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재 일람표 도면 인식을 활용한 증강현실 배근모델 자동 생성
Automated Bar Placing Model Generation for Augmented Reality Using Recognition of Reinforced Concrete Detail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20 no.3, 2020년, pp.289 - 296  

박우열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ong National University) ,  안성훈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aegu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철근 배근과 관련된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도록 2D 도면에서 배근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3D 배근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사용자가 쉽게 도면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면을 촬영한 후 화상 인식(Image Recogni-tion)과 문자 인식(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도구를 활용하여 배근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게임 엔진을 활용하여 도면에서 추출된 정보를 입력받아 자동으로 3D 부재를 모델링하고 이를 실제 이미지와 중첩해서 배근 모델을 검토할 수 있는 증강현실 앱을 구현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프로그래밍 도구를 활용하여 제시한 방법론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세부 내용을 기술하였으며, 건설현장에서 전형적인 부재를 대상으로 철근 배근 증강현실 모델을 구현한 결과를 검토하였다. 제시된 증강현실 배근 모델 자동 생성 방법론은 배근 교육이나 시공검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for automatically extracting placing information from 2D reinforced concrete details drawings and generating a 3D reinforcement placing model to develop a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bar placing work. To make it easier for users to acquire placing information, it 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철근공사 검토 및 배근 교육에 증강현실 기술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를 활용한 자동 배근 정보 획득 및 3D 가상 모델 생성,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휴대용 단말기를 활용하여 구조도면의부재 일람표에서 자동으로 배근 정보를 획득한 후, 3D 가상 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증강현실로 활용하는 방안을제시하며, 이를 통해 배근 교육뿐 아니라 시공 전 배근 검토 및 공사 관리 효율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그리고 철근공사를 담당하는 철근가공업체나 배근시공도 작성업체, 철근시공 전문업체에서 2D 도면을 많이 활용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하면 실용적인 도입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근공사에 주로 활용되고 있는 2D 구조도면에서 배근 정보를 추출하여 활용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철근공사 검토 및 배근 교육에 증강현실 기술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를 활용한 자동 배근 정보 획득 및 3D 가상 모델 생성,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휴대용 단말기를 활용하여 구조도면의부재 일람표에서 자동으로 배근 정보를 획득한 후, 3D 가상 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증강현실로 활용하는 방안을제시하며, 이를 통해 배근 교육뿐 아니라 시공 전 배근 검토 및 공사 관리 효율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Wang X, Kim MJ, Love PE, Kang SC. Augmented reality in built environment: Classificatio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utomation in Construction. 2013 Jul;32:1-13. https://doi.org/10.1016/j.autcon.2012.11.021 

  2. Wang P, Wu P, Wang J, Chi HL, Wang X. A critical review of the use of virtual reality in construction engineering education and tra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18 Jun;15(6):1-18. https://doi.org/10.3390/ijerph15061204 

  3. Behzadan AH, Dong S, Kamat VR. Augmented reality visualization: A Review of civil infrastructure system applications. advanced engineering informatics. 2015 Apr;29(2):252-67. https://doi.org/10.1016/j.aei.2015.03.005 

  4. Sebastjan M, Turk Z, Dolenc M. Measuring the potential of augmented reality in civil engineering. Advances Engineering Software. 2015 Dec;90:1-10. https://doi.org/10.1016/j.advengsoft.2015.06.005 

  5. Shin DH, Dunston PS. Identification of application area for augmented reality in industrial construction based on technology suitability. Automation in Construction. 2008 Oct;17(7):882-94. https://doi.org/10.1016/j.autcon.2008.02.012 

  6. Chi HL, Kang SC, Wang X. Research trends and opportunities of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Automation in Construction. 2013 Aug;33:116-22. https://doi.org/10.1016/j.autcon.2012.12.017 

  7. Ronkohi S, Waugh L. Review and analysis of augmented reality literature for construction industry. Visualization in Engineering. 2013 Aug;1(1):1-18. https://doi.org/10.1186/2213-7459-1-9 

  8. Ayer SK, Messner JI, Anumba CJ. Augmented Reality Gaming in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2016 Jan;22(1):1-8. https://doi.org/10.1061/(ASCE)AE.1943-5568.0000195 

  9. Wang TK, Huang J, Liao Pin-Chao, Piao Y. Does augmented reality effectively foster visual learning process in construction? An eye-tracking study in steel installation. Advances in Civil Engineering. 2018 Jul;2018:1-12. https://doi.org/10.1155/2018/2472167 

  10. Turkan Y, Radkowski R, Karabulut-Ilgu A, Behzadan AH, Chen An.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teaching structural analysis. Advanced Engineering Informatics. 2017 Oct;34:90-100. https://doi.org/10.1016/j.aei.2017.09.005 

  11. Park UY.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teaching bar plac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8 Oct;18(5):471-7. https://doi.org/10.5345/JKIBC.2018.18.5.471 

  12. Behzadan AH, Kamat VR. Enabling discovery-based learning in construction using telepresent augmented reality. Automation in Construction. 2013 Aug;33:3-10. https://doi.org/10.1016/j.autcon.2012.09.003 

  13. Park UY. Fundamental study on augmented reality -based maintenance of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ibeacon localization technology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9 Feb;21(1):57-63. 

  14. Ryu HG, Choi HB, Jang MH. Method to select tower cranes using augmented reality in smart devic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4 Aug;14(5):407-13. https://doi.org/10.5345/JKIBC.2014.14.5.407 

  15. Park UY.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teaching bar plac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8 Oct;18(5):471-7. https://doi.org/10.5345/JKIBC.2018.18.5.471 

  16. Koch, C, Neges M, Konig M, Abramovici M. Natural markers for augmented reality-based indoor navigation and facility maintenance. Automation in Construction. 2014 Dec;48:18-30. https://doi.org/10.1016/j.autcon.2014.08.009 

  17. Lee TO.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survey of apartment rebar work.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08 Apr;8(2):71-9. https://doi.org/10.5345/JKIC.2008.8.2.071 

  18. Cao Y, Wang S, Li Heng. Automatic recognition of tables in construction tender documents. Automation in Construction. 2002 A ug;11(5):573-84. https://doi.org/10.1016/S0926-5805(01)00067-X 

  19. Kim JS, Chin SY, Yoon SW.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character recognition technology for construction supply chain management of structural steel components and precast concrete work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4 Jul;15(4):20-9. https://doi.org/10.6106/KJCEM.2014.15.4.020 

  20. Shin HR, Lee SH, Park JS, Song JK Performance improvement of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for parts book using pre-processing of modified VGG model.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2019 Mar;14(2):433-8. https://doi.org/10.13067/JKIECS.2019.14.2.433 

  21. Lee HM, Lee WH. Development of handwriting recognition using deep learning in unity3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2019 Mar;32(1):51-9. 

  22. Song SK, Lee MS, Noh DW, Lee MS.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drawing recognition-management system for the reuse of architectural drawing inform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000 Jul;16(7):31-8. 

  23. Jung YS, Park KH. Recognition of dimension sets based on vectorization of interpretation line in mechanical drawings. Journal of KISS(B):Software and Applications. 1997 Sep;24(9):995-1005. 

  24. Gang SM, Ryu DH, Choi YC, Choung YJ. Unity3D-based flood simulation visualization web system for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017 Mar;20(1):98-112. https://doi.org/10.11108/kagis.2017.20.1.098 

  25. Lim TK, Choi BY, Lee DE. Methodology for near-miss identification between earth work equipment and workers using image analysi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9 Jul;20(4):69-76. https://doi.org/10.6106/KJCEM.2019.20.4.0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