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혈압이 있는 중년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Health Status in Middle-aged Adults with Hypertension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1 - 7  

김기봉 (대전보건대학교 의료IT융합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고혈압이 있는 중년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표적 만성질환인 고혈압은 중년부터 유병률이 증가하는 질환이다. 중년부터 고혈압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주관적 건강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생활양식을 수정해 나가야 한다. 본 연구대상은 2014-1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중 30-64세의 고혈압이 있는 중년 2,254명이며 연구 변수는 일반적, 신체적, 심리적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SPSS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을 만든 뒤 복합통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에 유의하게 영향을 준 요인은 성별, 나이, 경제수준, 가구원 수, 주택소유여부, 스트레스, 삶의 질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0.4%이었다(F=12.58, p<.001). 본 연구결과는 고혈압이 있는 중년의 주관적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올바른 주관적 건강의 인식을 바탕으로 고혈압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적절한 생활양식 수정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subjective health in middle-aged with hypertension. Hypertension, a representative chronic disease, is a disease of increasing prevalence from middle age. To effectively manage hypertension from middle age, it is necessary to revise lifestyle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4-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차 분석한 연구로, 고혈압이 있는 중년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고혈압이 있는 중년의 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대상자들의 주관적 건강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고혈압은 가장 흔한 혈관질환으로 관리를 통해 조절이 비교적 잘 이루어지는 질환이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고혈압이 있는 중년의 주관적 건강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효과적인 주관적 건강인지를 통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제공 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층화집락계통추출 방법으로 수집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2차 년도-제7기 2차 년도 원시자료 중 30세-64세 중년을 추출하여 주관적 건강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IBM SPSS 23.
  • 본 연구의 목적은 고혈압이 있는 중년의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P. A. James. (2014), 2014 evidence-based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 report from the panel members appointed to the Eighth Joint National Committee (JNC 8), Clinical review and Education, 311(5), 507-520. DOI : 10.1001/jama.2013.284427 

  2. S H. Jee, I. Suh, I. S. Kim, L. J.(1999). Appel Smoking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in men with low levels of serum cholesterol: the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tudy. JAMA, 282, 2149-2155. 

  3. Statistics Korea. (2019). Hypertension Prevalence.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2_N105 

  4. 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2018). Korea Hypertension Fact Sheet 2018. https://www.mdon.co.kr/news/download.html?no16318&atno47467 

  5. Y. Lee. (2000). The predictive value of self assessed general, physical, and mental health on functional decline and mortality in older adult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4, 123-129. 

  6. B. K. Lee, J. Y. Lee, S. A. Kim, D. M. Son, O. K. Ham. (2015). Factors associated with Self-Rated Health in Metabolic Syndrome and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J Korean Acad Nurs. 45(3), 420-428. DOI : 10.4040/jkan.2015.45.3.420 

  7. H. Y. Shin, M. H. Shin & J. A. Rhee. (2012).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Hypertension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BioMed Central Journal Public Health, 135, 1-6. DOI : 0.1186/1471-2458-12-135 

  8. K. Y. Kim. (2019). Risk factors for hypertension in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and adults under age 65.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 162-169. DOI : 10.5762/KAIS.2019.20.1.162 

  9. E. J. Yeun, Y. M. Kwon & Y. M. Kee. (2016). Comparison of influencing factors for self-rated health between middle aged and elderly. Journal of Contents, 16(2), 200-210. 

  10. S. W. Choi, K. Y. Kim, C. S. Choi, S. K. Choi, T. Y. Kim, J. Y. Lee, Y, K. Yang & K. T. Kim. (2007). Health and Sports Science, Seoul Jungdam-media Publishing. 

  11. H. J. Lim & E. J. Kim. (2019). Prevalence of Obesity and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using Complex Samples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3(6), 175-186. 

  12. M. S. Lee. (2015).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related nutritional risk factors of elderly living in a rural a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4), 291-300. 

  13. S. J. Lee, T. W. Lee & S. H. Kim. (2017). Predictors of Hypertension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Self-employed Workers: Results from a Baseline Survey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6(4), 247-260. DOI : 10.5807/kjohn.2017.26.4.247 

  14. K. S. Ahn, S. K. Park & Y. C. Cho. (2012). Risk Factors for Hypertension of Middle Aged Male Workers using Data from Health Check-up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0), 4686-4693. 

  15. E. J. Kang & L. Han. (2019). A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the US in Self-Rated Health and Its Related Factors.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50, 111-132. 

  16. J. Y. Chang & K. C. Boo. (2007). Self-rated health status of Korean older people: An introduction for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0(2), 45-69. 

  17. OECD. (2018). OECD Health Statistics 2018. http://www.oecd.org/els/health-systems/healthdata.htm 

  18. N. J. Kim. (2008). Related factors and the symptoms of menopause in male worker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 29-42. 

  19. E. Y. Kim, M. Y. Jang & E. Y. Jung. (2014). The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Climacteric Symptoms and Coping Behaviors of Office Workers Men on Mid-life Crisi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2(2), 77-86. 

  20. Y. S. Lee. (2012) Marital status,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for middle-aged men and women in Korea.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5, 103-13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