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무몰입 매개효과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59 - 67  

신준옥 (성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직무몰입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통해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위기와 역경을 극복할 수 있는 문제해결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서울.경기 장애인활동지원사업 수행기관에서 재직 중인 활동지원사 290명을 대상으로 2019.5.1.-6.30.까지 설문조사하여 SPSS 24.0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계갈등이 높을수록, 직장문화에 대한 부적응이 심할수록 직무몰입에 악영향을 미치고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정보적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에 몰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관계갈등이 많을수록, 직장이 불안정할수록 직장문화에 적응이 힘들수록 이직의도는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와 직무몰입을 향상시키며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overcoming difficulties that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experience by verifying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n their turnover intentions, and whether job engagement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performed on 2...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를 낮추고 직무몰입을 매개로 하여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여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직무몰입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통해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위기와 역경을 극복할 수 있는 문제해결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이는 자기효능감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생에 대한 만족이 증가하고,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더욱 긍정적인 경험을 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활동지원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및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조직몰입에 의해서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가설 설정

  • 둘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장애인활동지원사업의 목적은 무엇인가? 산장애인활동지원사업은 중증장애인에게 장애인활동지 원사를 파견하여 일상생활을 지원하고 사회참여 및 자립을 도모하며, 가족의 부양부담을 경감시켜 주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장애인활동지원은 2005년 시범사업으로 전국 10개 자립생활센터를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2011년 “장애인활동지원에 관한 법률” 이 제정됨에 따라 전국규모로 확대되었다.
직무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직무스트레스란 개인과 환경 간의 갈등으로 개인의 대응능력을 초과하여 요구되는 직무환경이다[15].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개발 및 표준화 연구에 제시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총 23개의 항목(직무요구, 직무자율, 관계갈등, 직무의 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의 7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하고, 응답범주는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계갈등이 높을수록, 직장문화에 대한 부적응이 심할수록 직무몰입에 악영향을 미치고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정보적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에 몰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eol. Kim. (2017).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Disabled Persons' Support Service Supply System. Social Public Research Institute. 

  2. J. O. Shin. (2020). A Qualitative study on the effect of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on the social adaptation behavior and self-efficiency of disabled students. Industrial Convergence Research, 17(4), 21-31. 

  3. R. P. Tett & J. P. Meyer. (1986).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ersonnel Psychology, 46(2), 259-293. 

  4. S. A. Jang. (2018).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Disabled Persons' Support Services. Korean Society of Social Services. 8(1), 81-110. 

  5. F. Y. Cheung & R. Y. Cheung. (2013).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Testingthestressor-strain-outcome model. The Journal of Psychology, 147(1), 89-103. 

  6. II. B. Kim. (2012). The effect of exhaustion of caregivers in elderly nursing facilities on turnover intentions-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Ph.D.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7. A. Bandur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8. S. J. Lee. (2014). Adjusting self-efficacy and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long-term care institution for the elderly. Korean Government Administration, 28(1), 305-326. 

  9. M. G. Kim.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perceived attachment type, self -efficacy, emotional bond, shame, and evaluation anxiety in music therapy group supervision. Journal of the Korean Music Therapy Society, 14(2), 1-27. 

  10. S. T Park. (2012). Factors Affecting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Focusing 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11. G. H. Kim. & S. W. Kang. (2013). The impact of the caregiver's job stress on the intention of this job. Korean Community Welfare Studies, 44, 275-304. 

  12. J. J. Lee. (2010). Factors affecting the caregiver's turnover intention. Social Science Research, 34(2), 93-113. 

  13. J. Y. Lee. (2011). The Effects of Career Consciousness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14. J. A. Nissly, M. E. Mor Barak & A. Levin. (2005). Stress, social support, and workers'intention to leave their jobs in public child welfare.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29(1), 79-100. 

  15. W. C. Sze & B. Ivker. (1986). Stress in social workers :The impact of setting and role. Journal of Contemporary Social Work, 67(3), 141-148. 

  16. W. H. Mobley. (1982). Employee turnover :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36(3), 506. 

  17. IL. B. Kim. (2009).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of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rk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Daegu Haany University. 

  18. W. G. Jeon. (2012).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Quality of Service of Nursing Care Centers for the Elderly Nursing Facility: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Honam University. 

  19. J. G. Park. (2015). The Effets of Health Awreness from LOHAS perspective on Long-term Care Workers Life satisfaction: Based on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Vcational Awareness. Graduate School of Hansai University. 

  20. T. H Lee. (2013).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elderly caregiv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Hansung University. 

  21. J. L Price. (1997). The Study of Turmover, Ames Iowa, Iowa State University Press. 543-565. 

  22. S. J. Lee. (2016). The Effect of Conflict in the Organization of Nursing Home Care Workers on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Keimyung University. 

  23. J. O. Kim, C. L. Kang & J. H. Jeong (2013).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disabled.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6), 140-14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