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융합 기반 마이크로러닝 특성 만족도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in Digital Convergence based Micro-Learning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6, 2020년, pp.287 - 295  

한태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이러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이러닝 분야에서 모바일 러닝과 마이크로콘텐츠에 의해 부상하고 있는 마이크로러닝의 특성을 정의하고 이에 대한 적용 만족도를 분석하여, 향후 마이크로러닝이 새로운 학습 형태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사전 문헌분석을 통해 마이크로러닝의 특성을 정의하고 잘 갖추어진 마이크로러닝 사이트에 대하여 특성 만족도를 실증 검증하고, 이 특성 이외에 어떤 다른 기술적 기능이 필요한가에 대하여도 전문가의 의견수렴을 통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러닝의 미래기술인 학습 분석이나 성과측정 등의 기술적 기능과 향후 연계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마이크로러닝의 특성인 학습콘텐츠의 질적, 양적 수준, 학습콘텐츠에의 접근성, 모바일 기기 접근성, 동기부여 및 상호작용의 모든 면에서 특성 만족도를 보여주고 있었다. 따라서 마이크로러닝은 그 기능적 특성을 잘 반영한다면 이러닝 분야에서 효과적인 학습 형태로 자리 잡을 것이며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교육과 학습 및 훈련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micro-learning emerging by mobile learning and micro-contents in the e-learning field, and analyzed the satisfaction of application, to see if micro-learning could become a new learning type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micro-learning w...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동기부여 영역과 상호작용 영역을 정의할 때 구분이 확실하지 않은 항목이 있음을 지적하고 싶다. 예를 들면 참여자 간 학습을 독려하는 것이 동기부여와 상호작용의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와 SNS를 통하여 학습을 추천하는 항목도 같은 맥락이다.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러닝의 다섯 가지 특성을 정의하고, 영역별로 전문가들의 평가에 따라 특성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에 관한 실험적 분석을 수행한 것이다. 학습콘텐츠의 양과 질에 대한 영역, 학습콘텐츠에 대한 접근성 영역, 모바일 단말기 접근성 영역 및 동기부여 영역의 경우에서는 거의 모든 하위 항목들에서 특성 만족도에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가설 설정

  • 둘째, 각 특성을 정의할 수 있는 하위 변인들에 대하여도 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첫째, 마이크로러닝은 각 특성 영역별로 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이크로러닝이 급변하는 지식정보화시대에 적절한 대응과 적응을 위해서 필요한 생산적인 학습 도구에 해당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급변하는 지식정보화시대에 적절한 대응과 적응을 위해서는 생산적인 학습 도구가 필요한데, 마이크로러닝이 이에 해당한다. 모바일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접근성을 활용하여 핵심 주제를 가진 에피소드 또는 클립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8]. 시간과 장소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러닝과 유사하게 보이나, 짧은 콘텐츠와 학습자 요구에 따른 콘텐츠의 재구성, 모바일 기기의 활용에 있어서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9].
이러닝과 마이크로러닝은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는가? 모바일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접근성을 활용하여 핵심 주제를 가진 에피소드 또는 클립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8]. 시간과 장소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러닝과 유사하게 보이나, 짧은 콘텐츠와 학습자 요구에 따른 콘텐츠의 재구성, 모바일 기기의 활용에 있어서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9].
마이크로러닝에 관한 선행연구와 연구자의 조작적 정의를 통해 구분한 마이크로러닝의 특성은 무엇인가? 첫째는 마이크로러닝이 짧은 강의로 이루어진다고 하여도 강의내용이 충분해야 한다. 둘째는 학습 내용이나 콘텐츠에 학습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마이크로러닝의 기본 개념인 모바일 접근성이 편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와 다섯 번째는 마이크로러닝 역시 이러닝의 또 다른 학습 방법이므로 학습에서 주요한 상호작용의 편리성과 동기부여의 활용이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H. J. Jung. (2019).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icro-Learning for corporate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9), 1771-1780. DOI : 10.9728/DCS.2019.20.9.1771 

  2. T. Hug. (2005). Micro learning and narration. fourth Media Transition conference, 6-8. 

  3. M. Kerres. (2012). Microlearning as a challenge for instructional design. Didactics of microlearning: Concepts, discourses and examples, 98-109. 

  4. S. Y. Yi. (2009). A Study on The Way of Informal Learning at Corporate Workplace.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1(1), 1-51. DOI : http://doi.org/10.18211/kjhrdq.2009.11.1.001 

  5. B. H. Aitchanov, A. B. Satabaldiyev, K. N. Latuta. (2013). Application of Microlearning technique and Twitter for education purpose. Journal of Physics: Conference Series, 423, 1-4. DOI: https://doi.org/10.1088/1742-6596/423/1/012044 

  6. J. Kusher. (2017). Digital Micro-learning in the Entrepreneurship Classroom. Business Education, 16-19. 

  7. H. J. So. & H. R. Lee. (2017).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Trend on Micro learning.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30(9), 189-201. DOI : 10.17548/DCS.2017.09.30.189 

  8. I. S. Jung & S. W. Choi. (1998). Open and Distance Education and New Information Technolog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4(1), 163-186. DOI : 10.17232/KSET.14.1.163 

  9. G. Y. Lee. (2019). Focusing on Perceived Attributes of Innovation and Needs of Content, Technology, and Operation.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cheong bukdo. 

  10. Theo Hug. (2005). Micro learning and narration. fourth Media in Transition conference, 6-8. 

  11. J. Kim & K. S. Song. (2009). EEG based Cognitive Load Measurement for e-learning Application,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20(2), 125-154. 

  12. Salas, A. (2017). Microlearning: What It Is Not and What It Should Be. Learning Solutions https://www.learningsolutionsmag.com/articles/2255/microlearning-what-it-is-not-and-what-it-should-be 

  13. H. J. Kim, S. J. Lee & J. I. Kim. (2011). The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upon Learning Achievement and its Reuse of e-Learning in University.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11(1), 201-228. 

  14. W. DeLone & E. McLean. (2003).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9(4), 9-30. DOI: 10.1080/07421222.2003.11045748 

  15. H. J. Lee & K. S. Park. (2009). A Strategy of Learner-Centered Usability Evaluation for Quality Management in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5(3), 63-88. 

  16. H. S. Han (2005). A Study on the Evaluation Model and Methodology for the Improvement of SW Usability. Seoul : KIPA. 

  17. D. W. Johnson. & R. T. Johnson. (1975). Learning together and alone:Cooperation, competition, and individualization. Englewood Cliffs, NJ:Prentice-Hall. 

  18. J. Reeve. (2009). Why teachers adopt a controlling motivating style toward students and how they can become more autonomy supportive. Educational psychologist, 44, 159-175. DOI : https://doi.org/10.1080/00461520903028990 

  19. Y. Liu & I. J. Shrun. (2002). What is interactivity and is it aiways such a good thing? implications of definition, person, and situation for the influence of interactivity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advertising, 31(4), 53-64. DOI : 10.1080/00913367.2002.10673685 

  20. Moore, M. G.(1993). Three types of interaction. In K. Harry, J. Mangus, & D. Keegan (Eds.), Distance education: New perspectives, New York: Routledge, 19-24. 

  21. K. K. Yoon. (2009). Effects of teacher's feedback and learner's cognitive style on learning motivation in a Simulation learning environment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cheong bukdo. 

  22. T. I. Han (2006). "e-Learning u-Learning", Korean German Industrial Park Co.,Ltd.,. 

  23. T. I. Han, (2014). "IT Convergence and Creative e-learning", episteme. 

  24. . H. Park, I. O. Kim, S. M. Jung, K. S. Song & J. B. Kim. (2008). Enhancing e-Learning Interactivity via Emotion Recognition Computing Technology,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1(2), 89-98. 

  25. J. H. Baek & Y. S. Kim. (2004).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SRM System Supporting Individual Adjusting Feedback in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8(3), 307-317. 

  26. T. I. Han. (2015). A Study on the Standard Policy for the Development Cost of Media Convergence e-Learning Contents. Jo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7), 47-55. 

  27. H. M. Park, C. S. Oh., C. S. Yum. (2011).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tudent Satisfaction of e-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9(7), 143-152. 

  28. J. S. Kim & M. H. Kang. (2010).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and Effectiveness of e-Learning in the corporate setting, Asian journal of education, 11(2), 29-56. 

  29. C. Redecker. (2009). Review of learning 2.0 practices: Study on the impact of Web 2.0 innovations on education and training in Europe. JRC Scientific and Technical Report. DOI: 10.2791/33043 

  30. J. Y. Lee. (2006).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Learner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n Online Courses.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9(4), 27-61. 

  31. J. Y. Lee & E. J. Lee. (2010). Influence Analysis of System, Information and Service Qualities on Learner Satisfaction in University e-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1(3), 119-147. 

  32. S. J. Shim. (2011). A Study on the Measuring Satisfaction and Activation Methods of e-Learning. Journal of KECRA, 12(4), 73-91. 

  33. T. I. Han. (2015). A Study on the Technical Evaluation of the Quality Certification for e-Learning Contents, Jo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 49-66. 

  34. B. H. Lee. (2005). Study on the application process of discourse pattern to improve efficiency of mathematics class for children with mathematics learning difficultiess:utilizing constructivism-based interaction.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Seoul. 

  35. C. W. Moo &, J. H. Kim. (2011). Interaction and Flow as the Antecedents of e-Learner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4(3), 63-72. 

  36. B. W. Yoon. (2004). (An)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user's satisfaction of e-learning.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37. S. M. Kim. (2014). Factor Analysis of Online Classes which Effects upon the Police Candidates's Success or failure of the test.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eoul. 

  38. ATD TK. (2018). Microlearning: Bite- Sized Content. Alexandria. VA: ATD Press. 

  39. J. P. Hong. (2018). Development of Microlearning Content for Critical Path Method in Project Scheduling.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eoul. 

  40. A. Fox. (2016, April). Microlearning for Effective Performance Management. Talent Development magazine, 116-117. 

  41. T. I. Han. (2017). A Study on Generic Quality Model from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French Evaluation Criteria for e-Learning Quality Assurance of Media Convergence. Jo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3), 55-64.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