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기 보고식 공학설계 역량 검사 도구 규준화 연구
A Research on the Norming of The Self-Reported Test for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3 no.3, 2020년, pp.66 - 75  

조한진 (충남대학교 대학원 공업기술교육학과) ,  위선복 (충남대학교 대학원 공업기술교육학과) ,  김태훈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orm the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tes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nationwide using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test developed in the precedent study, and a total of 2,859 questionnaires were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규준화 연구를 통하여 ‘동종 그룹 내 개인의 공학설계 역량이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개인의 공학설계 역량을 진단하고, 추후 개인의 공학설계 역량 개발 및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공학설계 역량 검사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전국 공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공학설계 역량 점수의 규준을 제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태훈 외(2020)의 공학설계 역량 검사 도구 개발의 후속 연구로서 우리나라 공과대학생의 공학설계 역량 검사의 규준을 확립하고자 한다. 규준화 연구를 통하여 ‘동종 그룹 내 개인의 공학설계 역량이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개인의 공학설계 역량을 진단하고, 추후 개인의 공학설계 역량 개발 및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정의하고 있는 공학설계 역량이란? 본 연구에서 공학설계 역량은 우수한 공학자가 갖추어야 할특성으로서 공학설계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종합적 능력이다(김태훈, 2020).
대학이 공학교육의 변화에 대한 필요성 및 패러다임을 인지한 결과는? 그 대안으로 우리나라 다수의 대학은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에서 시행하는 공학인증 제도를 도입하여 공학교육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현업에서 요구되는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공학 관련 학과의 전공교육에서 30%는 설계 교과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한국공학교육인증원, 2005; 한지영 외, 2009). 이로 비추어 볼 때 공학교육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교과는 공학설계라고 할 수 있다(윤나리, 2012).
기업이 원하는 인재는 무엇인가? 기업(산업계)은 현장적응 능력, 자기주도 학습 능력,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 능력 등의 여러 능력을 갖춘 인재를 원하며 (백윤수 외, 2006; 차성운 외, 2007), 공과대학 졸업생에게는 단순한 공학 전문지식을 넘어 갑자기 발생하는 문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까지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공과 대학 졸업생은 문제해결력이 부족하여 많은 질타를 받음에 따라 대학은 공학교육의 변화에 대한 필요성 및 패러다임을 인지 하고 그 해결방안을 찾고 있다(송동주, 2003; 김광선,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교육심리학회(2000). 교육심리학 용어사전. 학지사. 

  2. 금지현.김진모(2009). 우리나라 초등학생용 NEP Scale의 타당화. 환경교육, 22(4), 40-52. 

  3. 김광선(2015). 공학교육 패러다임 변화의 방향. 공학교육동향, 22(1), 2-9. 

  4. 김미숙.김경은(2014). 창의인성검사(CPI)의 타당화 및 초등학생 창의인성 특성과 수준 분석. 사고개발, 10(3), 1-19. 

  5. 김부윤.이지성(2006). 수학에서의 창의적 태도의 측정도구 개발과 그 적용. 학교수학, 45(1), 25-34. 

  6. 김수향.탁진국(2011). 진로 및 직업 상담자의 역량진단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30(2), 461-481. 

  7. 김지원(2019).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8. 김태훈(2015). 전문가 인식 조사에 의한 공학 설계 능력의 정의 및 하위 영역과 요소 도출. 공학교육연구, 18(3), 24-32. 

  9. 김태훈.이소이.노태천(2005). 공학설계능력의 평가 요소 구명. 공학교육연구, 8(3), 49-56. 

  10. 김태훈.조한진.강문주(2020). 자기보고식 공학설계역량 검사 도구 개발. 공학교육연구, 23(1), 37-46. 

  11. 박경희(2004). 과학창의성 검사도구 개발과 과학영재아의 뇌 기능 분석.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2. 박병기.강현숙(2006). 자기보고형 통합 창의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0(1), 155-177. 

  13. 백승희.정혜원(2015). 대학생 역량진단 도구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구인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분석. 교육방법연구, 27(3), 349-373. 

  14. 백윤수 외(2006). 대학 신입생 공학설계과목을 통한 창의성 교육의 성과. 공학교육연구, 9(2), 5-20. 

  15. 송동주(2003). 공학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대하여(영남대학교 기계공학부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동향, 10(2), 85-92. 

  16. 송인섭.김효원.남궁정(2008). 중학생 진로성숙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1), 115-132. 

  17. 신원섭(1999). 한국판 간편형 자연 환경 태도 측정지의 신뢰도 및 요인 분석. 한국공원휴양학회지, 1(2), 238-241. 

  18. 윤나리(2012). 공학설계 강의에서 활용된 문제중심학습의 효과 측정.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 이규욱(2003). 공업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공태도 측정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 이종범.정철영(2005). 초등학생 진로발달 검사도구 타당화 연구. 진로교육연구, 18(2), 79-105. 

  21. 장석민.임두순.송병국(1991). 진로성숙도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2. 조규형(2018).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수준 검사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3. 차성운 외(2007). 설계기술역량 3요소 기반의 공학설계 교육. 공학교육연구, 10(4), 1-12. 

  24. 최윤정.이제경(2014). 진로상담 수행 역량 자가 평가 척도의 타당화. 상담학연구, 15(4), 1475-1493. 

  25.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5). KEC2005 인증기준 설명서. 1-71. 

  26. 한지영.이민영.정보라(2009). 자기주도학습 능력 개발을 위한 설계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2(4), 115-125. 

  27. Bridges, A. J., Holler, K. A.(2007). How many is enough? Determining optimal sample sizes for normative studies in pediatric neuropsychology. Child Neuropsychology, 13, 528-538. 

  28. Crawford, J. R., Garthwaite, P. H.(2008). On the "optimal" size for normative samples in neuropsychology: Capturing the uncertainty when normative data are used to quantify the standing of a neuropsychological test score. Child netropsychology, 14, 99-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