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성리더십이 조직원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와 내재적동기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Emotional Leadership on Employees' Creativity: The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and Intrinsic Motiv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6, 2020년, pp.177 - 185  

정지연 (단국대학교 ICT경영학과) ,  서정은 (한국과학기술원 기술경영학부) ,  노태우 (순천향대학교 국제통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감성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와 내재적 동기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감성리더십 뿐만 아니라 조직신뢰와 내재적 동기가 조직원의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한국 ICT 기업에 재직 중인 조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후, 241개의 유효표본으로 위에서 언급된 가설을 PLS-SEM으로 검증하였다. 첫째, 리더의 감성리더십은 조직원의 조직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직신뢰는 조직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내재적 동기부여는 조직원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조직신뢰는 조직원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직신뢰와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기존의 연구들에서 감성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를 확장하였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ICT 기업의 조직원 창의성 제고를 위한 실천적 방안에 기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and intrinsic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creativity,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employees who are workin...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0]에 따르면 공감 능력이 높은 리더는 조직원들이 창의성을 요구하는 업무에 직면했을 때, 조직원들이 감정을 잘 다스릴 수 있도록 돕고 업무에 더욱 새롭고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도록 장려해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밝힌 바 있다. 기존의 창의성 관련 연구는 리더의 공감과 조직원 창의성의 관계를 검증하였는데, 본 연구는 다른 각도로 조직신뢰 혹은 내재적 동기부여를 매개로 하여 조직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둘째, 본 연구는 ICT 기업에서 기업의 성과향상과 지속가능성의 핵심 요소로 여겨지는 조직원의 창의성을 중요하게 인지하고, 리더의 공감 능력, 조직신뢰, 그리고 내재적 동기를 창의성을 유인하는 주요 요인으로서 살펴보았다. 매개효과 검증에서도 나타났듯이, ICT 기업에 종사하는 조직구성원의 조직에 대한 신뢰는 직접 창의성으로 발현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감성리더십의 영향이 조직에 대한 신뢰 또는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해 ICT 기업 조직원들의 창의성에 미치는 요인 검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첫째, ICT 기업의 핵심역량 중 하나인 조직원 개인 단위의 창의성은 기업의 성패와 관련이 있을 정도로 중요한 요소이다[4].
  • 본 연구는 공감 능력을 갖춘 리더들이 조직 신뢰와 조직원의 내재적 동기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중점을 두었고, 리더의 공감 능력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와 내재적 동기의 매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H1 감성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조직신뢰에 양(+)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조직구성원의 조직신뢰는 조직원의 내재적 동기부여에 양(+)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조직구성원의 내재적 동기부여는 조직원의 창의성에 양(+)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조직구성원의 조직신뢰는 조직원의 창의성에 양(+)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성원의 조직신뢰란? 구성원의 조직신뢰(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EOT)는 조직원의 조직에 대한 확신과 지지의 감정으로 조직의 규범이나 기준이 조직원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 을 것이라고 믿어지는 희망적 기대로 볼 수 있다[26, 27].
어떤 사례를 통해 조직원의 창의성과 리더의 자질이 ICT 기업 생존의 핵심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는가? Google은 2009년에 직원 약 10,000명을 대상으로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기업에 적합한 “좋은 리더의 조건 8가지(Google’s Rules)”를 발표하여 ICT 기업에서 리더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Google의 최고인적자원책임자 Laszlo Bock은 좋은 리더는 업무 능력과 인간미를 균형 있게 갖춘 리더라고 하였다. 그는 특히, 8가지 리더의 조건 중 리더의 공감능력은 조직원들이 심리적 안정(psychological safety)을 느끼게 하고 이는 구글의 생산성으로 이어졌다고 밝혔다[1]. 한국에서 5세대 이동통신(5G)을 선도하고 있는 SK텔레콤은 5G 상용화 준비를 하면서 ICT 환경에서 창의성, 다양성을 갖추려면 생각의 틀이나 환경 제약을 완화해야 한다고 했다[2]. 특히, 리더십을 강조하며 사람 중심의 소통을 고취하는 리더십이 조직원들의 창의성(creativity)을 증진한다고 했다. 그뿐만 아니라, 게임산업에 종사하는 420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뽑고 싶은 신입사원’을 조사한 결과 ‘창의력과 아이디어가 뛰어난 유형’(30%)이 1위로 꼽혔다[3]. 또한, ICT 기업의 인재상 중, 가장 높이 평가되는 가치는 창의력(58.3%)으로 조사되었다. 여러 사례를 통해 조직원의 창의성과 리더의 자질이 ICT 기업 생존의 핵심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4].
감성리더십이란? 감성리더십(emotional leadership, EL)은 리더가 조직원의 감정을 이해, 공감, 배려하는 것으로 자기관리능력, 자기인식능력, 관계관리능력, 사회적 인식능력 등의 항목에서 능력이 뛰어난 리더를 의미한다[16, 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C. Im. (2017). The Productivity Puzzle, Google Solved. JoongAng Ilbo Online. https://news.joins.com/article/21212332 

  2. N. Kim. (2019). Jong-Min Lee, SKT Group Head, 'Patent King' Nurturing Unicorn Company "5G is a Human Capital War... You have to Combine Tech Ownership.".Metroseoul. http://www.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9052800172 

  3. C. Hong. (2019). The New Recruits that the Game Industry Wants to Pick Are "Combination of Creativity and Ideas". Special Economy. http://speconomy.com/news/newsview.php?ncode1065600765723897 

  4. C. E. Shalley, J. Zhou & G. R. Oldham. (2004). The Effects of Personal and Contextual Characteristics on Creativity: Where Should We Go from Here? Journal of Management, 30(6), 933-958. 

  5. T. M. Amabile, E. A. Schatzel, G. B. Moneta & S. J. Kramer. (2004). Leader Behaviors and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Perceived Leader Support. The Leadership Quarterly, 15(1), 5-32. 

  6. G. W. Bock, R. W. Zmud, Y.-G. Kim & J.-N. Lee. (2005). Behavioral Intention Formation in Knowledge Sharing: Examining the Roles of Extrinsic Motivators, Social-Psychological Factors, and Organizational Climate. MIS Quarterly, 29(1), 87-111. 

  7. P. Tierney & S. M. Farmer. (2002). Creative Self-Efficacy: Its Potential Antecedents and Relationship to Creative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5(6), 1137-1148. 

  8. A. T. Pescosolido. (2002). Emergent Leaders as Managers of Group Emotion. The Leadership Quarterly, 13(5), 583-599. 

  9. J. R. McColl-Kennedy & R. D. Anderson. (2002). Impact of Leadership Style and Emotions on Subordinate Performance. The Leadership Quarterly, 13(5), 545-559. 

  10. A. Rego, F. Sousa, M. Pina e Cunha, A. Correia & I. Saur-Amaral. (2007). Leader Self-Report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ceived Employee Creativity: An Exploratory Study.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6(3), 250-264. 

  11. J. Tak, J. Seo & T. Roh. (2019).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on Authentic Follow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roject Performance: Testing for the Mediation Effects. Sustainability, 11(21), 6028. 

  12. J. Tak, J. Seo & T. Roh. (2019). Leader's Authentic Leadership and Follower's Project Perform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6), 105-112. 

  13. D. Goleman, R. Boyatzis & A. McKee. (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I. Boston, US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4. R. S. Rubin, D. C. Munz & W. H. Bommer. (2005). Leading from Within: The Effects of Emotion Recognition and Personality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8(5), 845-858. 

  15. M. J. Newcombe & N. M. Ashkanasy. (2002). The Role of Affect and Affective Congruence in Perceptions of Leaders: An Experimental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5), 601-614. 

  16. D. Goleman. (2000). Leadership That Gets Results. Harvard Business Review, 78(2), 4-17. 

  17. P. C. Peter. (2010). Emotional Intelligence in Wiley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arketing. J. N. Sheth & N. K. Malhotra (eds). West Sussex, UK: John Wiley & Sons. 

  18. R. Mahsud, G. Yukl & G. Prussia. (2010). Leader Empathy, Ethical Leadership, and Relations-Oriented Behaviors as Antecedents of Leader-Member Exchange Quality.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5(6), 561-577. 

  19. C.-S. Wong & K. S. Law.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20. B. M. Bass & R. E. Riggio. (2006). Transformational Leadership. New York, USA: Psychology Press. 

  21. J. D. Mayer, D. R. Caruso & P. Salovey. (1999). Emotional Intelligence Meets Traditional Standards for an Intelligence. Intelligence, 27(4), 267-298. 

  22. Y. Ha & S. Kim. (2013). Mediating Effect of Trus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s and Organizational Loyalties in Hotel Firms. Tourism Management Research Organization, 17(1), 257-274. 

  23. J. M. Kouzes & B. Z. Posner. (2011). Credibility: How Leaders Gain and Lose It, Why People Demand It. San Francisco, USA: John Wiley & Sons. 

  24. M. L. Riggs & P. A. Knight. (1994). The Impact of Perceived Group Success-Failure on Motiva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 Causal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9(5), 755-766. 

  25. N. Y. Jo, K. C. Lee, D. S. Lee & M. Hahn. (2015). Empirical Analysis of Roles of Perceived Leadership Styles and Trust on Team Members' Creativity: Evidence from Korean ICT Compani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2, 149-156. 

  26. H. Kim. (2007). A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Justice,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1(2), 69-94. 

  27. L. C. Kremen, J. M. Fiszdon, M. M. Kurtz, S. M. Silverstein & J. Choi. (2016).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in Schizophrenia. Current Behavioral Neuroscience Reports, 3(2), 144-153. 

  28. S. G. Scott & R. A. Bruce. (1994).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3), 580-607. 

  29. R. C. Mayer, J. H. Davis & F. D. Schoorman. (1995).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3), 709-734. 

  30. R. C. Mayer & M. B. Gavin. (2005). Trust in Management and Performance: Who Minds the Shop while the Employees Watch the Bos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8(5), 874-888. 

  31. N. Y. Jo & K. C. Lee. (2012).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Task Complexity and Intrinsic Motivation on Employee Creativity: Emphasis on Moderating Effect of Stress in Human Centric Technology and Service in Smart Space. J. Park, Q. Jin, S.-S. Yeo & M. B. Hu (eds). 182, 199-206, Dordrecht, Netherlands: Springer. 

  32. T. M. Amabile.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2), 357-376. 

  33. S. P. Robin. (1996). Organizational Behavior: Concepts, Controversies and Applications. Englewood cliffs, New Jersey, USA: Printing Hall. 

  34. R. M. Ryan & E. L. Deci.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1), 68-78. 

  35. E. Deci & R. Ryan.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ur. New York, USA: Plenum. 

  36. E. L. Deci & R. M. Ryan. (2008). Facilitating Optimal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ross Life's Domains. Canadian Psychology/Psychologie Canadienne, 49(1), 14-23. 

  37. J. Zhou & J. M. George. (2001). When Job Dissatisfaction Leads to Creativity: Encouraging the Expression of Voi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4), 682-696. 

  38. T. Dewett. (2007). Linking Intrinsic Motivation, Risk Taking, and Employee Creativity in an R&D Environment. R&D Management, 37(3), 197-208. 

  39. V. Prabhu, C. Sutton & W. Sauser. (2008). Creativity and Certain Personality Traits: Understand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0(1), 53-66. 

  40. C. M. Ford. (1996). A Theory of Individual Creative Action in Multiple Social Domai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1112-1142. 

  41. R. J. Lewicki & B. B. Bunker. (1996). Developing and Maintaining Trust in Work Relationships. California, USA: Sage Publications. 

  42. T. M. Amabile. (1988).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0(1), 123-167. 

  43. Y. Seo, S. Chae & K. Lee. (2014). The Effect of Trust and Knowledge-Sharing on Individual Creativity in Korean ICT Companies. Korea Knowledge Management Society, 113-121. 

  44. G. Barczak, F. Lassk & J. Mulki. (2010). Antecedents of Team Creativity: An Examination of Team Emotional Intelligence, Team Trust and Collaborative Culture.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9(4), 332-345. 

  45. P. Tierney, S. M. Farmer & G. B. Graen. (1999). An Examination of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Relevance of Traits and Relationships. Personnel Psychology, 52(3), 591-620. 

  46. R. C. Nyhan & H. A. Marlowe Jr. (1997).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Organizational Trust Inventory. Evaluation Review, 21(5), 614-635. 

  47. J. F. Hair Jr, G. T. M. Hult, C. Ringle & M. Sarstedt. (2016). A Primer on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Los Angeles, USA: Sage Publications. 

  48. N. Kock & G. Lynn. (2012). Lateral Collinearity and Misleading Results in Variance-Based SEM: An Illustration and Recommendation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13(7), 546-580. 

  49. J. C. Park, J. Y. Jeong & J. J. Jung (2015),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Friendly Culture, Intrinsic Motivation, Team-member Exchange (TMX), and Creativity in ICT Compan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5), 607-6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