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존수 산화를 이용한 활성탄 흡착탑의 현장 재생 시 흡착용량 및 구조특성의 변화
Changes of Adsorption Capacity and Structural Properties during in situ Regeneration of Activated Carbon Bed Using Ozonated Water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1 no.3, 2020년, pp.341 - 345  

이진주 (명지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이기세 (명지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폐수처리 및 정수처리에 사용되는 활성탄 흡착 공정에서 기존의 활성탄 열재생법 비해 활성탄 손실과 불완전 연소로 인한 오염물질 발생도 적으며, 사용 활성탄의 인발-재생-재충진에 소요되는 시간의 절약이 가능한 재생 방법으로 오존수를 이용한 in situ regeneration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활성탄 흡착 컬럼 상에서 페놀(phenol) 및 PEG를 흡착 파과 시킨 후 오존수 접촉으로 흡착물질을 분해 제거하는 흡착-재생 싸이클을 반복하였다. 오존수 접촉에 의한 재생 횟수가 증가할수록 페놀 흡착용량은 어느 정도 감소하지만, 일정 수준으로의 감소 후에는 구조 변화가 안정화되어 추가적인 감소가 일어나지 않았다. 흡착 용량이 감소하는 이유는 오존과의 반응에 의해 활성탄의 미세공 크기가 증가하면서 비표면적이 감소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세공 크기의 변화와 비표면적의 변화로 인하여 재생 후 in-pore adsorption이 우세한 페놀과 같은 저분자량 물질의 흡착효율은 감소하게 되나 external adsorption 비율이 큰 PEG와 같은 고분자량 물질의 흡착효율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세공 크기 및 비표면적의 변화는 오존수와의 접촉시간이 길어질수록 심화되므로 제거하려는 물질의 크기를 고려하고 접촉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흡착 효율의 유지를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in situ regeneration of activated carbon bed using an ozonated water was studied in order for avoiding the carbon loss, contaminant emission and time consuming for discharge-regeneration-repacking in a conventional thermal regeneration process. Using phenol and polyethylene glycol (PEG) as adsorb...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상대적으로 분자량이 큰 PEG는 external adsorption이 우세하고 in-pore adsorption의 기여도가 적기 때문에 오존 처리에 따른 세공의 크기 증가에 의한 영향을 페놀보다 덜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오존을 이용한 활성탄의 in situ regeneration 시 활성탄의 세공 크기 대비 제거하고자 하 는 용질의 분자량 크기를 고려하여 오존접촉시간을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고에너지 공정인 열재생 대신, 유기물이 흡착된 활성탄 고정상을 오존수를 공급하여 흡착 유기물을 산화분해함으로써 흡착활성탄을 화학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오존수를 활성탄 흡착탑에 유입시켜 흡착된 유기물과 접촉시킴으로써 흡착탑으로부터 활성탄을 꺼낼 필요 없이 효과적으로 흡착 유기물이 분 해 제거되는지, 그리고 이러한 in situ regeneration을 반복 수행하였을 때 재생 횟수에 따른 활성탄의 물성과 흡착능의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오존을 재생 방법으로 사용할 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문제점이 있다면 어떠한 해결책 또는 회피책이 가능한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활성탄 재생 방법인 열재생법 비해 활성탄 손실이 적고 흡착탑에서 사용 활성탄을 빼내고 다시 충진하는 시간의 절약이 가능한 경제적인 재생 방법으로 오존수를 이용한 in situ regeneration 방법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오존수 접촉에 의한 반복적 재생 횟수가 증가할수록 페놀 흡착 용량은 어느 정도 감소하지만, 일정 수준으로의 감소 후에는 오존 접촉에 의한 활성탄의 구조 변화가 안정화되어 추가적인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
  • 따라서 흡착포화 도달 후 활성탄을 주어진 흡착탑에서 빼내지 않고 충진탑 내에서 직접 재생하고 바로 흡착과정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현장재생(in situ regeneration)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한 활성탄을 흡착탑 내에서 흡착물질을 분해 제거를 함으로써 현장재생을 하기 위하여 오존수를 이용한 산화분해 방법을 검토하였다[5]. 오존(ozone)은 높은 산화환원전위(2.
  • Figure 4는 오존으로 재생한 활성탄에 대하여 분자량이 94인 페놀과 대비하여 분자량 1500인 PEG의 파과곡선을 비교한 결과이다. 아울러 오존 접촉시간을 5, 10, 15 min으로 달리하였을 때 재흡착에 대한 접촉시간의 영향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Figure 4a는 페놀 흡착에 대하여 접촉시간 변화의 영향을 나타낸 결과로 15 min 접촉 시에는 앞의 Figure 2의 결과와 같이 상당한 흡착 용량 감소가 보이지만 접촉 시간이 짧아질수록 흡착용량 감소가 작아짐을 볼 수 있으며, 특히 5 min 접촉 시에는 virgin GAC의 흡착용량과 별 차이 없는 수준으로 재생됨을 나타내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고에너지 공정인 열재생 대신, 유기물이 흡착된 활성탄 고정상을 오존수를 공급하여 흡착 유기물을 산화분해함으로써 흡착활성탄을 화학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오존수를 활성탄 흡착탑에 유입시켜 흡착된 유기물과 접촉시킴으로써 흡착탑으로부터 활성탄을 꺼낼 필요 없이 효과적으로 흡착 유기물이 분 해 제거되는지, 그리고 이러한 in situ regeneration을 반복 수행하였을 때 재생 횟수에 따른 활성탄의 물성과 흡착능의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오존을 재생 방법으로 사용할 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문제점이 있다면 어떠한 해결책 또는 회피책이 가능한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수처리에 사용되는 급속여과 공정의 취약점은 무엇인가? 정수처리에서도 전처리-응집/응결/침전-(급속)여과-소독 순으로 이루어진 급속여과 공정이 표준적으로 사용되는데 주로 탁도로 표현되는 입자성 물질과 병원성 미생물의 제거가 주목적이기 때문에 냄새 유발 물질이나 자연유기물질(NOM, natural organic matter) 농도가 높은 원수를 처리하는 데에는 취약한 면을 가지고 있다[2]. 표준적인 급속 여과 공정으로 제거하지 못한 성분들을 제거하기 위해 추가하는 과정을 고도정수처리라고 하는데, 여기에서도 활성탄 흡착 공정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폐수 처리 공정이란 무엇인가?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하폐수 처리 공정은 응집-응결-침전을 통한 입자성 물질 제거와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제거 및 질소⋅인 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공정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공정들을 거치고도 유해한 오염물질 성분들이 남아 있다면 이들을 추가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고도처리(또는 3차 처리) 단계를 거쳐야 한다. 고도 처리 방법의 선택은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 물질의 특성에 따라 정해지는데, 활성탄 흡착 공정은 생물학적 처리로 제거하지 못한 유기물 제거에 주로 이용된다[1].
국내에서 재사용이 가능한 입상활성탄을 고도정수시설에 도입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반면 입상활성탄은 냄새 유발물질, 독성 유기물, 소독부산물을 생성하는 자연유기물질(NOM) 등을 흡착 제거하는 목적으로 연속식 공정 (continuous process)으로 사용되는데, 열분해 재생공정을 통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 국내에서 입상활성탄을 이용한 고도정수시설의 도입이 늘어나고 있다. 활성탄은 정수처리나 하폐수처리 공정에 들어가는 여타 물리화학적 처리 기술 및 재료에 비하여 비교적 고가이므로 한 번 사용 후 교체보다는 재생을 하여 가능한 한 여러 차례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입상활성탄을 이용한 흡착공정은 컬럼이나 충진상(packed-bed) 형태로 사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T. D. Reynolds and P. A. Richards, Unit Operations and Process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2nd Ed., PWS, MA, USA (1996). 

  2. J. W. Park, H.-C. Kim, A. S. Meyer, S. Kim, and S. K. Maeng, Influences of NOM composition and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on biological stability in a full-scale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 Chemosphere, 160, 189-198 (2016). 

  3. B. W. Lykins Jr., R. M. Clark, and J. Q. Adams, Granular activated carbon for controlling THMs, J. Am. Water Works Assoc., 80(5), 85-92 (1988). 

  4. R. J. Martin and W. J. Ng, The thermal regeneration of exhausted activated carbon: The balance between weight loss and regeneration efficiency. In: L. Pawlowski, W. J. Lacy, and J. J. Dlugosz (eds), Chemistry for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pp. 427-438, Environmental Science Research, vol 42. Springer, MA, USA (1991) 

  5. X. He, M. Elkouz, M. Inyang, E. Dickenson, and E. C. Wert, Ozone regeneration of granular activated carbon for trihalomethane control, J. Hazard. Mater., 326, 101-109 (2017). 

  6. A. Bachar, B. Gurzeda, J. Zembrzuska, M. Nocun, and P. Krawczyk, Regeneration of expanded graphite electrodes by joined electrochemical and ozone treatment in liquid phase, J. Solid State Electrochem., 22, 3965-3975 (2018). 

  7. I. Lee, E. Lee, H. Lee, and K. Lee, Removal of COD and color from anaerobic digestion effluent of livestock wastewater by advanced oxidation using microbubbled ozone, Appl. Chem. Eng., 22(6), 617-622 (2011). 

  8. H. Lee, E. Lee, C.H. Lee, and K. Lee, Degradation of chlorotetracycline and bacterial disinfection in livestock wastewater by ozone-based advanced oxidation, J. Ind. Eng. Chem., 17(3), 468-473 (2011). 

  9. H. T. Luu, D. N. Minh, and K. Lee, Effects of advanced oxidation of penicillin on biotoxicity, biodegradability and subsequent biological treatment, Appl. Chem. Eng., 29(6), 690-695 (2018). 

  10. APHA-AWWA-WEF,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st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2005). 

  11. P. M. Alvarez, F. J. Beltran, V. Gomez-Serrano, J. Jaramillo, and E. M. Rodriguez, A comparison between catalytic ozonation and activated carbon adsorption/ozone-regeneration processes for wastewater treatment, Appl. Catal. B: Environ., 92, 393-400 (2009). 

  12. F. S. Cannon, V. L. Snoryink, R. G. Lee, G. Dagois, and J. R. Dewolfe. Effect of calcium in field-spent GACs on pore development during regeneration, J. Am. Water Works Assoc., 85(3), 76-89 (1993). 

  13. Y. Guo and E. Du, The effects of thermal regeneration conditions and inorganic compou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arbon used in power plant, Energy Procedia, 17, 444-449 (2012). 

  14. H. Valdes, M. Sanchez-Polo, J. Rivera-Utrilla, and C. A. Zaror, Effect of ozone treatment on surface properties of activated carbon, Langmuir, 18, 2111-2116 (2002). 

  15. J. Chaichanawong, T. Yamanoto, and T. Ohmori. Enhancement effect of carbon adsorbent on ozonation of aqueous phenol, J. Hazard. Mater., 175, 673-679 (2010). 

  16. K. Yaghmaeian, G. Moussavi, and A. Alahabadi, Removal of amoxicillin from contaminated water using $NH_4Cl$ -activated carbon: Continuous flow fixed-bed adsorption and catalytic ozonation regeneration, Chem. Eng. J., 236, 538-544 (2014). 

  17. J. Rivera-Utrilla and M. Sanchez-Polo. Adsorbent-adsorbate interactions in the adsorption of organic and inorganic species on ozonized activated carbons: A short review, Adsorption, 17, 611-620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