은 대학의 특수성을 반영한 자체 핵심역량 지표에 대한 진단은 어렵다는 점, 자기응답식 진단 방식으로 인해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대학의 자체 핵심역량을 반영한 보다 객관적 방식의 역량진단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K대학의 전공역량과 공통역량을 지표로 활용하여 역량기반 학업성취 수준 분석을 시도하였다.
  • K대학의 경우, 충청권에 위치하고 있는 직업능력개발 관련 특수목적대학으로, 급변하는 산업기술 환경에 빠르게 대처하고 역량 있는 미래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현장중심의 실험·실습을 강화한 공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재학생들의 학습관련 요구 충족 및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학습지원 방안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맞춤형 학습 및 역량 기반 학습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역량 기반 맞춤형 학습 지원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 선정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자 특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활용한 파일럿 테스트(Pilot test)를 진행한 후,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의 학습자 맞춤형 학습 지원 방안을 위한 시사점 및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 대상자는 정보통신공학 3,4학년 학생 총 6명으로, 연구에 참여한 학생의 구체적인 인적 정보는 아래와 같다(표 1 참조). 참여자를 선정하기 위해 해당전공 소속 교수로부터 성적, 성별, 학년을 고려하여 추천 받은 학생 명단 중에서 본 연구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학생을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맞춤형 학습 진단 및 지원에 있어 학업성취 수준을 고려하기 위해 연구참여자 선정 시 성적을 고려하여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은 다양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마지막으로, 제작한 학습가이드를 연구대상 자에게 전달하고, 맞춤형 학습진단 및 가이드의 실질적 도움 정도와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구하기 위해 1:1 개별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특히 학습가이드에서 제시하는 항목들의 적절성과 학습에의 도움 정도에 대해 연구참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실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맞춤형 학습을 돕기 위한 학습가이드 자료가 제공될 때 학습자의 입장에서 더 필요한 부분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터뷰는 연구자가 직접 면담자로 참여하였다.
  • 학습성과(성적) 분석의 경우, 본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과목별 성적을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학습이 필요한 연계 교과목을 추천하고자 하였다. 학생별 학업 성취수준을 판단할 때 판단의 기준지표가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역량(competency)’1 을 준거기준으로 삼았다.
  • 우리나라의 경우 1986년 열린 교육을 통해 맞춤형 학습을 학교에 처음 도입하였으며, 이는 1997년 제7차 교육과정에서 수준별 교육과정과 선택 교육과정 운영을 권고함으로써 더욱 확대되었다[4]. 획일적인 학교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고, 학생들의 개인차를 인정하면서 각자의 능력과 적성, 요구에 따라 최대한의 성취를 이루어 내는 것을 목표로 도입된 것이다. 하지만 실행 과정에서 시행착오가 나타났으며, 수준별 교육과정의 경우에도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학생의 특성과 요구에 따라 학습자 중심 교육이 제대로 구현되었는지 의문시되었고, 학교의 물리 환경의 한계와 교사 수의 제한 등으로 학습자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맞춤형 학습이란? 21세기에는 학생들이 지닌 다양한 분야의 능력, 소질, 적성의 계발과 활용을 통해, 복잡한 문제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천적인 능력으로서의 역량을 가진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는 것이다[2]. 그리고 그러한 인재양 성을 위한 해답 중 하나로 학습자의 특성과 상태에 대해 진단하고 그에 기반을 둔 교수·학습 처방을 하는 맞춤형 학습 (personalized learning)의 적용을 들 수 있다[3]. 학습자 개개인의 역량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그에 맞는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맞춤형 학습의 적용은 대학으로 하여금 학습자들에게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이를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맞춤형 학습을 적용하고자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이러한 학업성취 중심의 접근은 지식기반 사회에서 요구되는 다원적인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주장이 최근 설득력을 얻고 있다[1]. 21세기에는 학생들이 지닌 다양한 분야의 능력, 소질, 적성의 계발과 활용을 통해, 복잡한 문제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천적인 능력으로서의 역량을 가진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는 것이다[2]. 그리고 그러한 인재양 성을 위한 해답 중 하나로 학습자의 특성과 상태에 대해 진단하고 그에 기반을 둔 교수·학습 처방을 하는 맞춤형 학습 (personalized learning)의 적용을 들 수 있다[3].
K대학의 구체적 소재와 특징은? 위와 같은 필요성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K 대학에 역량기반 맞춤형 학습을 도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학습자 대상의 탐색적 연구를 통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K대학의 경우, 충청권에 위치하고 있는 직업능력개발 관련 특수목적대학으로, 급변하는 산업기술 환경에 빠르게 대 처하고 역량 있는 미래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현장중심의 실험·실습을 강화한 공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재학생들의 학습관련 요구 충족 및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학습지원 방안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맞춤형 학습 및 역량 기반 학습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역량 기반 맞춤형 학습 지원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 선정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자 특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활용한 파일럿 테스트(Pilot test)를 진행한 후,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의 학습자 맞춤형 학습 지원 방안을 위한 시사점 및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 W. Keefe and J. M. Jenkins, "Personalized instruction: The key to student achievement," Lanham, Maryland: Rowhan & Littlefield Education, 2008. 

  2. D. Hargreaves, "Personalising learning: Next steps in working laterally," Specialist Schools Trust, 2004. 

  3. J. DiMartino, J. Clarke, and D. Wolk, "Personalised learning: Preparing high school students to create their futures," Lanham, MD, Scarecrow Press, 2003. 

  4. K.W. Lee, J. R. Kwon, and S. C. Oh, Research on ways to support personalized learning in classrooms, KICE, 2008. 

  5. S. K. Park, Y. R. Lee, W. Lee, P. K. Kim, M. S. Lee, and K. Jung, The 7th Discussion Analysis on Educational Process, KICE, 2004. 

  6. S. J. Hong, T. E. Kim, E. Y. Hwang, Y. N. Kim, and J. H. Son, Research on Supprting Ways to Adaptive Learning to Elementary School, KICE, 2009. 

  7. S. Tomlinson, Education in a post welfare society, UK: McGraw-Hill Education, 2005. 

  8. E. D. Brown, Breaking ranks: Changing an American Institution. Diane Publishing Company, 1999. 

  9. S. Park, "A national conversation about personalized learning," Nottingham: DfES, 2004. 

  10.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basic education 2014, Helsinki: Finnish National Agency for Education, 2016. 

  11. I. Halinen, The new educational curriculum in Finland. In M. Matthes, L. Pulkkinen, C. Clouder, and B. Heys (Eds.),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hood in Europe, 2018. 

  12. J. S. Yang, "A case study on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 finnish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ol. 31, no. 4, pp. 19-39, 2019. 

  13. H. Y. Kim, K. Min, and J. J. Jung,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llegiate core competency assessment: focused on the case of a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12, no. 3, pp. 63-87, June 2018. 

  14. Y. S. Chung, H. J. Yun, and S. Kong, "Developing customized extra-curriculum to cultivate key competence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13, no. 5, pp. 293-321, October 2019. 

  15. Y. H. Lee and Y. K. Kim, "A study on the teaching case for enhancing core competency of undergraduate students using K-CESA - Focusing on strengthen community capacity,"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vol. 13, no. 5, pp. 273-291, 2019. 

  16. Dongailbo, "Evolution of Smart Campus: The First A.I Campus," 2017, [Online].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70628/85098313/1 

  17. Y. H. Hwang and Y. L. Cho, "Individual learning reflecting: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Seoul: Education and Science, 2005. 

  18. J. H. Im, S. K. Bum, and Y. M. Kim, "LMS for generous higher education standard based model planning research report," CR 2010-10, KERIS, 2010. 

  19. I. A. Kang, J. I. Choi, and K. W. Jang, "Remind and Expectations toward constructivism research,"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vol. 22, no. 4, pp. 105-135, 2006. 

  20. W. C. Bosch, J. L. Hester, V. M. MacEntee, J. A. MacKenzie, T. Morey, J. T. Nochols, P. A. Pacitti, B. A. Shaffer, P. B. Tomascak, S. P. Weber, and R. R. Young "Beyond lip-service: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Learning-centered College," Innovative Higher Education, vol. 33, no. 2, pp. 83-98, 2008. 

  21. Education Week, "Curriculum 'Playlists': A Take on Personalized Learning," 2017, [Online]. Available: http://www.edweek.org/ew/articles/2017/03/29/curriculum-playlists-a-take-on-personalized-learning.html. 

  22. Educause Review, Big Data Analysis in Higher Education: Promises and Pitfalls," 2016, [Online]. Available: http://er.educause.edu/articles/2016/8/big-data-analysis-in-higher-education-promises-and-pitfalls. 

  23. J. Park, H. Woo, Y. Yi, S. Hwang, K. Noh, and W. Kim, "An exploration of career competency mobility map (CCMM) focusing on engineering students in K University",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vol. 11, no. 2, pp. 195-206, 2019. 

  24. M. S. Zywno, "A contribution of score meaning for felder-solomon's index of learning styles," Proceeding of 2003 Annual ASEE Conference, 200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