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뭄 대응형 지하수 개발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농촌용수구역의 유형 분석
Classifying Agricultural Districts for Prioritizing Groudwater Development Area based on Correlation and Cluster Analysis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6 no.2, 2020년, pp.51 - 59  

오윤경 (전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  이상현 (일본 종합지구환경학연구소) ,  김아라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홍순욱 (한국농어촌공사 전북지역본부) ,  유승환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511 agricultural districts through statistical data, and classify these districts as the vulnerable area to drought through correlation and cluster analysis.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was related to ground-water recharge, irrigation water dem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전국단위의 용수구역을 대상으로 미래에 예상되는 농업용수 수요량 변화를 함께 고려하여 지하수 활용 방안을 제안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뭄대비를 위한 안정적 농업용수공급 체계 조성방안 마련을 위해 농어촌용수 구역의 주요 통계자료와 지하수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상관분석 및 군집분석을 수행하고, 전국 511개 지역의 용수구역을 분류하여 지하수 개발이 필요한 지역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한 농어촌용수구역별 가뭄 취약성 분석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된 결과임.
  • K-mean 방법은 군집의 수를 미리 정하고, 각 개체가 어느 군집에 속하는 지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대량의 데이터의 군집분석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500여개가 넘는 농어촌용수구역의 기초 자료를 유사한 특성을 가진 집단으로 분류하는 데 활용하였다. 평가지표별 군집분석 결과, 군집이 나뉘어지는 경계값을 용수구역 유형(Types)을 나누는 기준값으로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이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가뭄으로 인하여 연간 약 60억에서 80억 달러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Wilhite, 2000), 많은 연구자들은 강수의 부족에 의한 가용 수자원 부족을 가뭄으로 정의하고 다양한 가뭄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Koutroulis et al., 2011; Rossi, 2000; Wilhite, 2000).
농업환경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 농업에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농업은 기후 조건과 변화에 크게 영향 받는 분야로 농업환경변화를 예측하여 이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수자원 의존도가 높은 국내 농업환경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수자원 이용가능성 저하 및 극심한 가뭄빈도의 변화는 농산물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있다(KRC, 2016).
가뭄으로 인해 생길 문제를 세계경제포럼에서는 어떻게 예측하고 있는가? , 2011; Rossi, 2000; Wilhite, 2000). 세계경제포럼에서는 2025년 수자원 부족으로 인해 전세계의 곡물량 30%가 감소할 것이라 전망하였으며 국내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해 강우강도는 증가하지만 강우일수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KMA, 2010; Kim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 J., Hwang, S., Go, G., Kim, K.-Y., and J. Kim, 2015, Assessing the Climate Change Impacts on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the SWAT model and CMIP5 GC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KSAE), 57(5):1-12. (in Korean). 

  2. Chung, I.-M., Lee, J., Lee, J.E., and M.S. Kim, 2019, Method of estimating exploitable groundwater amount considering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recharge and the variation of 10-year minimum precipit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2(6):421-427. (in Korean). 

  3. Hyun, B.-K., Kim, M.-S., Eom, K.-C. Kang, K.-K. Yun, H.-B. and M.-C. Seo, 2003, Evaluation of Function of Upland Farming for Preventing Flood and Fostering Water Resource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6(3):163-179. (in Korean). 

  4. Jang, H., Kim, J.S., and Y.H. Kim, 2005, Characteristics of the nutrient concentration change in ground water of upland in a rural watershed,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281. (in Korean). 

  5. Jung, Y.-S., Yang, J. E., Joo, Y.-K., Lee, J.-Y., Park, Y.-S., Choi, M.-H., and S.-C. Choi, 1997, Water quality of streams and agricultural wells related to different agricultural practices in small catchments of the Han river basi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16(2):199-205. (in Korean). 

  6. Kim, B.S., Sung, J.H., Lee, B.H., and D.J. Kim, 2013, Evaluation on the impact of extreme droughts in South Korea using the SPEI and RCP8.5 climate change scenario,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3(2): 97-109. (In Korean) 

  7. Kim, G.-B., Hwang, C.-I., Shin, H.-J., and M.-R. Choi, 2019, Applicability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estimation method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 unmeasured area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5:693-701. (in Korean) 

  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2010,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and application of climate change scenarios,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in Korean) 

  9.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KRC), 2016, A study on optimal groundwater supply system in agricultural watersheds considering main infrastructure under climate change environment(I). (In Korean) 

  10. Koutroulis, A.G., Vrohidou, A.-E.K., and I.K. Tsanis, 2011,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drought for the island of Crete, J. Hydrometeorol 12(2):206-226. 

  11. Lee, T.S., Choi, J.Y., Yoo, S.H., Lee, S.H. and Y.G. Oh, 2012, Analyzing consumptive use of water and yields of paddy rice by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KSAE), 54(1): 47-54. (in Korean). 

  12. MAFRA(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4, Rural water use rationalization plan 2015-2024. (in Korean). 

  13.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 Groundwater Management Plan (2012-2021). (in Korean). 

  14. MOLIT(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Groundwater year book. (in Korean). 

  15. NGIC(National Groundwater Information Center), https://www.gims.go.kr. Accessed 20 Sep. 2016 (in Korean) 

  16. Oh, S., Shin, H., and S. Lim, 2019, Case study of groundwater shortage and overcome in the Agricultural complex,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281 (in Korean). 

  17. Park, N.Y., Choi, J.Y., Yoo, S.H., and S.H. Lee, 2013, Assessment of anti-drought capacity for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RCP Scenario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KSAE), 55(3): 13-24. (in Korean) 

  18. RAWRIS(Rural Agricultural Water Resource Information System) http://rawris.ekr.or.kr. Accessed 15 Sep. 2016 (in Korean) 

  19. Roh, K. S., 2014, Statistical analysis of papers to know and write correctly SPSS & AMOS 21, Hanbit academy. (in Korean) 

  20. Rossi, G., 2000, Drought mitigation measures: a comprehensive framework. In: Voght, J., Somma, F. (Eds.), Drought and Drought Mitigation in Europe, Kluwer Academic Publishers, 233-246. 

  21. Wilhite, D.A., 2000, Drought as a natural hazard: Concepts and definitions. Drought: A Global Assessment, D.A. Wilhite, Ed., Routledge, 3-18. 

  22. Yoo, S.H., Im, J.B., Choi, J.Y., and S.H. Lee, 2012, Estimation of the agricultural water and land requirement for substituting the import of feed-grain into domestic production,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KSIA) 24(3): 259-264 (in Kore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