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을 적용한 도시공원 개선계획 - 보라매공원을 대상으로 -
A Study of Improvement Plans for Urban Parks through the Application of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Standards - A Focus on Boramae Park-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5, 2015년, pp.100 - 110  

서은실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  구본학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령화 및 다문화, 사회적약자의 외부활동이 증가됨에 따라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어 공원에서도 이들의 편리한 이용을 위한 시설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에 따른 기존공원의 BF인증 가능성을 분석하고, BF인증평가기준을 적용한 공원 계획을 수립하였다. 공원 오는 길 및 공원 내 주요 시설지를 연결하는 무장애 동선을 확보하고, 주요 시설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공원시설을 개선하며, 장애인 등의 이용이 편리하도록 안내체계를 개선하여 보라매공원을 무장애 공원으로 조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도시공원의 BF인증 가능성 여부를 진단해 보고, 누구나 이용하기 편리한 무장애공원 계획을 수립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BF인증제도의 한계점과 과제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첫째는 BF인증제도에 대한 이해와 인식부족이다. 공원의 계획, 설계단계에서부터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고려가 필요하나 설계 및 공사완료시점에 인증에 대한 검토를 함으로써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큰 실정이다. 둘째는 공원의 BF인증 평가항목이 지형의 기복 및 기존 수목 등의 자연적 제약조건이 큰 외부공간의 특성이 반영되지 못한 세부평가항목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는 공원의 입지적 여건을 고려한 무장애 공원의 가이드라인 수립 및 공원의 BF인증 평가항목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trend for the construction of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s in accordance with the ever-increasing external activity of the aging population, multi-culture families and socially disadvantaged, there is also a demand for the facilities improvement at parks for their convenience of use.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의 개별시설 인증평가 중 공원부문은 장애인 및 교통약자 등이 비장애인과 함께 차별 없이 안전하고 편안한 휴식 및 여가를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각 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공원은 면적 및 용도에 관계없이 자연 공원 및 도시공원을 그 대상으로 하며, 공원분야 평가항목은 매개시설, 유도 및 안내 시설, 위생시설, 편의시설, BF보행의 연속성의 5가지 범주로 구분하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공원 중 주변에 주거지, 업무시설, 병원 등이 입지하고 있어 다양한 계층의 공원이용자들이 방문하고 있는 보라매공원을 BF인증공원으로 지정받기 위해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인증제도 메뉴얼’에 따라 무장애공원으로 개선하고자 한다.
  • 매개시설, 유도 및 안내시설, 위생시설, 편의시설, BF보행의 연속성 등 평가항목별 최우수 등급획득을 목표로 시설개선 계획을 수립하였다.
  • 보라매공원 주차장에는 장애인 주차면수, 주차면의 크기, 보행안전통로의 폭 등이 법적기준 이상으로 확보되어 있으나 주 출입구로 이동시 차량과의 충돌우려가 있으므로 주차면의 위치를 주출입구 방향으로 이동하고 기존 보도사이에 보행안전 통로를 설치하여 보행자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Figure 7 참조). 또한 휠체어 이용을 위한 보행안전통로의 바닥에 설치된 잔디 블록 포장은 틈새가 있어 휠체어 이용 시 요철이 심하고 걸려 넘어질 우려가 크므로 바닥마감 재질항목은 평가기준 미비로 배점 1점 중 0점으로 평가되었다.
  • 본 연구는 장애인 및 노약자들에게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계층의 공원이용자들이 방문하고 있는 보라매공원을 대상으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인증제도 매뉴얼’에 따라 BF인증 취득 가능 여부를 판단해 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공원 중 주변에 주거지, 업무시설, 병원 등이 입지하고 있어 다양한 계층의 공원이용자들이 방문하고 있는 보라매공원을 BF인증공원으로 지정받기 위해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인증제도 메뉴얼’에 따라 무장애공원으로 개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 기준에 따라 BF인증 취득 가능 여부를 판단해 보고, BF인증 취득을 위해 공원정비계획을 수립하고, 공원시설 개선 시 문제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 최우수 등급 획득을 목표로 개선 계획을 수립하였으나 구릉지 공원의 특성상 모든 평가 항목을 만족시키기는 불가능하여 일반 인증을 받을 수 있는 수준에서 개선계획을 수립하였다(Figure 13, Table 3 참조). 특히 BF인증 시 평가 항목의 채점은 공원 내 모든 시설을 대상으로 함에 따라 BF인증을 목표로 개선 사업을 시행할 경우 과도한 자연 훼손 및 사업비를 투입하게 되므로 유모차, 휠체어 이용자, 고령자 등이 물리적 장애물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공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공원접근성 개선 및 위생시설의 개선 등을 통해 보라매공원을 무장애 공원으로 조성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등편의법의 제3조는 무엇인가? 『장애인등편의법』에서는 장애인 동선을 최단거리로 조성해야하는 편의시설 설치의 기본원칙(제3조) 및 장애인이 시설과 정보를 자유롭게 접근 및 이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 접근권(제4조), 편의시설의 설치기준(제8조),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등(제17조)을 규정하고 있으며, 교통약자법』에서는 교통 약자가 차별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권(제3조) 및 이용편의․보행 환경개선을 위한 개선책을 수립하도록 하는 국가 등 의 책무(제4조), 이동편의시설의 설치기준(제10조), 보행우선 구역의 지정(제18조), 공원내부로 진입하는 횡단보도에 속도저감시설 등 보행시설물의 설치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익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은 몇년도에 제정되었는가? 1997년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익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및 2005년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법’ 제정 이후 교통약자들이 도시의 시설물을 자유롭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2008년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를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BF(Barrier Free 이하 BF라고 한다)인증제도 도입으로 대전광역시, 서울특별시 등 많은 지자체들이 장애물 없는 편리한 생활 환경조성을 위해 BF인증을 취득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장애인개발원(http://www.
BF인증평가기준을 적용한 공원 계획을 수립한 이유는? 고령화 및 다문화, 사회적약자의 외부활동이 증가됨에 따라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어 공원에서도 이들의 편리한 이용을 위한 시설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에 따른 기존공원의 BF인증 가능성을 분석하고, BF인증평가기준을 적용한 공원 계획을 수립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Gwak, No-jeong(2003) A Study on the City Park Facilities for Physically Disabl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곽노정(2003) 지체장애인 도시공원시설 이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Jang, jae-hyuk(2001) A Study on Universal Design.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장재혁(2001)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Kang, Byoung-geun, Gwang-jeh Park, Hyun-jung Jung, Ji-hye Kang, and Joo-hyung Lee(2007) A study on the planning of the urban park with analyse of Barrier Free Urban Parks in Japa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12): 96-102. 강병근, 박광재, 정현정, 강지혜, 이주형(2007) 일본 베리어프리 공원의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도시공원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3(12): 96-102. 

  4. Kim, Su-jin(2013) An Analysis of the Silver's Program Preference to Park.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김수진(2013) 실버층의 공원프로그램 선호도 분석.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Kim, Yun-jeh and Eung-kyo Yoo(2006) A study on modifying plans of urban park by urban residents' preferences of using park.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8(4): 55-63. 김윤제, 유응교(2006) 도시민의 공원이용선호도에 따른 도시공원정비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8(4): 55-63. 

  6.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2012) Manuals of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e System. pp.16-19, 27-30 한국장애인개발원(2012)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매뉴얼. pp. 16-19, 27-30. 

  7. Lee, Dong-hyuk, Byoung-geun Kang and Hyun-soo Park(2011) A study on plan direction of Barrier-free Park through domestic urban park.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1(2): 169-170. 이동혁, 강병근, 박현수(2011) 국내도시공원을 통한 무장애 공원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31(2): 169-170. 

  8. Shin, Kang-won, Suk-hwan Lee, Seo-yeon Choi and Eun-jin Lee (2010)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of Barrier-free certification criteria through AHP analyis. Busan Development Institute. pp. 48-49. 신강원, 이석환, 최서연, 이은진(2010) AHP분석을 통한 Barrier Free 인증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pp. 48-49. 

  9. Suh, Seon-ho(2008) A Study on Establishing Alternatives for Barrierfree Space for the Disabled. PhD dissertation, Sangmyung University. 서선호(2008) 장애인의 무장애 공간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http://www.koddi.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