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상장기업의 성별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On the Gender Wage Gap in Korea: Focusing on KOSPI listed companies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19 - 26  

정재만 (숭실대학교 금융학부) ,  설원식 (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기업이라 할 수 있는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2000-2017년 동안 성별 임금격차 현황 및 추세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보면, 먼저 2017년 상장기업의 성별 고용격차 지수는 39.81로 남성 100명당 여성 40명 수준의 고용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여성고용 비중의 절대값은 여전히 낮지만, 2000년 33.74에 비해 높을 뿐 아니라 최근으로 올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근속년수 측면에서는 2017년 남성 종업원 평균 근속년수는 9.9년인데 비해 여성 종업원은 6.9년으로 나타났으며, 최근으로 올수록 성별 근속년수 격차가 감소하였다. 성별 임금격차 지수는 2000년 60.57에서 2017년 67.87로 증가하였다. 또한, 기업 규모나 업종별로 약간의 편차는 존재하나 최근으로 올수록 성별 임금격차가 감소하는 일관된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우리 사회가 성별 고용격차 및 임금격차를 줄여가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and trend of gender wage gap among listed companies in KOPSI market over the 2000-2017 perio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ender employment gap index for KOSPI listed companies stood at 39.81 in 2017, with 40 women per 100 men being employ...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국내 대표기업을 대상으로 첫째, 성별 임금격차가 존재하는가? 둘째, 성별 임금격차가 존재한다면 그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셋째, 성별 임금격차는 최근으로 올수록 감소하는 추세인가 아니면 증가하는 추세인가? 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가증권시장(KOSPI)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각 기업이 매년 사업보고서에 기재하는 종업원의 평균 임금 자료를 수작업으로 정리한 후 분석에 활용하였다.
  • 이에 따라, 학력과 같은 요인이 야기하는 임금격차를 제외하고 순수한 성별 임금격차를 분석하기에 매우 적합한 표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상장기업 데이터를 통해 성별임 금격차를 연구한 최초의 논문이라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지며, 또한 서베이에 의존했던 선행연구와 달리 신뢰성이 높고 종단적으로 비교가 용이한 기업의 공시 데이터를 활용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와 함께 향후 본 연구에서 사용한 상장기업의 임금데이터에 다 사업보고서에서 구할 수 있는 기업특성 변수들을 결합한다면 기존에 자료제약으로 인해 다루지 못했던 다양한 연구가설을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ILO. (2019). Global Wage Report 2018/19: What lies behind gender pay gaps. 

  2. S. Heo & M. C. Sa. (2010). Gender Wage Differential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11), 4151-4160. 

  3. E. H. Kim & H. Y. Baek. (2012), The Sex Differences in Low Wage Risk and Gender Wage Gap.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12(2), 75-104. 

  4. D. H. Cho. (2015), Gender Earnings Differentials Across Cohort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25(1), 1-26. 

  5. N. J. Kim. (2017), The Wage Gap among Generations and between Genders and Implications Thereof. Ewha Journal of Gender and Law, 9(2), 69-124. 

  6. N. Y. Lim & M. S. Choi. (2019), An Analysis on the Occupational Gender Wage Gap in Korea: Focusing on the Proportion of High Wage Earning Female Workers. Korean Journal of Labor Economics, 42(3), 1-38. 

  7. M. J. Joo. (2019).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Gender Wage Difference in the Creative Clas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2), 248-258. 

  8. K. Y. Shin. (2011). The Gender Pay Gap in South Korea: Difference and Discriminatio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5(4), 97-127. 

  9. K. H. Park. (2018). Decomposing the Gender Pay Gap among Doctorate Holders. Korean Journal of Labor Economics, 41(3), 61-93. 

  10. S. Heo., K. S. Shin & M. C. Sa. (2012). A Study on the Gender Wage Gap among Design Expert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5(5), 3113-3130. 

  11. B. R. Bergmann. (1974). Occupational Segregation, Wages and Profits When Employers Discriminate by Race or Sex. Eastern Economic Journal, 1(2), 103-110. 

  12. J. Y. Kang & G. S. Kim.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Wage Gap and Occupational Segregation. Korean Journal of Labor Economics, 37(4), 113-141. 

  13. L. Flabbi, M. Macis., A. Moro & F. Schivardi. (2014), Do Female Executives Make a Difference?: The Impact of Female Leadership on Gender Gap and Firm Performance. IZA DP No.8602, 1-39. 

  14. L. A. Bell (2005). Women-Led Firms and the Gender Gap in Top Executive Jobs. IZA DP No.1689, 1-40. 

  15. A. Kunze & A. R. Miller (2017). Women Helping Women?: Evidence from Private Sector Data on Workplace Hierarchie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99(5), 769-7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